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러가지 의미 이론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여러가지 의미 이론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언어와 의미
2. 여러 가지 의미 이론
2.1. 지시적 의미론
2.2. 심리주의 의미론
2.3. 종합적 의미론
2.4. 진리 조건적 의미론
2.5. 행동주의 의미론
2.6. 화용론적 의미론

본문내용

, use theory), 맥락론(contextual thoery), 기능론(functional theory), 화행론(話行論, speech act theory) 등을 포괄적으로 나타내는 용어이다. 이익환(1991)에서는 주로 사용론과 맥락론을 중점으로 다루고 있다. 본고에서는 사용론에 초점을 맞추기로 한다. 자세한 논의는 이익환(1991:45-55) 참조.
의미를 사용(use)이라고 보는 사용론(use theory)은 어떤 단어에 일정한 의미를 인정하지 않고, 그 단어가 사용되는 구체적인 맥락에서의 사용을 의미라고 보는 입장이다. 사용론은 의미를 개념으로 보는 입장과 정면으로 대립되는 사고방식으로, L. Wittgenstein에 의해서 확립되었다. 그는 한 단어의 의미는 그 단어의 사용법을 관찰하여 결정지을 수 있으며, 그 사용법이 그 단어의 의미라고 주장하였다.
이는 실질적인 의미를 갖지 못하기 때문에 의미의 실체를 밝히는 데 걸림돌이 되었던 단어들, 즉 접속사나 조사 따위의 의미에 대한 설명을 다른 이론보다 더 잘 할 수 있다. 단어들에 대하여 심리적 영상을 떠올리는 심리주의 의미론이나 어떠한 자극과 반응의 연쇄적 고리를 구성하는 행동주의 의미론이 이러한 어휘에 대하여 만족스러운 설명을 하지는 못한다. 하지만 이들이 각각 나름대로의 특수한 용도를 지니고 있으리라는 것은 사실이다. 따라서 이 용도(곧 사용법)를 밝히는 것이 의미라는 설명이 가능할 수 있겠다.
또한 우리가 어휘의 의미를 배우는 과정의 설명에 적절히 이용될 수 있다. 가령 어린이에게 ‘호랑이’라는 어휘의 의미를 가르친다고 하자. 심리주의 의미론에 입각하여 ‘호랑이’라는 표현과 이 표현이 가질 수 있는 영상을 서로 관련시키라고 가르치기는 어려울 것이다. 또 행동주의 의미론으로 살펴본다면 ‘호랑이’에 대하여 사람들이 어떠한 반응을 보이는지 관찰하도록 하여 이 어휘의 의미를 가르치는 것도 역시 많은 어려움이 있다. 이와 반면에 사용론적 의미론에서는 이 어휘가 어떻게, 그리고 언제 쓰일 수 있는가를 보여줌으로써 그 의미를 가르치는 셈이 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사용론적 의미론에도 문제점이 있다. 예컨대, ‘보다’와 같은 어휘는 그 용법이 아주 다양하여 일관된 의미를 부여하기가 매우 어렵다.
(7)a. 연극을 보다.(감상하다)
b. 책을 보다. (읽다)
c. 환자를 보다.(치료하다)
d. 집을 보다.(지키다)
e. 사무를 보다.(처리하다)
f. 며느리를 보다.(맞이하다)
g. 합의를 보다.(이루다)
h. 시험을 보다.(치루다)
I. 손해를 보다.(당하다)
j. 시앗 ‘시앗’은 ‘남편의 첩’을 일컫는 말로, ‘시앗을 보다’는 ‘남편의 첩을 정하다’라는 말이다.
예) 시어머니는 며느리가 아들을 못 낳는다고 시앗을 들일 생각을 하고 있다.
을 보다.(정하다)
k. 뒤를 보다.(누다)
(7)의 보기 이외에도 ‘보다’의 사용은 매우 다양할 것이다. 이로 미루어볼 때 사용을 의미라고 한다면, 무수히 많은 사용을 효과적으로 포착하여 기술하기란 실제로 불가능하게 될 것이다. 또한 단어의 사용은 고정된 것이 아니므로 그 사용을 익히는 데는 많은 시간이 걸리게 될 것이며, 새로운 사용법을 만났을 때 그 의미의 이해는 어디에서 구할 것인가 하는 문제가 생기게 된다.
이익환(1991:50)에서도 사용론적 의미론의 문제점을 지적하고 있다. 의미를 설명할 수 있는 ‘사용’(use)이라는 용어 자체에 개한 명확한 정의가 필요하다는 것이 그것이다. 사실상 의미문제에 직접 관련이 없는 언어적 사용도 많이 있기 때문이다. 예컨대, 밤중에 숲속 길을 홀로 걸어가는 사람이 있는데 이 사람을 놀려주기 위하여 갑자기 나타나 ‘안녕하세요’라고 말할 수 있다. 이 경우 상대방은 깜짝 놀라게 되고, ‘안녕하세요’의 사용의 이 표현의 표준적인 의미와 직접적인 관계가 있다고 하기는 어려울 것이다. 또한 전혀 의미없는 지껄임도 사용의 예는 가질 수 있다. 가령, 마치 미친 사람처럼 보이기 위하여 전혀 의미가 없는, 말도 제대로 되지 않는 표현들을 마구 한다면 이것은 사용은 있으나 이 사용이 표준적 의미를 부여해 주는 것은 아니다.
【참고문헌】
최재희(2001),『국어 교육문법론』, 조선대학교 출판부.
______(2006),『한국어 교육 문법론』, 태학사.
김주식(2003),『의미론의 길잡이』, 한국문화사.
윤평현(2008),『국어의미론』, 역락.
이익환(1991),『意味論 槪論』, 한신문화사.
임지룡(2001),『국어 의미론』, 탑출판사.

추천자료

  • 가격2,0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09.11.11
  • 저작시기2009.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6043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