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pedance/ ABR 익히기 (Retition effect)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Impedance/ ABR 익히기 (Retition effect)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실습 목적
2. 검사 도구 및 장비
3. 방법 및 진행과정
4. 실습결과 및 고찰

본문내용

정도에 영향을 받는다.)
* The response is not seriously affected by subject state of arousal (including sleep) or most drugs, including sedatives and anesthetic agents.
= 환자의 의식, 수면, 약물 등은 반응에 심각한 영향을 주지 않는다.
⑵ latency
Ⅰ Latency
Ⅱ Latency
Ⅲ Latency
Ⅳ Latency
Ⅴ Latency
1.42 ms
3.17 ms
5.00 ms
① Sweep number 100
Ⅰ Latency
Ⅱ Latency
Ⅲ Latency
Ⅳ Latency
Ⅴ Latency
1.84 ms
3.75 ms
5.63 ms
② Sweep number 500
Ⅰ Latency
Ⅱ Latency
Ⅲ Latency
Ⅳ Latency
Ⅴ Latency
1.84 ms
4.00 ms
5.34 ms
③ Sweep number 1000
Ⅰ Latency
Ⅱ Latency
Ⅲ Latency
Ⅳ Latency
Ⅴ Latency
1.50ms
2.13 ms
3.29 ms
4.46 ms
5.04 ms
④ Sweep number 2000
⑤ 자극음의 크기가 클수록 latency는 짧아지고 반응은 커지지만 70dB 이상의 소리들 은 latency 차이가 없다고 하였습니다.
하지만 자극음의 크기가 같은 경우에도 표와 같이 차이를 보였으므로 주요 변수로 보고 있던 주변 소음이 영향을 주었다고 볼 수 있다.
- New handbook of Auditory evoked responses P. 13
Stimulation
* As stimulus intensity increases, response latency values decrease and response amplitude increases. Above approximately 70dB nHL, latency remains stable while amplitude continues to increase.
= 자극음의 크기가 클수록 latency는 짧아지고 amplitude는 커진다.
70dB이상의 소리들은 latency 차이는 없고 amplitude는 크면 클수록 커진 다.
⑥ 반응은 5~6 ms 안에 이루어진다. 표를 보면 모든 반응이 6ms안에 이루어진 것 으로 볼 때 환자는 정상에 가깝다는 것을 알 수 있다.
- New handbook of Auditory evoked responses P. 13
Components
* The response occurs within a 5 to 6 ms period following the presentation of high-intensity transient(e.g.,click) acoustic signal.
= 반응은 큰 자극음이 주어진 다음 5~6 ms 안에 이루어진다.
⑦ 일반적인 경우 Ⅰ은 1.5ms, Ⅲ은 3.5ms , Ⅴ은 5ms 전후에 나타난다.
표를 보면 latency가 부근을 전후로 나타난 것을 볼 수 있다.
따라서 환자의 latency는 정상이라고 볼 수 있다.
⑧ 처음이라 그런지 피크를 찍을 때 어디를 찍어야 할 지 고민이 많이 되었다.
이것을 보았을 때 검사 결과에 검사자의 스킬이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을 느끼 게 되었다.
- New handbook of Auditory Evoked Responses P. 5
Ⅲ. Acquisition parameters 중
ⅰ. Response interpretation is influenced by clinical skill and example.
= 검사자의 스킬도 매개변수다.
⑶ amplitude
Ⅰ Amplitude
Ⅱ Amplitude
Ⅲ Amplitude
Ⅳ Amplitude
Ⅴ Amplitude
0.50ms
0.575 ms
0.14 ms
① Sweep number 100
Ⅰ Amplitude
Ⅱ Amplitude
Ⅲ Amplitude
Ⅳ Amplitude
Ⅴ Amplitude
0.25 ms
0.489 ms
0.22 ms
② Sweep number 500
Ⅰ Amplitude
Ⅱ Amplitude
Ⅲ Amplitude
Ⅳ Amplitude
Ⅴ Amplitude
0.03 ms
0.304 ms
0.05 ms
③ Sweep number 1000
Ⅰ Amplitude
Ⅱ Amplitude
Ⅲ Amplitude
Ⅳ Amplitude
Ⅴ Amplitude
0.08ms
0.075 ms
0.21 ms
④ Sweep number 2000
⑤ 자극음의 크기의 변화가 없는 상황에서 Amplitude의 값이 다르게 나타난 것을 볼 수 있다. 자극음의 크기와 관계가 있는 Amplitude의 값이 일정하지 않은 것을 비 추어 보아 아까도 지적했던 주요 변수인 주변 소음에 영향을 받았다고 볼 수 있다.
- New handbook of Auditory evoked responses P. 13
Stimulation
* As stimulus intensity increases, response latency values decrease and response amplitude increases. Above approximately 70dB nHL, latency remains stable while amplitude continues to increase.
= 자극음의 크기가 클수록 latency는 짧아지고 amplitude는 커진다.
70dB이상의 소리들은 latency 차이는 없고 amplitude는 크면 클수록 커진 다.
⑥ 이번 실습에서 미흡했던 점은 환자가 실습수업 시간에 했던 자료를 토대로 하였기 때문에 실습 내용에 대한 설명을 위해 어쩔 수없이 주변 소음이 생기고 많은 인원 이 참석한 가운데 시행되었기 때문에 주변 소음으로 인해 검사 결과가 영향을 받 았습니다.
⑦ 다음 실습 때는 좀 더 나은 결과를 보기 위해 환경을 조성해 놓고 검사를 해야 겠습니다.
목차
1. 실습 목적 - P.1
2. 검사 도구 및 장비
3. 방법 및 진행과정 - P. 1 ~ 5
4. 실습결과 및 고찰 -P. 6 ~ 9

키워드

ABR,   SNR,   repetition,   amplitude
  • 가격2,0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09.11.07
  • 저작시기2008.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5987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