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I, 중환자실에서의 문제점과 그 해결방안.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QI, 중환자실에서의 문제점과 그 해결방안.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주제 선정 배경 및 필요성
1. 문제점 조사내용
2. 문제 분석

Ⅱ. 감염관리에 대한 문제점 제기 및 대책 방안
가-1. Suction catheter로 인한 흡인감염
가-2. Suction cup과 용액의 부적절한 사용.
나-1. Air로 인한 감염
나-2. 감염환자의 부적절한 관리.
*MRSA에 대한 간호학생 교육자료
다. 폐기물 박스의 부적절한 관리
라. 의료인에 의한 감염
*손씻기 중요성 인식과 무균적인 suction 시행에 관한 설문지
3.결론 및 제언

본문내용

열 수 있도록 만든다.
(현재 20개의 폐기물 박스에 2개의 박스만 제외하고 뚜껑 없이 open 되어 있다. )
라. 의료인에 의한 감염
[ An infection caused by Dr & Nr ]
1)의료인의 손 씻기 혹은 손 소독의 부재로 인한 교차 감염의 위험성이 있음.
문제) ① 의료인의 손 씻기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 미흡.
[ Cross infection ]
1)전염성 질환 환자와 그렇지 않은 환자의 간호 시 씻지 않은 손으로 만질 경우 감염을 유발할 수 있는 요인이 됨.
문제) ① 환자를 보고 다음 환자를 볼 때 손씻기를 잘 하지 않아 교차감염의 위험성이 높음.
의료인의 손 씻기에 대한 중요성 강조.
① Poly glove를 착용한 상태에서 환자에게 처치 한 후 Glove를 벗고 나서 환자 옆에 비치한 손 소독제(Alcohol jelly) 로 소독 후 다시 Glove를 착용하여 의료인에 의한 감염의 경로를 차단함.
②의료인과 간호학생들에게 손 씻기의 중요성에 대하여 재인식 시키기 위한 교육을 시행한다.
③벽이나 남는 공간의 손씻기 중요성을 알리는 포스터를 붙여 손씻기 중요성을 재인식 시킨다.
④손씻기 중요성 인식에 관한 설문지를 조사한다,
손씻기 중요성 인식과 무균적인 suction 시행에 관한 설문지
의료진 :
1. 손씻기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
①매우 중요하다. ② 중요하다. ③보통이다. ④ 중요하지 않다.
2. Suction 전 후 손씻기의 시행유무
① 예 ② 아니오
3. 무균적인 Suction 시행을 위해 Suction catheter를 aseptic 하게 다루었는가?
① 예 ② 아니오
4. 무균적인 Suction 시행을 위해 Suction cup에 saline을 남기지 않았는가?
① 예 ② 아니오
3.결론 및 제언
병원 감염은 환자의 기저질환, 면역력 감소 등의 내부적인 위험요인과 의료인에 의해 행해지는 인공기도 삽관이나 인공호흡기 유지 같은 각종 침습적 조작, 오염된 인공호흡 기구, 무균적이지 않은 Suction 시행, 손씻기 미흡 등 외부적인 위험요인에 의해 기인된다. 따라서 외부적인 위험 요인이라도 줄일 수 있다면 병원 감염 발생률을 감소시킬 수 있을 것으로 예견된다. 이에 철저한 손 씻기와 무균적인 기도 흡인법을 강화하고 의료기구의 주의 깊은 사용 등을 염두에 두어야 할 것이며, 병원 감염 발생 위험 요인을 분석하여 감염 발생을 예측하는 연구가 더욱 필요할 것을 제안한다.

키워드

  • 가격5,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9.11.13
  • 저작시기2009.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6077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