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신체계측>
<활력징후>
<영양법>
<개인위생>
(I & O)
<흡인>
<투약>
<감염관리>
<소변검사물 수집>
<혈액 검사물 수집>
<수술간호>
<의사소통>
<임종간호>
<특수치료 및 검사>
<퇴원시 간호>
<활력징후>
<영양법>
<개인위생>
(I & O)
<흡인>
<투약>
<감염관리>
<소변검사물 수집>
<혈액 검사물 수집>
<수술간호>
<의사소통>
<임종간호>
<특수치료 및 검사>
<퇴원시 간호>
본문내용
머리를 구부리고 무릎은 가슴에 닿도록 구부린다. 협조가 잘 되는 어린이도 예기치 않은 움직임 때문에 손상을 받을 수 있으므로 억제 가 필요하다.
아동은 시술자가 일하는 쪽 검사대 가장자리에서 등이 보이도록 측위로 눕는다.
간호사의 한손은 허벅지 뒤, 한손은 목뒤를 감싸므로써 척추를 굴절시킨다.
→이 굴곡된 자세는 요추간의 간격을 넓혀서 축추강내로의 접근을 쉽게 해준다.
체위를 조정하기 전에 다리를 시트로 감싸서 다리의 움직임을 줄이는 것이 좋다.
좌위를 취하는 것도 좋다.
→목을 구부려서 가슴에 닿게 하고 영아의 팔, 다리는 간호사의 손으로 고정시킨다.
이 자세는 호흡을 방해할 수 있다.
검사후에는 수분을 공급하고 한시간 정도 조용히 누워있는 것이 두통을 감소시킨다.
활력증상을 측정하고 의식수준의 변화, 운동, 기타 신경학적 징후를 관찰한다.
2. 골수천자
천자부위에 따라 체위가 달라진다.
(아동): 앞뒤 장골능선이 가장 많이 이용된다.
뒷장골능이 선택되면 아동의 목위를 취한다.
(영아): 경골이 접근하거나 억제하기 쉬워 많이 이용된다.
검사동안 가만히 있는 아동은 드물기 때문에 억제가 필요하다.
한 사람은 상체를, 한 사람은 하지를 고정하는 것이 좋다.
3. 기관지 절개술
생명을 구하는 처치로써 응급으로 혹은 계획에 따라 그리고 기계환기와 같이 수행될 수 있다.
기관튜브는 은 대신에 신라스틱을 사용한다.
튜브는 적당한 위치에 삽입되고 튜브에 연결된 테이프는 목에 걸어 튜브를 고정시켜 준다.
기관절개술을 한 아동은 7~10일 간의 입원을 요한다.
→ 이 기간동안 아동은 출혈, 부종, 흡인, 흉강내로의 공기 흡수 등의 합병증을 잘 감시해야 한다.
(수술후 간호의 초점)
기도를 유지하고 폐분비물을 효과적으로 제거하고 습화된 공기나 산소를 공급하며 개구부 위를 청결히 하고, 아동의 연하능력을 감시하며 캐뉼라가 빠지거나 관이 막히는 경우를 예방하기 위한 교육이다.
아동은 도움을 요청하는 신호를 보낼 수 없으므로 직접적인 관찰과 심폐감시장치를 사용 해야 한다.
호흡음과 호흡양상, 활력징후, 기관절개 튜브의 고정 테이프의 상태, 분비물의 양과 형태 를 사정해야 한다.
→피가 섞인 분비물은 흔하지 않은데 출혈의 징후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즉시 보고해야함
아동은 침상머리를 올리거나 가장 편한 체위를 취하고 호출벨을 쉽게 쓸 수 있어야 한다.
(간호)
기관절개술 개구부는 매일 간호해야 한다.
개구부위에서는 감염징후나 피부의 손상을 관찰한다.
피부는 깨끗하고 건조하게 하고 개구부 주변의 분비물은 과산화수소수로 부드럽게 제거한 다
순은제 기고나절개관에는 과산화수소수가 얼룩을 남기므로 사용을 금한다.
기관절개술 드레싱이 젖지 않았는지 관찰하여 피부손상을 방지한다.
