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상이론과정신분석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영상이론과정신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영상과 정신분석>

<프로이트 Freud, Sigmund (1856_1939)>

<프로이드의 기본 개념>

<라깡Lacan, Jacques>(1901~1981)

<라깡의 주체성의 형성과정>

<정신분석과 영상 이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970년대 영화 이론가들(Metz, Bellour, Baudry)
--> 프로이트와 라캉의 이론을 통해 영화가 무의식의 차원에서 어떻게
작용하는지 설명하려 함
- 스크린을 ‘거울’과 유사한 것으로 설정 --> 관객과 스크린 사이의 관계에 주목
--> 영화를 볼 때 관객은 상상계의 질서에서 상징계의 질서로 이동
--> 이 과정에서 성적 차이와 언어, 주체성 획득을 수반하는 무의식 과정을
거친다
- Bellour : 영화는 상상계로써 기능함과 동시에 상징계로 기능
관객은 둘 사이에서 유동적 관계에 놓여있다.
그리고 이 두 질서의 공존은 ‘봉합suture’에 의해 가능
* ‘봉합’: 영화관람중에 관객의 주체성이나 정체성이 구축되는 체계
고전적 헐리우드 영화에서 봉합 체계 --> 보고 있는 것을 가지고 싶어
하고 진행중인 것을 알고싶어하는 관객의 욕망은 카메라의 앵글, 편집
방식에 의해 조종되어 영화의 주인공과 관객을 동일시하도록 유도됨
- Metz : 영화 관람 행위 자체를 관음증과 페티시즘의 작용으로 봄
(영화 관람 행위는 유년기로의 퇴행)
- 일반적으로 영상에서의 정신분석의 적용
1) 스크린과 관객과의 관계에 대한 분석
2) ‘생물학적 정신분석’ : 어느 작가의 작품(들)을 신경증 환자로서의 작가에 대한
진단으로 본다. 주어진 작품을 작가의 신경증의 창작적
승화로 봄
3) 영화의 ‘정신분석적’ 읽기 : 등장 인물들을 정신분석 하는 경향
<참고문헌>
- <텔레비전과 현대비평> Allen, R. C. / 김훈순 역 / 나남
- <영화사전: 이론과 비평> Hayward, S. / 이영기 역 / 한나래

키워드

  • 가격2,0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09.11.05
  • 저작시기2009.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5970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