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개 요
2. 건축의 특성
3. 분묘(무덤)건축
4. 신전건축
※ 선사시대부터 초기 문명사회까지의 실내 디자인 ※
2. 건축의 특성
3. 분묘(무덤)건축
4. 신전건축
※ 선사시대부터 초기 문명사회까지의 실내 디자인 ※
본문내용
t Ammon Temple, Karnak, B.C. 1971-633)
* 암몬(Ammon) : 하 이집트(Memphis 지방)의 기성의 태양신 라(Ra)에 상당하는 상 이집트
(테베;Thebes 지방)의 신흥 태양신
* 전체 평면은 참도, 노변, 스핑크스와 대소 3개소의 중정, 대소 5기의 파일론, 8기의 오벨리스크, 3개
소의 다주실, 2개소의 성소 등의 1300여 년이 소요되어 건설
* 일직선 축을 따라 탑문(塔門;pylon), 마당(court), 다주실(多柱室;hypostyle hall),
성소(聖所;santuary)로 이어짐
* 높은 담으로 안팎을 구분하여 신의 영역으로 들어가는 길임을 암시하는 오벨리스크의 상징성
고창(clearstory)의 빛을 따라 다주실을 통해 성소로 이어지는 좁은 길 => 나일강의 상징
* 1300여년에 걸친 공사에도 불구하고 평면 구성에 모순이 없고 질서정연
※ 선사시대부터 초기 문명사회까지의 실내 디자인 ※
[선사시대의 인테리어]
- 원시적 : 무지하거나 무식하고 열등함이 아닌 기술된 역사를 가지고 있는 몇천년 동안에 발전되어온 현대
기술 사회의 영향을 받지 않은 사람들 또는 문화, 문명들을 말함
- 동굴의 벽화
▷ 동굴이라는 자연 공간을 장식하기 위함 보다는 사냥할 동물들에게 신비로운 힘을 끼칠 수 있는 이미지
제공을 위함
- 살아가기 위한 주거와 구할 수 있는 재료를 이용한 구성
- 아누비스의 그림, 파슈드의 무덤, 테베 (B.C1500)
▷ 천장은 상형문자의 비문들로 덮임
▷ 신비주의적이지만 색채는 고대 이집트 예술에서 전형적으로 나타나던 화려한 장식적 특징
- 땅위, 땅속, 혹은 모양의 생김새에 관계 없이 인테리어 공간은 그들만의 존재를 가짐
▷ 디자인된 것이 아닌 텅 빈 공간
▷ 그 들의 생활에 필요한 가구 및 물품들이 들어가야 하는 자리
- 직조 기술의 개발
▷ 염색과 문양을 짜 넣음 => 점차 복잡한 기하학적 문양으로 발전
▷ 현대 사람들이 생각하는 장식적이 아닌 의도적인 의미들을 가짐
- 메소포타미아 (수메르)
▷ 그림문자의 체계가 사용
▷ 인테리어의 재료는 오직 진흙을 말려 만든 벽돌 => 내구성이 약해 폐허만이 존재
▷ 우르크의 화이트 탬플 : 벽에 하얀 회칠
▷ 우르크 건축 : 검정, 빨강, 흰색으로 칠해진 진흙 원뿔들이 정교한 패턴으로 박힌 벽돌 => 모자이크와
같은 형태
▷ 아시리아의 사르곤 궁전 : 풍부한 색깔의 광택 타일이 바닥재로 쓰임
* 암몬(Ammon) : 하 이집트(Memphis 지방)의 기성의 태양신 라(Ra)에 상당하는 상 이집트
(테베;Thebes 지방)의 신흥 태양신
* 전체 평면은 참도, 노변, 스핑크스와 대소 3개소의 중정, 대소 5기의 파일론, 8기의 오벨리스크, 3개
소의 다주실, 2개소의 성소 등의 1300여 년이 소요되어 건설
* 일직선 축을 따라 탑문(塔門;pylon), 마당(court), 다주실(多柱室;hypostyle hall),