기관절개관은 질기고 닳지 않는 재질로 된 끈으로 고정한다.
끈은 매일, 그리고 더러워질때마다 교환한다.
기관절개관을 교환할 때는 무균법을 준수한다.
소독된 새 관은 폐쇄기를 삽입하고 새끈을 달아서 준비한다.
습화된 산소가 호흡기 점막의 건조를 막기위해 투여된다.
내관은 흡인시마다 제거하여 멸균 생리식염수에 씻고 붙어있는 이물질을 파이프로 제거하 고 완전히 말려서 다시 삽입한다.
4. EKG(심전도)
사용목적 및 방법:
심전도(ECG, EKG)는 심장에서 생성된 전기적인 활동을 신체의 여러 측 면과 평면에서 도표로 기록한 것이다. 심전도는 심장에서의 연속적인 전기적 사건, 심박률과 리듬, 심근 손상과 전도장애를 보여준다. 심방의 비대나 확대는 심전도로 알 수 있다.
(간호)
검사 이유에 관하여 아동과 부모에게 알려준다.
아동은 검사 동안 계속 누워 있어야한다.
5.coombs test(항 글로루빈 검사)
(검사배경 및 적응증 )
항글로불린검사는 생체내에서 적혈구에 IgG나 보체(C3d)가 부착되어 있는지를 보는 검사이다. 환자의 적혈구를 세척하여 항글로불린혈청을 가하면 적혈구에 IgG나 C3d가 부착되어 있는 경우 응집이 일어난다. 양성일 경우는 자가면역성 용혈성 빈혈(AIHA), 신생아 용혈성 질환(제대혈), 이형 수혈을 받은자(수혈직후), 약제유발성 용혈(Drug-induced hemolysis), 용혈성 수혈부작용, 수혈받은 직후 자기면역반응,등의 진단에 사용된다. 결합 항체는 IgG가 가장 많고 IgM, IgA는 비교적 적으며 C3d의 결합은 종종 있다. AIHA는 치료에 의해 간접 항글로불린 시험이 음성화될 수도 있지만 직접항글로불린 시험은 쉽게 음성화되지 않는다.
(검체 준비)
항응고제(EDTA)가 포함된 용기에 들어있는 혈액 3ml
용혈된 검체는 피한다
채혈 후 24 시간 이상 경과된 검체는 피한다.
6.Tuberculin Test
결핵의 유병율이 높은 인구집단에서 실시함
검사에 쓰이는 2종류의 항원: old tuberculin(OT)
purifed protein derivative(PPD)-많이 사용됨
표준양: 용액 0.1ml에 5TU(tuberculin unit)이며 피내주사한다.
주사방법: 1. PPD를 피내로 직접 주입하는 Mantox Test
2. 다발성 천공검사
결과: 48~72시간뒤에 판독함
발적증상이 아닌 경결 증상을 측정함
직경이 5mm이하: 음성
5~9mm: 의양성
10mm이상: 양성(감염 되었음을 의미)
※위 결과가 반드시 활동성 결핵이 있음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며 현재 혹은 과거에 결핵균의 감염을 받아 결핵균 단백에 감작되어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다.
<퇴원시 간호>
(1) 퇴원 준비는 환자의 입원과정에서부터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2) 퇴원을 준비한다.
환아의 가정간호에 필요한 가족의 지식정도를 사정한다.
치료를 위해 필요한 기술을 가족에게 가르친다(시범, 지시서).
퇴원 시 예견되는 문제점, 특별한 치료를 필요로 하는 행동, 주의해야 할 증상 등에 관한 정보를 제공한다.
퇴원 후 나타날 수 있는 아동의 행동에 대해 준비시킨다.
이용가능한 지역사회의 자원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궁금한 점이 있으면 전화나 편지를 하도록 한다.
(3) 의료진의 의견에 반대하여 퇴원을 하는 경우에는 퇴원 수에 올 수 있는 반응에 대해 병 원이나 의사의 책임이 없다는 서명을 받아 보관한다.
아동은 시술자가 일하는 쪽 검사대 가장자리에서 등이 보이도록 측위로 눕는다.
