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序論
2. 論語를 읽고...
3. 結論
2. 論語를 읽고...
3. 結論
본문내용
못이 있을 때에는 깨우쳐 바로잡아 주어야 하며, 임금을 대할 때 속이지 말고 올바른 말을 해야 한다고 하였다. 상부에 아부하며 자신의 위치를 지켜려고 노력하는 속물들과는 다른 면모를 엿볼 수 있다.
마지막으로, 관직에서의 행동거지에 대한 내용이다. 세상이 제대로 다스려질 때에는 나가 벼슬을 하고 활동하지만, 어지러운 세상에선 물러나 명철보신 明哲保身 : 총명하고 사리에 밝아서, 이치에 맞게 일을 처리하며 자신을 잘 보전함.
해야 한다 하였다. 또한 나라에 도가 행해질 때에는 고상한 언행을 해야 하고, 도가 행해지지 않으면 행동은 고상히 하되 말은 겸손해야 한다고 하였다. 이 둘은 정세에 따라 관직에서 어떻게 행동하고 말해야 하는지를 가르치는 말이다.
3. 結論
논어는 지금 시대에 사는 우리가 유교 윤리에 대해 배우고, 공자의 사상에 대해 좀 더 접근해 알 수 있는 귀중한 자료일 뿐만 아니라, 몇몇 현대의 현실과 맞지 않는 부분을 제외하고는 우리 사회에서 지도자가 나라를 다스림에 있어, 일반 사람들이 다른 사람을 대함에 있어 또는 행동을 함에 있어 바람직한 것이 무엇인가에 대한 많은 교훈을 주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공자는 위에 논한 내용 외에도 인이나 예, 효도에 대한 가르침을 많이 하고 있어, 현대인의 교양과 정신수양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생각한다.
그에 반해 시대적 상황이나 배경이 논어가 써진 시대와 다르고, 사람들의 가치관이 그 시대와 달라 차이가 발견되며, 이해가 잘 되지 않는 부분에 있어서는 배경지식을 습득해 새로이 해석하거나 자기 나름의 기준을 마련해보는 기회를 갖는 것도 좋을 것이다.
마지막으로, 관직에서의 행동거지에 대한 내용이다. 세상이 제대로 다스려질 때에는 나가 벼슬을 하고 활동하지만, 어지러운 세상에선 물러나 명철보신 明哲保身 : 총명하고 사리에 밝아서, 이치에 맞게 일을 처리하며 자신을 잘 보전함.
해야 한다 하였다. 또한 나라에 도가 행해질 때에는 고상한 언행을 해야 하고, 도가 행해지지 않으면 행동은 고상히 하되 말은 겸손해야 한다고 하였다. 이 둘은 정세에 따라 관직에서 어떻게 행동하고 말해야 하는지를 가르치는 말이다.
3. 結論
논어는 지금 시대에 사는 우리가 유교 윤리에 대해 배우고, 공자의 사상에 대해 좀 더 접근해 알 수 있는 귀중한 자료일 뿐만 아니라, 몇몇 현대의 현실과 맞지 않는 부분을 제외하고는 우리 사회에서 지도자가 나라를 다스림에 있어, 일반 사람들이 다른 사람을 대함에 있어 또는 행동을 함에 있어 바람직한 것이 무엇인가에 대한 많은 교훈을 주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공자는 위에 논한 내용 외에도 인이나 예, 효도에 대한 가르침을 많이 하고 있어, 현대인의 교양과 정신수양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생각한다.
그에 반해 시대적 상황이나 배경이 논어가 써진 시대와 다르고, 사람들의 가치관이 그 시대와 달라 차이가 발견되며, 이해가 잘 되지 않는 부분에 있어서는 배경지식을 습득해 새로이 해석하거나 자기 나름의 기준을 마련해보는 기회를 갖는 것도 좋을 것이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