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료] 소성이란?(은 페이스트)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 실험 목표

◉ 배 경 이 론

◉실 험 도 구

◉실 험 방 법

◉결과 및 고찰

◉참고 문헌 및 사이트

본문내용

70℃) 또는 그 이상으로 다른 것이 보통이다. 점토가 아닌 소지나 단일산화물 소지는 조성이 단순한 것이 많으므로, 전통 세라믹스 소지보다도 훨씬 쉽다. 일반적으로 도자기제조공정 가운데 소성은 건조 → 1차소성 → 시유 → 2차소성 → 제품의 순으로 이용된다.
실 험 도 구
Silver paste, FURNACE, 붓, 건조로, 비닐 장갑, 내화접시, sand paper, 에탄올, 고무골무, 핀셋, Kimwipes
실 험 방 법
1. 연마와 세척을 마친 시편을 핀셋으로 집는다.
2. silver paste를 붓을 사용하여 그림2 와 같이 시편 한 쪽 면을 칠한다.
3. 그림3.과 같이 내화접시에 놓고 실온 에서 분간 건조로에서 건조 시킨다.
4. 건조가 끝난 시편의 은 칠한 부분의 반대편을 위의 2~3번 작업방법으로 반복 한다.
5. 시편을 FURNACE에서 550 ℃에서 10분 소성 시킨다.
6. silver paste칠이 끝난 시편을 그림4와 1000# sand paper을 가지고 양면을 제외한 나머지 옆면의 은 칠을 제거한다.
7.불필요한 부분의 은 칠을 제거한 제품을 세척 건조 한다.
그림.2 silver paste칠하는 모습 그림.3 은 칠 후 건조 그림.4 NTC측면 연마
온도

시간min
그림5. 소성 Curve
결과 및 고찰
silver paste를 칠하는데 있어 큰 어려움은 없었으나, silver paste의 종류를 잘못 인식하여 상온 건조용과 고온 건조용을 잘못 사용 하였다. 상온 건조용을 고온 건조용으로 인식하여 건조로에서 실온 건조 시킨 결과는 접착이 되어야할 silver paste가 벗겨지는 현상이 일어나 다시 재작업을 하고 다시 실험을 해야 했다.
소결 중 나타난 크렉에 대한 부분은 연마 작업에서 제거하지 못하였으므로 silver paste를 크렉간 부분에 두껍게 칠하는 방법을 택하였다. 따라서 크렉이 많이 간 2번 과 6번에 대해서 silver past를 두껍게 칠 하였다.
소성 중에는 상승 온도와 시간을 정확히 지켰으며 연마부분에 있어서는 크게 문제되는 부분 없이 쉽게 불필요한 부분을 제거 할 수 있었다.
앞으로의 실험에서 크렉이 간 2번.6번 부분의 데이터가 은칠을 두껍게 한 후에도 예상하는 정상수치의 저항값이 나올지 의문이 생겼고 두고 봐야 할 것이다.
참고 문헌 및 사이트
http://100.empas.com/dicsearch/pentry.html?i=1500470

키워드

  • 가격2,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9.11.19
  • 저작시기2007.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6178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