간호사의 한손은 허벅지 뒤, 한손은 목뒤를 감싸므로써 척추를 굴절시킨다.
→이 굴곡된 자세는 요추간의 간격을 넓혀서 축추강내로의 접근을 쉽게 해준다.
체위를 조정하기 전에 다리를 시트로 감싸서 다리의 움직임을 줄이는 것이 좋다.
좌위를 취하는 것도 좋다.
→목을 구부려서 가슴에 닿게 하고 영아의 팔, 다리는 간호사의 손으로 고정시킨다.
이 자세는 호흡을 방해할 수 있다.
검사후에는 수분을 공급하고 한시간 정도 조용히 누워있는 것이 두통을 감소시킨다.
활력증상을 측정하고 의식수준의 변화, 운동, 기타 신경학적 징후를 관찰한다.
2. 골수천자
천자부위에 따라 체위가 달라진다.
(아동): 앞뒤 장골능선이 가장 많이 이용된다.
뒷장골능이 선택되면 아동의 목위를 취한다.
(영아): 경골이 접근하거나 억제하기 쉬워 많이 이용된다.
검사동안 가만히 있는 아동은 드물기 때문에 억제가 필요하다.
한 사람은 상체를, 한 사람은 하지를 고정하는 것이 좋다.
3. 기관지 절개술
생명을 구하는 처치로써 응급으로 혹은 계획에 따라 그리고 기계환기와 같이 수행될 수 있다.
기관튜브는 은 대신에 신라스틱을 사용한다.
튜브는 적당한 위치에 삽입되고 튜브에 연결된 테이프는 목에 걸어 튜브를 고정시켜 준다.
기관절개술을 한 아동은 7~10일 간의 입원을 요한다.
→ 이 기간동안 아동은 출혈, 부종, 흡인, 흉강내로의 공기 흡수 등의 합병증을 잘 감시해야 한다.
(수술후 간호의 초점)
기도를 유지하고 폐분비물을 효과적으로 제거하고 습화된 공기나 산소를 공급하며 개구부 위를 청결히 하고, 아동의 연하능력을 감시하며 캐뉼라가 빠지거나 관이 막히는 경우를 예방하기 위한 교육이다.
아동은 도움을 요청하는 신호를 보낼 수 없으므로 직접적인 관찰과 심폐감시장치를 사용 해야 한다.
호흡음과 호흡양상, 활력징후, 기관절개 튜브의 고정 테이프의 상태, 분비물의 양과 형태 를 사정해야 한다.
→피가 섞인 분비물은 흔하지 않은데 출혈의 징후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즉시 보고해야함
아동은 침상머리를 올리거나 가장 편한 체위를 취하고 호출벨을 쉽게 쓸 수 있어야 한다.
(간호)
기관절개술 개구부는 매일 간호해야 한다.
개구부위에서는 감염징후나 피부의 손상을 관찰한다.
피부는 깨끗하고 건조하게 하고 개구부 주변의 분비물은 과산화수소수로 부드럽게 제거한 다
순은제 기고나절개관에는 과산화수소수가 얼룩을 남기므로 사용을 금한다.
기관절개술 드레싱이 젖지 않았는지 관찰하여 피부손상을 방지한다.
기관절개관은 질기고 닳지 않는 재질로 된 끈으로 고정한다.
끈은 매일, 그리고 더러워질때마다 교환한다.
기관절개관을 교환할 때는 무균법을 준수한다.
소독된 새 관은 폐쇄기를 삽입하고 새끈을 달아서 준비한다.
습화된 산소가 호흡기 점막의 건조를 막기위해 투여된다.
내관은 흡인시마다 제거하여 멸균 생리식염수에 씻고 붙어있는 이물질을 파이프로 제거하 고 완전히 말려서 다시 삽입한다.
4. EKG(심전도)
사용목적 및 방법:
심전도(ECG, EKG)는 심장에서 생성된 전기적인 활동을 신체의 여러 측 면과 평면에서 도표로 기록한 것이다. 심전도는 심장에서의 연속적인 전기적 사건, 심박률과 리듬, 심근 손상과 전도장애를 보여준다. 심방의 비대나 확대는 심전도로 알 수 있다.
