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의 성 호르몬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인간의 성 호르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호르몬과 생식호르몬
1. 호르몬이란?
2. 생식호르몬의 정의와 종류 및 기능

Ⅱ. 남성호르몬과 여성호르몬
1. 여성호르몬
(1) 여성호르몬의 정의
(2) 여성호르몬의 작용
(3) 여성호르몬의 종류
(4) 여성의 월경주기 중 호르몬의 변화
(5) 임신기의 호르몬 분비
2. 남성호르몬
(1) 남성호르몬의 정의
(2) 남성호르몬의 작용
(2) 남성호르몬의 종류

본문내용

스테로이드로서 안드로스탄의 유도체이다. 이것에는 고환에서 분비되는 테스토스테론을 비롯하여 그것이 체내변화를 받아 오줌 속에 배설되는 안드로스테론이나 디히드로에피안드로스테론의 대사산물로 생각되는 것 이외에도, 부신피질에서 분비되는 아드레노스테론 등 천연 호르몬이 포함된다.
(2)남성호르몬의 작용
남성은 전형적으로 여성보다 약 2년 늦게 (10살~15살) 사춘기에 도달하지만, 여성에서와 같이 호르몬의 양적 변화와 함께 사춘기가 시작된다. 사춘기에 뇌하수체선에서 합성, 분비되는 여포자극호르몬의 양이 증가한다. 이 호르몬은 일차적으로 정소와 난소를 성숙하도록 자극하며, 남성에서의 여포자극호르몬은 배발생 시기에 정소의 발달을 유도한다. 또한 여포자극호르몬은 간질세포자극호르몬(interstitial cell-stimulating hormone, ICSH)으로 알려진 황체형성호르몬의 합성을 자극하며, 이 호르몬은 정소를 자극하여 남성에서 1차 남성호르몬인 테스토스테론(testosterone)을 생성하게 한다. 배발생 시기의 정소에서 만들어진 테스토스테론은 남성의 내부와 외부 해부학적 생식기관의 분화를 촉진하다. 테스토스테론은 또한 정자세포의 형성과 성숙에도 관여한다.
사춘기의 주요한 변화로는 정소와 음낭이 커지고, 음모가 발생하며 성기의 크기가 커진다. 제 2차 성징은 13세에서 14세 사이에 나타나며, 수염과 액모, 흉모 등이 가장 두드러진 특징이다. 그리고 성대의 형태가 변화하면서 남성의 목소리로 바뀐다. 또한, 체형이 변화고, 신장이 커지며, 근육질의 분포가 많아지고 지방질은 감소한다. 이시기에 어깨가 넓어지고 근육이 발달하여 성인 남성의 특징을 나타내기 시작한다. 이러한 외형적인 변화와 더불어 뇌하수체에서 분비되는 여포자극호르몬은 정낭(seminal vesicle), 전립선, 요도선을 자극하여 정액을 형성하게 한다. 이 후에 여포자극호르몬은 정자세포의 형성을 자극한다. 사춘기에는 정자세포와 정액이 방출되기 시작하는데, 이를 사정(ejaculation)이라 한다.
주요 남성호르몬
내분비선과 호르몬
특이적 표적 조직
특이작용
시상하부
생식소자극호르몬-방출호르몬(GnGH)
뇌하수체 전엽
FSH와 내의 방출 촉진
뇌하수체전엽
여포자극호르몬(FSH)
정소
세제관의 발달을 자극; 정자형성 촉진
황체호르몬(LH)
정소
간질세포 자극에 의한 테스토스테론의 분비촉진
정소
테스토스테론
모든조직
출생전: 1차 생식의 발생과 음낭으로 정소의 이동 촉진
사춘기: 급성장 촉진; 생식기관들의 발달과 이차성징의 발현 촉진
성인: 이차성장유지; 정자형성 촉진
인히빈
뇌하수체 전엽
FSH 분비 저해
(3) 남성호르몬의 종류
1) 안드로겐(androgen)
