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대퇴 골절 케이스 스터디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A+) 대퇴 골절 케이스 스터디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I. 기초자료 수집
1. 개인력
2. 건강력
(1) 현병력
(2) 과거력
(3) 가족력
3. 간호력
4. 각 기관의 조사
5. 신체검진
6. 질병에 관한 문헌 고찰
7. 진단을 위한 검사 소견
8. 의학적 치료 및 경과

Ⅱ. 간호과정 적용

Ⅲ. 참고문헌

본문내용

종, 인두부종> 두드러기,
ㆍ범혈구감소, 무과립구증, 재생 불량성빈혈, 용혈성 빈혈
간기능장애, 황달(AST,ALT등의 상승)
Bromeel
(Symphytum tinc )
ㆍ초기에는 1회 1앰플, 1일 3회 주사
ㆍ어느정도 증상이 완화되면 1회 1앰플을 1주 1~2회 2~3주간 정맥, 근육, 피하, 활액낭 주위 또는 관절주위 주사
1A/IV q 12hrs
ㆍ여러 기관과 조직에서 염증과 관련된 염증성 및 퇴행성 과정(건초염, 경돌염, 상과염, 점액낭염, 관절주위염, 상완견갑골염)
ㆍ고관절, 무릎관절 및 작은 관절에서의 관절증
ㆍ급성 뇌진탕
ㆍ외상(삠, 탈구, 타박, 골절), 혈액삼출 및 관절내 삼출
ㆍ수술 후 및 외상 후의 유연부 부종 및 종창
ㆍ혈압상승, 체온증가, 갈증, 환각, 운동항진
ㆍ신장애, 심장허약
ㆍ자극성 통증, 무균성 혈액 삼출
Nifedipine
(Nifedipine)
ㆍ관동맥심질환
-15-30mg 경구 투여
ㆍ관동맥성 경련
-1일 80mg에서최대 120mg까지 증량 투여
ㆍ고혈압
-1회 10mg 1일 3회투여
ㆍ응급성 고혈압 (고혈압성 발증)
-1회10-20mg 을 투여
1C/SC
ㆍ관동맥심질환(만성안정형협심증, 이형협심증)
ㆍ고혈압(고혈압성발증 포함)
ㆍ레이노병 및 레이노증후군
ㆍ간장: 황달, AST,AST,ASP 상승
ㆍ비뇨기계: BUN 상승, 크레아티닌 상승, 야뇨, 발기부전
ㆍ순환기계: 흉통, 심근경색, 저혈압, 부종, 발열
ㆍ정신신경계: 두통, 불안
ㆍ구토, 변비, 설사, 알레르기, 발진
PRN Order
demerol
25mg/IM
ㆍ모르핀 대용약제
ㆍ마약성 진통제, 진정제
혈압의 하강, 심박출량 감소, 호흡기능 억제
ㆍ중추신경계의 흥분을 초래해 진전, 근경련, 간질 발작
ㆍ내성을 갖는 환자가 짧은 간격으로 다량을 반복해서 복용하면 진전·근육경련·산동·반사활동 항진·발작·환각
⑵ 지지요법
예) 식이요법, 산소요법
① 식이요법
- 9/22 점심까지 RD.
저녁부터 NPO
9/23 OP DAY - NPO
9/24 SD
9/25~10/1 RD
2) 외과적 치료 및 특수치료
예) 수술, 호흡기계치료 등
① 외상 입은 하지전체 지지를 위해 현수견인 적용.
② OR / IF 수술 (Open Reduction Internal Fixation) - 9월 23일
Ⅱ. 간호과정 적용
적용날짜: 2009. 9/28~9/29
- 신체적 부동과 관련된 피부손상
- 신체적 부동과 관련된 변비
- 통증과 관련된 수면장애
사정
→2009. 9/25
주관적 자료
객관적 자료
“엉덩이가 아파”
시작시기 : 09/09/25 사정 시 이미 진행 중
부위 : 좌측 둔부의 표피가 지름 5cm 벗겨짐
간호진단
신체적 부동과 관련된 피부손상 (The skin damage related to a body immobility)
기대결과
대상자와 보호자는 욕창 발생의 심각성을 알고, 피부 손상의 증상을 안다.