성소(聖所;santuary)로 이어짐
* 높은 담으로 안팎을 구분하여 신의 영역으로 들어가는 길임을 암시하는 오벨리스크의 상징성
고창(clearstory)의 빛을 따라 다주실을 통해 성소로 이어지는 좁은 길 => 나일강의 상징
* 1300여년에 걸친 공사에도 불구하고 평면 구성에 모순이 없고 질서정연
※ 선사시대부터 초기 문명사회까지의 실내 디자인 ※
[선사시대의 인테리어]
- 원시적 : 무지하거나 무식하고 열등함이 아닌 기술된 역사를 가지고 있는 몇천년 동안에 발전되어온 현대
기술 사회의 영향을 받지 않은 사람들 또는 문화, 문명들을 말함
- 동굴의 벽화
▷ 동굴이라는 자연 공간을 장식하기 위함 보다는 사냥할 동물들에게 신비로운 힘을 끼칠 수 있는 이미지
제공을 위함
- 살아가기 위한 주거와 구할 수 있는 재료를 이용한 구성
- 아누비스의 그림, 파슈드의 무덤, 테베 (B.C1500)
▷ 천장은 상형문자의 비문들로 덮임
▷ 신비주의적이지만 색채는 고대 이집트 예술에서 전형적으로 나타나던 화려한 장식적 특징
- 땅위, 땅속, 혹은 모양의 생김새에 관계 없이 인테리어 공간은 그들만의 존재를 가짐
▷ 디자인된 것이 아닌 텅 빈 공간
▷ 그 들의 생활에 필요한 가구 및 물품들이 들어가야 하는 자리
- 직조 기술의 개발
▷ 염색과 문양을 짜 넣음 => 점차 복잡한 기하학적 문양으로 발전
▷ 현대 사람들이 생각하는 장식적이 아닌 의도적인 의미들을 가짐
- 메소포타미아 (수메르)
▷ 그림문자의 체계가 사용
▷ 인테리어의 재료는 오직 진흙을 말려 만든 벽돌 => 내구성이 약해 폐허만이 존재
▷ 우르크의 화이트 탬플 : 벽에 하얀 회칠
▷ 우르크 건축 : 검정, 빨강, 흰색으로 칠해진 진흙 원뿔들이 정교한 패턴으로 박힌 벽돌 => 모자이크와
같은 형태
▷ 아시리아의 사르곤 궁전 : 풍부한 색깔의 광택 타일이 바닥재로 쓰임
추천자료
그리스건축과 로마건축의 비교
인도건축의 역사와 시대별 건축의 특징 (사진자료 첨부)
건축가 없는 건축 & 친환경건축
[르네상스][건축][건축가][철학][수사학][음악]르네상스의 어원, 르네상스의 의미, 초기 르네...
[바빌론][바빌론 형상][바빌론 공중정원건축 유래][바빌론 공중정원건축 과정][바빌론이 주는...
[인간][예술][미술][음악][건축][건축물]인간의 의미, 인간과 예술, 인간과 미술, 인간과 음...
안드레아 팔라디오의 건축이론 및 건축방법, 현대건축에 미친 영향
건축과 냉방-창을 통한 직사광을 차단할 수 있는 각종 건축적 장치
[신고전주의][신고전주의 건축]신고전주의의 특성, 신고전주의의 시대구분, 신고전주의의 배...
[중세 크리스트교][중세 비잔틴건축][중세 로마네스크건축][중세 고딕건축][중세][크리스트교...
[그리스 건축 의의][그리스 건축 특징][그리스 건축 영향요인][그리스 건축 건물][그리스 건...
[메소포타미 건축]메소포타미아의 자연환경, 메소포타미아의 정치발전, 메소포타미아의 종교,...
[르네상스][르네상스 건축][건축][플라톤주의][휴머니즘][팔라디오]르네상스의 의의, 르네상...
[현대건축] 건축가, 일본건축과 안도 다다오 (안도 타다오 / Ando Tadao) & 쿠마 켄고 (K...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