시론) 이미지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이미지의 유형

2. 정신적 이미지

3. 비유적 이미지

4. 상징직 이미지

5. 이미지의 기능

본문내용

수 있다. 셋째로 시나 희곡의 경우 정조, 분위기, 어조 등의 조건이 분석되고 정의될 수 있다. 넷째로 희곡의 경우 갈등의 구조를 해석할 수 있다. 다섯째로 상징들이 작가와 맺는 관계 혹은 신화나 원형과 맺는 관계를 파악할 수 있다.
상징적 이미지가 시 연구에 주는 도움 다섯 가지 가운데 다섯째 명제 곧 상징들이 작가와 맺는 관계 혹은 신화나 원형과 맺는 관계 역시 외재적 접근법에 포함된다. 버크에 의하면 시는 시인이 자신의 정서적 긴장과 갈등을 변장된 형식, 곧 상징적 형식으로 극화한 것이며, 따라서 독자는 상징을 통해 이런 갈등과 긴장을 해석해야 한다.
5 이미지의 기능
이미지는 시의 경우 율격, 압운, 리듬, 문체, 문법 체계, 시점, 압축과 확대 방식, 선택과 생략의 방법, 인물, 행동, 사상 등 여러 요소들과 적절히 통합되어야 한다. 이미지가 다른 요소들과 통합되면서 나타내는 기능은 다음과 같다.
첫째로 이미지는 시의 화자가 말하고 있는 제재(subject)가 될 수 있다. 곧 이미지는 제재로 나타나고 대체로 그것은 화자의 전경으로 현전하거나 배경으로 화상된다. 둘째로 이런 이미지들은 다시 축어적 이미지, 비유적 이미지, 상징적 이미지로 유형화되고 이런 유형화는 시에서 서로 대조됨으로써 가능하다. 셋째로 이미지들은 축어적 제재의 수준에서 벗어나 비유적 기능을 나타내고 이런 기능은 유추(analogy)에 의존한다.
이미지가 이런 기능을 수행함으로써 우리가 얻을 수 있는 것은 다음과 같다. 첫째로 화자가 말하는 것을 보다 명료하게 깨닫게 한다. 둘째로 화자의 반응은 화자의 정서와 연결되며 따라서 시의 독특한 정조를 깨닫게 한다. 셋째로 이미지는 화자의 의식을 환기함으로써 화자의 정신활동을 자극하고 그 활동을 외면화 한다. 넷째로 시인이 이미지를 강조하는 것은 물질의 세부를 선택하고 비교함으로써 독자에게 시적 상황을 암시하기 위해서이고, 동시에 시적 상황 속에 존재하는 여러 요소들에 대한 독자의 반응을 유인한다. 다섯째로 이미지는 독자의 기대를 인도하고 환기하는 기능을 나타낸다. 결국 이미지는 크게 제재의 환기, 화자의 정조, 관념의 외면화, 독자의 태도를 지시한다. 보기로 다음 시를 살펴보자.
바람아 불어라./ 西歸捕에는 바다가 없다./ 남쪽으로 쏠리는/
끝없는 갈대밭과 강아지풀과/ 바람아 네가 있을 뿐/
西歸捕에는 바다가 없다./ 아니가 두고 간/
부러진 두 팔과 멍든 발톱과/ 바람아 네가 있을 뿐/
가도 가도 西歸捕에는/ 바다가 없다./ 바람아 불어라.
김춘수의 「이중섭」전문이다. 시인은 이중섭을 동기로 자신의 내적 경험을 노래하고 이 경험은 이중섭의 생애, 곧 그가 제주도 서귀포에 체류했던 것과 중첩된다. 따라서 이중섭은 시인의 내적 경험의 구체화, 곧 상징이 된다. 이시에 나타나는 개별적 이미지들의 관계 및 그 관계가 야기하는 효과에 대해 살펴보자 먼저 이미지의 기능. 첫째로 이 시의 화자는 이중섭이며 동시에 시인이 된다. 화자가 말하는 제재들은 전경(바다)과 후경(아내의 부러진 팔)으로 제시되며 그것은 다시 서귀포 . 바다 . 바람 . 갈대밭 . 강아지풀 . 아내 . 발톱 등으로 구성 된다. 둘째로 화자가 말하는 이 제재들은 축어적 국면에서 비유적 국면을 거쳐 마침내 상징적 국면으로 전환된다. 곧 서귀포의 이중섭→김춘수의 내면→상징의 세계로 나타난다. 이러한 전환은 개별적 이미지들인 바다, 갈대밭, 강아지풀, 부는 바람, 없는 바다, 아내의 아픈 추억 등의 유기적 결합 때문에 가능하다. 셋째로 따라서 이런 여러 이미지들은 비유적 내지는 상징적 측면에서 읽게 된다.
다음 이미지들의 이런 기능이 우리에게 알려주는 내용, 곧 이미지가 획득하는 내용 혹은 효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로 ‘서귀포에는 바다가 없다’, ‘끝없는 갈대밭과 강아지풀과/ 바람아 네가 있을 뿐’, ‘아내가 두고 간 두 팔과 멍든 발톱’ 같은 이미지는 화자의 관념을 투명하게 제시한다. 둘째로 이렇게 명료한 이미지들이 시적 정서의 등가물이 됨으로써, 곧 화자의 정서와 결합됨으로써, 시의 독특한 어조(tone)를 환기하는 바 그것은 비탄의 어조이다. 이런 이미지들이 결합됨으로써 화자의 의식이 드러난다. 그것은 떠난 아내에 대한 그리움이다. 넷째로 이미지들은 물질의 세부를 선택하고 대조됨으로써 시적 상황을 암시하는 바 그것은 이중섭의 내면적 갈등이고 이런 갈등에 대한 시인의 공감이다. 다섯째로 각 이미지들은 유기적으로 결합됨으로써 정서적 태도를 환기 하고 동시에 시적 메시지를 전달한다.
  • 가격3,0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09.11.03
  • 저작시기2008.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5930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