피부손상부위의 상태가 더 이상 악화되지 않는다.
올바른 피부 관리로 손상부위의 통증을 줄인다.
간호중재
간호계획
이론적 근거
간호수행
1.매일 피부 상태를 기록한다.
2.위험사정도구를 사용하여 위험요인을 모니터한다.(ex. Braden scale-욕창발생위험인자)
3.땀, 상처배액, 변, 요실금 등으로 생긴 지나친 습기는 제거한다.
4.매일 한두 시간마다 적절한 체위변경을 시킨다. 뼈 돌출 부위의 마사지는 삼가고, 압박 부위는 베개를 대어 침요에 닿지 않게 한다.
5.단백질, 비타민B, C, 철분, 열량을 보충한 적절한 식이섭취를 한다.
6.이동한 상피세포나 새롭게 형성된 육아조직을 손상시키지 않고 괴사조직과 과도한 삼출액을 제거한다.
1.욕창 대상자는 혈관 불충분과 외상환경과 관련된 피부통합성 장애와 피부의 방어벽 파괴와 국소적 혈액공급 손상과 관련된 감염위험성과 상처확대의 위험성을
갖고 있다.
2.욕창에 걸리기 쉬운 인자(지각인자, 습윤, 활동성, 가동성, 영양상태, 마찰력과 밀림)들을 찾아내어 위험도가 높은 대상자는 더욱 간호에 주의를 기울인다.
3.궤양이나 과도한 분비물은 습기를 증가시켜 세균의 성장을 촉진시키고 침윤을 유도해 치유를 방해할 수 있다.
4.욕창은 연조직(피부, 피하조직, 근육)이 장시간 뼈의 돌출부와 편평한 바닥 사이에서 눌렸을 때 발생한다. 손상을 입는 시간은 각각 다르지만 허약한 대상자인 경우 2시간 이내에 영구 손상을 입을 수 있다.
5.영양결핍은 피부분해 위험성을 높이고 표피증식과 콜라겐 합성을 방해하여 상처치유를 지연시킨다. 심각한 단백질 결핍은 치유과정을 방해하고 국소적 숙주방어 능력을 손상시킨다.
6.드레싱은 죽은 조직을 기계적으로 분리하거나, 박테리아 효소의 자가소화를 촉진하는 환경을 만들어 괴사조직의 제거를 돕는다.
1.주변피부의 색, 온도, 부종, 습기를 관찰하고, 상처 부위에 감염이나 징후가 있는지 감시하고, 보호자에게 피부손상의 증상을 교육한다.
2.일정한 시간 간격을 두고 욕창의 크기, 단계, 위치, 삼출물, 괴사조직, 상피화 등을 파악한다.
3.순한 비누나 물로 궤양 주변 피부를 청결히 하고, 습도를 유지한다.
4.장기간의 압박을 피하기 위해 매 1~2시간 마다 체위변경을 하고, 대상자는 침상 내에서 몸을 조금씩 움직여 무게중심이 자주 바뀌도록 한다. 특수침대나 매트리스를 사용한다.
5.대상자의 영양 상태를 사정하고 적절한 식이를 섭취한다.
6.올바른 드레싱으로 괴사조직을 제거하고, 노출된 조직을 보호하며, 욕창부위가 폐쇄될 때까지 치유를 촉진한다.(욕창 2단계 때는 습한 치료환경을 유지하고, 폐쇄 드레싱)
평가
→2009. 9/30
대상자와 보호자는 의도적으로 체위변경을 하도록 힘썼다.
욕창발생부위의 피부는 적당한 습도로 유지되어 청결하게 관리되고 있고, 더 이상의 진행은 없었다.
손상부위에 대한 대상자의 통증 호소 빈도가 하루 5~6회에서 2~3회로 줄었다.
Ⅲ. 참고문헌
저자(연도). 책제목, 출판사. 인용페이지
2005. 성인간호학 하권, 현문사. 420, 432~438page, 800page.
드러그인포 http://www.druginfo.co.kr/
KMLE 의학 검색http://www.kmle.co.kr/
  • 가격2,000
  • 페이지수13페이지
  • 등록일2009.11.22
  • 저작시기2009.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6236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