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사회복지사를 위한 윤리적 실천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전문사회복지사를 위한 윤리적 실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목 차
1. 서언………………………………1

2. 사회복지 실천의 윤리 …………2
가. 윤리 ……………………………3 나. 윤리의 출현……………………4
1) 과학과 기술의 발전…………….5
2) 사회가 성숙함………………….6
다. 실천윤리의 철학적 배경………7
1) 윤리적 상대주의………………8 2) 윤리적 절대주의………………9

3. 사회복지실천과 윤리강령……10
가. 윤리강령 정의…………………11
나. 사회복지실천과 윤리강령 ……12
1) 사회복지실천의 전문성 ………13
2) 사회복지활동의 가치와 윤리…14
3) 사회복지사의 윤리강령 ……15

4. 한국사회복지사 윤리강령과 미국 사회복지사 윤리강령의 분석……16
가. 전문 …………………………17
나. 기본적 윤리 기준……………18
다. 전문성 개발을 위한 노력 …19

라. 경제적 이득에 대한 태도………20
마. 클라이언트에 대한 윤리 기준…21 바. 동료에 대한 윤리 기준.………22
사. 사회에 대한 윤리 기준 ………23 아. 복지기관에 대한 윤리 기준……24
자. 사회복지 윤리 위원회의 구성과
운영 …………………………25
차. 사회복지사 선서……………26

5. 전문 사회복지를 위한 윤리적인 실천…………………………27
가. 성적인 관계………………28
1) 법률과 윤리적인 측면 ……29 2) 종결사례 클라이언트………30
나. 손상을 입은 동료…………31
다. 이중관계…………………32
1) 이중관계………………33 2) 기타 사회적 관계 ……34