주로 남성 생식계의 성장이나 발달에 영향을 주는 호르몬의 총칭하여 안드로겐이라고 한다. 그 중 가장 영향력이 크고 중요한 안드로겐은 남성의 고환에서 생성되는 테스토스테론이다. 테스토스테론의 기능을 도와주는 다른 안드로겐은 주로 부신피질에서 생성되고 비교적 적은 양이다. 여성의 혈장 속에서도 미량의 안드로겐이 발견된다. 이러한 사실로부터 부신이 미량의 안드로겐을 생산한다고 추측한다. 일반적으로 여성 호르몬인 에스트로겐을 생산하는 난소에서도 미량의 안드로겐을 생산한다. 남성에 있어서 고환의 세정관을 둘러싼 결합조직에 위치한 레이딕세포(고환의 내분비에 관여하는 고환의 간세포)는 안드로겐을 생산·분비하는 역할을 한다. 철새나 양처럼 번식기에만 번식을 하는 동물의 수컷에서는 레이딕세포가 번식기 동안에만 활성화되고, 비번식기 동안에는 현저히 줄어든다. 레이딕세포에 의한 안드로겐의 분비는 뇌하수체에서 분비되는 황체형성호르몬에 의해 조절된다.
안드로겐은 남성 생식기계의 발달에 필수적이다. 테스토스테론의 주입이 없으면 사춘기와 성적 성숙기 초기에 거세한 남성은 성인의 생식기관으로 발달하지 못한다. 정상적인 남성에게 안드로겐을 주입하면 생식기관의 크기를 증가시키는 경향이 있다. 이미 성숙한 남성을 거세시키면 기관이 축소되고 기능이 중지된다. 또한 안드로겐은 정세포의 형성과 성적 흥미와 행동을 유지하는 데 필요하다. 안드로겐이 남성 신체에 미치는 다른 효과는 다양하다. 음모(pubic hair)·수염·가슴털 등을 자라게 하며, 머리카락을 잘 자라지 못하게 하거나 대머리를 만든다. 사춘기 동안에 안드로겐은 남성의 성대를 길고 두껍게 만들어 목소리를 굵게 한다. 또한 남성의 신체에서 뼈를 자라게 하고 근육섬유의 수와 두께를 늘린다. 안드로겐이 자극하는 다른 성장형태는 신장의 무게와 크기, 골조직에서 단백질의 증가, 적혈구 세포의 재생, 피부 색소의 유지, 땀과 피지선의 활동 증가 등이다.
2) 남성의 생식샘자극호르몬(gonadotrope)
간질세포자극호르몬과 난포자극호르몬으로 구성된 생식샘자극호르몬은 남성의 정자 형성에 기여한다. 난포자극호르몬의 영향으로 2차례의 감수분열이 일어난 후 머리와 꼬리의 형태를 한 성숙한 정자로 형성된다.
1. 간질세포자극호르몬(interstitial cell stimulating hormone)
간질세포자극호르몬은 고환 내의 정세관 주변의 간질세포를 자극하여 테스 토스테론의 분비를 촉진하는데 이 호르몬은 추후 사춘기 소년에게서 2차 성징의 발달을 유도한다.
2. 여포자극호르몬(follicle-stimulating hormone)
여포자극호르몬이 처음 알려졌을 때는 여성의 난소 안에 있는 여포를 자극 하는 역할로만 알려졌다. 그래서 여포자극호르몬이라는 이름이 붙었지만 현 재는 남성의 정자 형성에도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정자 의 성숙에도 여포자극호르몬이 필요하지만 테스토스테론이 이런 작용을 하 기 때문에 수개월 동안 없어도 문제가 되지 않는다.
3) 인히빈(inhibin)
인히빈은 여성의 난소와 암성의 정소에서 모두 모두에서 분비되는데 남성의 정소에서는 재돌기세포에 의해 분비되는 호르몬이다. 테스토스테론의 분비 증가가 인히빈의 분비를 자극한다. 인히빈의 기능은 뇌하수체전엽에서 여포자극호르몬의 분비를 감소시키는 것이다. 인히빈, 테스토스테론 및 뇌하수체전엽호르몬 간의 상호작용이 정자생성을 일정하게 유지해 시키는 작용을 한다.

키워드

인간,   ,   호르몬
  • 가격2,000
  • 페이지수15페이지
  • 등록일2009.11.10
  • 저작시기2009.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6022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