(간호)
검사 이유에 관하여 아동과 부모에게 알려준다.
아동은 검사 동안 계속 누워 있어야한다.
5.coombs test(항 글로루빈 검사)
(검사배경 및 적응증 )
항글로불린검사는 생체내에서 적혈구에 IgG나 보체(C3d)가 부착되어 있는지를 보는 검사이다. 환자의 적혈구를 세척하여 항글로불린혈청을 가하면 적혈구에 IgG나 C3d가 부착되어 있는 경우 응집이 일어난다. 양성일 경우는 자가면역성 용혈성 빈혈(AIHA), 신생아 용혈성 질환(제대혈), 이형 수혈을 받은자(수혈직후), 약제유발성 용혈(Drug-induced hemolysis), 용혈성 수혈부작용, 수혈받은 직후 자기면역반응,등의 진단에 사용된다. 결합 항체는 IgG가 가장 많고 IgM, IgA는 비교적 적으며 C3d의 결합은 종종 있다. AIHA는 치료에 의해 간접 항글로불린 시험이 음성화될 수도 있지만 직접항글로불린 시험은 쉽게 음성화되지 않는다.
(검체 준비)
항응고제(EDTA)가 포함된 용기에 들어있는 혈액 3ml
용혈된 검체는 피한다
채혈 후 24 시간 이상 경과된 검체는 피한다.
6.Tuberculin Test
결핵의 유병율이 높은 인구집단에서 실시함
검사에 쓰이는 2종류의 항원: old tuberculin(OT)
purifed protein derivative(PPD)-많이 사용됨
표준양: 용액 0.1ml에 5TU(tuberculin unit)이며 피내주사한다.
주사방법: 1. PPD를 피내로 직접 주입하는 Mantox Test
2. 다발성 천공검사
결과: 48~72시간뒤에 판독함
발적증상이 아닌 경결 증상을 측정함
직경이 5mm이하: 음성
5~9mm: 의양성
10mm이상: 양성(감염 되었음을 의미)
※위 결과가 반드시 활동성 결핵이 있음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며 현재 혹은 과거에 결핵균의 감염을 받아 결핵균 단백에 감작되어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다.
<퇴원시 간호>
(1) 퇴원 준비는 환자의 입원과정에서부터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2) 퇴원을 준비한다.
환아의 가정간호에 필요한 가족의 지식정도를 사정한다.
치료를 위해 필요한 기술을 가족에게 가르친다(시범, 지시서).
퇴원 시 예견되는 문제점, 특별한 치료를 필요로 하는 행동, 주의해야 할 증상 등에 관한 정보를 제공한다.
퇴원 후 나타날 수 있는 아동의 행동에 대해 준비시킨다.
이용가능한 지역사회의 자원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궁금한 점이 있으면 전화나 편지를 하도록 한다.
(3) 의료진의 의견에 반대하여 퇴원을 하는 경우에는 퇴원 수에 올 수 있는 반응에 대해 병 원이나 의사의 책임이 없다는 서명을 받아 보관한다.
추천자료
[모성간호학][산욕부 건강사정][임부간호] 케이스 스터디(Case Study), 문헌고찰
고위험모아간호학 2015) 고위험신생아의 고빌리루빈혈증에 대한 사정 (진단평가 및 임상증상)...
[고위험모아간호학 공통] A.고위험 신생아의 고빌리루빈혈증 사정(진단평가 및 임상증상)과 ...
뇌졸중 환자간호(뇌졸중의 위험요인, 뇌졸중의 종류, 뇌졸중 위치에 따른 증상, 뇌졸중의 임...
[간호이론] 로이의 4개 적응유형 적용 - 1)주어진 이론에 대해 정리 2)대상자(만성질환자)를 ...
아동간호학) 신생아의 신체사정
성인간호학) 귀의 건강사정
[간호학] 신생아의 신체사정
[간호학] 신생아 신체사정
[간호학] 혈액계 건강사정(노화에 따른 혈액계 변화)
[간호학] 호흡기계 사정
[간호학] 혈액계의 건강사정 (노화에 따른 혈액계의 변화와 간호포함)
[간호학] 호흡기계 사정 (성인&아동)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