6. 결언…………………………35

각주…………………………36

참고 문헌 ,참고 사이트……37

본문내용

은 자신의 동료를 보호하기 위한 것 등 개인적인 고려를 훨씬 뛰어넘어 궁극적으로 상처받기 쉬운 클라이언트를 돕기 위한 일이라는 사실을 알아야 한다.
다. 이중관계
사회복지사와 클라이언트 간의 일차적인 관계는 치료적인 목적의 관계이며 이밖에 사회, 경제, 성적인 관계로 인식되는 것은 이중관계의 결과로 규정된다.
사회복지사의 윤리규정에 의하면, 사회복지사는 클라이언트와 모든 종류의 이중관계를 맺는 것은 비윤리적인 행위로 규정하고 있다.
사회복지사가 과거 클라이언트와 이중관계를 맺는 경우에, 전문 사회복지사에게는 비 치료적인 관계로 인해 클라이언트에게 잠재적인 위험이 있는지 혹은 클라이언트를 이기적으로 착취하고 있는 것은 아닌지 하는 문제를 지속적으로 확인해야 할 책임이 있다.
사회복지사 윤리강령에 의하면, 이중관계는 사회복지사와 그들의 클라이언트와의 관계에서뿐만 아니라 감독자와 사회복지사 사이, 즉 슈퍼바이저와 슈퍼바이지의 관계에서도 피해야 하는 일이라고 조언하고 있다.
1) 이중관계
전문가들은 클라이언트와의 관계에서 다양한 방식으로 동시에 여러 가지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지역사회는 사회복지사가 생활하기도 하고 실천하기도 하는 장소이므로 전문가 역할 이외에 사회적, 사업적, 경제적, 종교적, 기타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이중 역할의 상황에서 사람들은 혼란스러워하거나 다양한 방식으로 서로 이용하며 전문적 관계를 방해하기도 한다.
다른 관계로부터 전문적 관계를 분리시키는 것으로 이중관계의 이슈를 강조하여 사회복지사로 하여금 그러한 관계에 한계를 설정하고 가능하면 그런 상황을 피하도록 함으로써 클라이언트에게 착취나 유해의 가능성이 있는 상황은 반드시 피하여 해로울 수 있는 행동을 미연에 방지하게 한다.
2) 기타 사회적 관계
기타 사회적 관계가 윤리적인가에 대해서는 거의 합의가 이루어 지지 않고 있다. 무작위로 추출된 2000명 이상의 전문 사회복지 사, 심리학자, 정신과 의사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전문가들의 실제 행위가 그들의 신념 체계보다 훨씬 더 윤리적이라는 것을 알 수 있으며 사회적 관계에 대하여 윤리강령에서 아직 충분한 지침을 제공하지 못하고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결국 클라이언트가 누구인가? 하는 것과, 전문적 관계의 목적이 무엇인가 하는 것이 전문적 행위의 윤리성을 평가하는 두 가지 요인이다. 출처: 2000, 양옥경외 「사회복지실천론」, 나남출판사
6. 결언
사회복지를 이해하고 관여하기 위해 기존의 전통적 가치는 물론, 급격한 사회변동으로 요구되는 여러 가치들을 총체적으로 내면화시켜서 자신의 가치관을 확립해야 한다. 이와 같은 모든 가치와 철학의 바탕 위에 전문적 지식과 기술을 적용하여 현재의 사회문제를 해결하는 데 충분히 반영한다면, 사회복지의 전문성은 더욱 확고히 정립될 것이다.
거시적 차원에서 사회복지 전문적 윤리문제는 사회사업이 사회에서 갖게 되는 역할로 관련되며, 실천적 차원에서는 대개 윤리 선호도의 차원에서 고려되며 선호도를 결정짓는 개인의 윤리관이 중요한 변수로 고려된다. 한국에서 사회사업 전문직이 발전과정에 있고, 아직 그 역할이 일반사회의 인식 면에서 정립되는 단계에 있다는 현실임을 감안할 때, 전문직으로서의 발전을 위해서는 윤리강령의 토착화가 미비한 점들의 보충을 급속히 처리하여야 할 과제로 남게 된다.
윤리강령이 사회복지의 가치를 행동화하는 지침이 된다고 볼 때 실천과정에서 좀 더 구체적인 전문적 윤리선택의 틀의 제시가 필요하며 이를 위한 선행 작업으로 사회복지사들 사이의 많은 연구 토론을 통해서 합의를 볼 수 있는 작업을 해야 한다고 보인다.
또한 사회복지사업의 큰 테두리 속에서는 하나이지만 거시적 접근방법과 미시적 접근방법에는 그 접근방법에 있어서 분명히 차이가 있다고 보는 입장에서는 구체적으로 당면하는 실천상황의 지침이 될 수 있는 세분화 작업도 있음이 바람직하지 않을까 생각된다. 윤리강령이 완벽하게 작성된다 할지라도 실천과정에서는 그 모호성과 딜레마에 당면하게 됨으로 사회복지사들은 끊임없이 동료들과의 토의를 통해서 새롭게 정리하는 자세와 배우는 마음가짐을 유지함으로써 윤리문제 해결에 임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참고문헌reference, bibliography , 참고 사이트】
오혜경(2005). 사회복지 윤리와 철학. 창지사.
사회복지 윤리경영 정보센터/자료실/각종지표 http://www.ethicswelfare.net.
양옥경 외(2000) 「사회복지 실천론」서울: 나남출판사.
김만두, 한혜경 (2000) 현대사회복지개론, 서울 : 홍익제.
김융일 외(1996). 사회복지 실천론. 나남출판.
대구 가톨릭대 대학원 신종호 / 사회복지 학 석사학위 논문/2005.02 /[가톨릭 사회교리에 입각한 가톨릭 사회복지 사 윤리강령을 위한 시론적 연구] .
양옥경 (2007.12.14) 이화여자대학교,〔사회복지 실천현장에서 인권관점의 중요성〕,국가인권위원회 콜로 키움, 인권과 사회복지실천.
위키피아http://ko.wikipedia.org.
두산백과사전 EnCyber &EnCyber.com.
양옥경 홈페이지 http://home.ewha.ac.kr/~okyang.
사회복지시설 종사자의 성(sexuality)의식/태도에 관한 연구/요약 결론 및 제언 일부 발췌/09.11.01/한완수 석사논문.2008.http://cafe.daum.net/ewelfare/D9x7/6200.
행동하는 복지연합http://action2005.or.kr/zbxe/6695<나눔 칼럼>2006.03.11/(이수한 칼럼) 사회복지사의 윤리 /이수한 (행동하는복지연합 공동대표).
네이버 블로크,hhttp://blog.naver.com/wfox1001/20092584042.
시민과 함께 꿈꾸는 복지공동체http://cafe.daum.net/ewelfare.
한국사회복지협의회 『한국 사회복지 총람』(1991.pp.41-49), 문 영사.
여성부/위민 넷http://www.women.go.kr 사회복지사전 발행처 : 한국사회복지협의회 발행연도 : 1993.
사회복지 윤리경영 정보센터/자료실/각종지표 http://www.ethicswelfare.net/.
  • 가격3,000
  • 페이지수13페이지
  • 등록일2009.11.10
  • 저작시기2009.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6034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