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가 생활 중 사고사례 조사(등산중 사고 사례)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여가 생활 중 사고사례 조사(등산중 사고 사례)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추락사고
-사고 내용
-사고 원인
-사고 대책

2. 계곡 급류사고
-사고 내용
-사고 원인
-사고 대책

3. 등산로 이탈로 인한 길 잃음
-사고 내용
-사고 원인
-사고 대책

4. 계곡에 물이 불어나서 고립

5. 일사병과 열사병

6. 비, 폭우로 인한 사고

7. 태풍으로 인한 사고

8. 동상

9. 출혈

10. 중독 사고

11. 산불 사고

본문내용

동맥을 찾아 그것을 압박하는 것이 요령이다. 이를 실행하는 것만으로도 구명 되는 일이 있다.
③ 직간접 압박 병용법
직접과 간접 지혈법을 같이 행하는 지혈법이다. 대부분 이 방법으로 지혈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 방법을 사용해서도 지혈되지 않을 때는 지혈대를 사용한다.
④ 지혈대의 이용
지혈대의 조건으로는 폭이 충분한 것으로 약 5cm정도의 것이 좋다. 폭이 좁은 것이나, 끈으로 하면 그 묶은 부분이 괴사를 일으켜 후에 장애를 남기게 된다. 지혈대를 감을 때는 상처 위쪽 3cm 부분을 감아야 합니다. 지혈대를 장치하고는 15∼ 30분에 한번씩 늦추어 주는 것이 좋다. 이는 지혈된 부분의 괴사를 막기 위한 것이다. 지혈대를 한 시각을 기록하여 지혈대에 붙여주는 것이 좋다.
10. 중독 사고
-사고 내용
간혹 산행 중에 일반 사람들은 잘못된 지식으로 자기가 식물이나 버섯 등에 독이 있는지 없는지 판단하고 독이든 것을 먹어서 독에 중독되는 사건들이 있다.
-사고 원인
어설픈 지식을 가진 사람들의 잘못된 판단이 여러 사람을 위험에 빠져들게 한다. 일반 사람들은 식물이나 버섯에 독이 있는지 구별하기가 쉽지 않기 때문에 먹을 수 있는 것이라는 확신을 가지고 있지 않는 한 절대 아무것이나 먹어서는 안 된다.
-사고 대책
각자의 일반 사람들은 식물에 독을 구별하기 쉽지 않기 때문에 어설픈 지식으로 독이 있는지 없는지를 식별하지 말고 산행 중에 발견한 것은 절대 함부로 먹지 않아야 한다.
11. 산불 사고
-사고 내용
우리나라에서 산불의 원인은 사람에 의한 것이 80%이상으로 그 대부분을 차지하고, 낙뢰, 화산폭발 등 자연적인 원인에 의한 산불은 거의 없다. 산불이 가장 많이 발생하는 위험한 계절은 관계습도가 가장 낮은 3~5월 사이로, 이 기간 중에 연간 산불 발생 총 건수의 78%가 발생하고 있다.
사람들의 부주의로 인해 우리나라는 해마다 많은 산불이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2000년대 산불 발생현황
-사고 원인
● 연도별 발생추세
● 발생원인 별
● 계절 별
-사고 대책
산행 중 산불을 발견했을 경우 대처요령
산불 발견 시 119, 산림관서, 경찰서로 신고한다.
초기의 작은 산불을 진화하고자 할 경우 외투를 사용하여 두드리거나 덮어서 진화할 수 있다
산불은 바람이 불어가는 쪽으로 확산되므로 바람 방향을 감안하여 산불의 진행경로에서 벗어나도록한다.
불길에 휩싸일 경우 당황하지 말고 침착하게 주위를 확인하여 화세가 약한 곳으로 신속히 대피한다.
대피 장소는 타버린 연료지대, 저지대, 연료가 없는 지역, 도로, 바위 뒤 등으로 정한다.
산불보다 높은 위치를 피하고 복사열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어야 한다.
대피할 시간적인 여유가 없을 때에는 낙엽, 나뭇가지 등 연료가 적은 곳을 골라 연소물질을 긁어낸 후 얼굴 등을 가리고 불길이 지나갈 때까지 엎드려 있는다.
봄철 산불예방 안내
산림청에서는 봄철 건조기를 맞이하여 매년 산불조심기간(2 ~ 5월경)을 정하고, 전행정력을 동원 산불방지를 위해 총력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산림은 우리 후손에게 물려줄 소중한 재산입니다. 산불은 대부분 사람들의 사소한 부주의로 일어나고 있으므로 산행할 때에는 산불을 조심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산불조심기간 동안에는 산불위험예보에 따라 전국의 주요 산의 입산을 통제 하거나, 등산로를 폐쇄하고 있습니다. 등산이나 입산하실 경우 산림청 홈페이지나 관할 시ㆍ군ㆍ국유림관리소 등 산림부서에 문의하셔서 입산 또는 등산이 가능한 곳인지를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지정된 장소가 아닌 곳에서는 취사?야영, 모닥불을 피우거나 흡연을 하지 맙시다
산림 내 또는 산림과 근접한 지역의 논ㆍ밭두렁이나 농산 폐기물 소각으로 인한 산불 발생 건수는연평균 약20%를 차지하고 있으므로 반드시 허가를 받거나 마을공동으로 실시하되 2월 말까지는 완료하여야 합니다.
산불을 발견하였을 때에는 즉시 시ㆍ군ㆍ국유림관리소 등 산림관서나 119, 경찰서ㆍ소방서 등에 신고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산불가해자 검거에 결정적 단서를 제공한 최초 제보자에게는 일정액의 보상금을 지급하고있습니다.
산불진화 참여요령
산림과 가까운 지역에 거주하는 주민은 평소 산불진화를 위한 간이 진화도구(괭이, 칼쿠리 등)와 안전장구(안전복, 안전모, 안전화)를 갖추도록 한다.
산불진화에는 많은 인력이 필요하므로 가까운 지역에서 산불이 발생하면 건장한 젊은 분은 진화활동에 참여한다.
산불진화에 참여할 경우 현장대책본부의 지시를 받아서 조직적으로 진화활동을 수행하도록 한다.

키워드

여가,   사고,   사례,   등산
  • 가격2,0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09.11.11
  • 저작시기2009.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6049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