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기술역학연구
1) 인적 변수
2) 지역적 변수
3) 시간적 변수
2. 분석역학연구
1) 관찰연구
(1) 생태학적 연구
(2) 단면연구(시점조사, 유병률 조사)
(3) 환자-대조군 연구(=기왕조사)
(4) 코호트 연구
2) 실험연구
(1) 임상실험
(2) 지역사회 실험
1) 인적 변수
2) 지역적 변수
3) 시간적 변수
2. 분석역학연구
1) 관찰연구
(1) 생태학적 연구
(2) 단면연구(시점조사, 유병률 조사)
(3) 환자-대조군 연구(=기왕조사)
(4) 코호트 연구
2) 실험연구
(1) 임상실험
(2) 지역사회 실험
본문내용
다.
① 장점
- 위험도를 모집단에 적용할 수 있다.
- 폭로요인에 대한 질병의 자연사를 파악할 수 있다.
- 질병의 인과관계를 비교적 정확히 알 수 있다.
- 시간선후관계, 상대위험도, dose-respore관계를 비교적 정확히 파악 할 수 있다.
② 단점
- 발생빈도가 적은 질병은 활용이 어렵다.
- 경배, 시간, 노력이 많이 필요하다.
- 장기간의 추적 조사시 대상자가 중도에 탈락되기 쉽다.
- 연구기간이 길어지고 연구자가 바뀔 경우 추적조사시 문제가 생긴다.
2) 실험연구
: 질병발생의 원인을 실험적으로 규명하려는 역학 연구방법으로 질병의 원인을 밝히고자 할 경우, 예방접종과 질병 발생과의 관계규명을 통한 보건사업의 평가 등의 연구 시 활용될 수 있다.
(1) 임상실험
: 임상의학에서 가장 널리 쓰임
(2) 지역사회 실험
: 최근 많은 역학적인 연구결과로 질병발생과 관련되어 있는 각종 위험요인들이 많이 알려지게 됨에 따라 어떤 인구집단을 대표하는 집단을 대상으로 위험요소를 제거하거나 또는 생활태도를 변화시킴으로써 대상 질병의 발생이 감소되는지를 규명하려는 일차예방사업의 효과를 측정하는 연구방법
▶ 실험적 연구의 세 가지 조건
- 실험군과 대조군을 선정하여야 한다.
- 선정시에는 반드시 모집단을 대표할 수 있는 무작위로 대상군을 각각 선정하여 선택적 편기를 없애야 한다.
- 실험군의 독립변수의 성질을 임의로 조작하여 대조군과의 차이를 검증하여야 한다.
※ 참고자료
김모임, 대상자중심의 지역사회간호학(개정판): 현문사, 2002년
김화중, 지역사회간호학 (제7판) : 수문사. 2002년
① 장점
- 위험도를 모집단에 적용할 수 있다.
- 폭로요인에 대한 질병의 자연사를 파악할 수 있다.
- 질병의 인과관계를 비교적 정확히 알 수 있다.
- 시간선후관계, 상대위험도, dose-respore관계를 비교적 정확히 파악 할 수 있다.
② 단점
- 발생빈도가 적은 질병은 활용이 어렵다.
- 경배, 시간, 노력이 많이 필요하다.
- 장기간의 추적 조사시 대상자가 중도에 탈락되기 쉽다.
- 연구기간이 길어지고 연구자가 바뀔 경우 추적조사시 문제가 생긴다.
2) 실험연구
: 질병발생의 원인을 실험적으로 규명하려는 역학 연구방법으로 질병의 원인을 밝히고자 할 경우, 예방접종과 질병 발생과의 관계규명을 통한 보건사업의 평가 등의 연구 시 활용될 수 있다.
(1) 임상실험
: 임상의학에서 가장 널리 쓰임
(2) 지역사회 실험
: 최근 많은 역학적인 연구결과로 질병발생과 관련되어 있는 각종 위험요인들이 많이 알려지게 됨에 따라 어떤 인구집단을 대표하는 집단을 대상으로 위험요소를 제거하거나 또는 생활태도를 변화시킴으로써 대상 질병의 발생이 감소되는지를 규명하려는 일차예방사업의 효과를 측정하는 연구방법
▶ 실험적 연구의 세 가지 조건
- 실험군과 대조군을 선정하여야 한다.
- 선정시에는 반드시 모집단을 대표할 수 있는 무작위로 대상군을 각각 선정하여 선택적 편기를 없애야 한다.
- 실험군의 독립변수의 성질을 임의로 조작하여 대조군과의 차이를 검증하여야 한다.
※ 참고자료
김모임, 대상자중심의 지역사회간호학(개정판): 현문사, 2002년
김화중, 지역사회간호학 (제7판) : 수문사. 2002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