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처리와 미세조직
본 자료는 6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해당 자료는 6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6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열처리와 미세조직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실험제목
2. 실험목적
3. 실험개요
4. 재료와 장비
5. 실험 절차
5. 실험 결과
6. 토의사항
7. 참고 사항
8. 참고문헌

본문내용

강에 인성을 부여
(2)뜨임에 의한 조직 변화 단계
단계
온도
변화
부피
1단계
∼200℃
α마텐자이트 → β마텐자이트
수축
2단계
200∼300℃
잔류오스테나이트 → 마텐자이트
팽창
3단계
250∼400℃
마텐자이트 → 트루스타이트
수축
4단계
400∼600℃
트루스타이트 → 소르바이트
수축
★강의 항온 열처리
①오스템퍼링
오스테나이트 상태로 부터 강을 S곡선의 코와 Ms점 사이의 항온 염욕에 급랭하여 항온유지하는 처리
조직 : 베이나이트
②마템퍼링
오스테나이트로 부터 Ms점 이상의 온도로 담금질 하여 강 전체의 온도가 균일해질 때까지 냉각제에서 유지하한 후 공랭하여 Ar" 변태를 천천히 진행한 후 뜨임처리 하 는 조작
조직 : 마텐자이트
특징 : 담금질에 의한 변형 및 균열이 없다.
③마웅칭
Ms∼Mf 사이의 온도의 염욕에 급랭하고, 변태가 완료할 때까지 항온 유지시키는 열 처리
조직 : 마텐자이트 + 베이나이트
★Hot mounting press사용법
-전원을 켜고 냉각수를 공급한다.
-앞 판넬의 오른쪽 하단부위의 밸브를 오른쪽으로 돌린 후 , 레버를 이용하여 가압 한다.
-상단부위에 시편을 장착한 후, Phenolic resin을 삽입한다.
-합성수지: Phenolic resin, 온도:150℃ 유지, 압력:3000psi 유지, 시간:약15분으로 설정 한다.
-충분히 냉각한 후 과정 3과 같은 방법으로 마운팅된 시편들을 꺼낸다.
★비커스 경도(Vikers hardness)
-압입체로서 대면각 Θ=136°의 다이아몬드 피라미드를 사용한다. 시험편에 작용하는 하중 P(kgf), 136°자국의 표면적 F(mm)라 하면 H=P/F로 표시된다. 비커스 경도 H는 H==이다.
★열처리 가열로 사용법
1)가열로의 전원을 켠다.
2)Slide 스위치를 PROG로 올리면 계기 전면에 Pn이라고 display된다. Pn은 pattern number 를 나타내며 각 pattern의 조정은 ▷(2)와 △(3)로 표시된 key로 조종된다. shift key(12) 를 동시에 누르면 Function이 하나씩 넘어가는데 모든 Function은 위와 동일하게 ▷과 △ 로 표시된 key로 조종된다.
3)두 번째와 세 번째 Function은 SLH와 SLL으로 상한 온도 범위와 하한 온도 범위를 나타 내며 동작범위를 지정한다. 온도를 지정한 후 ENT key를 눌러 지정을 입력한다. SLH에서 ENT key(4)를 누르면 SLL로 넘어가고 SLL지정이 필요 없을 때에는 Shift와 SEG key를 눌러 다음 Function으로 넘어간다.
4)네 번째와 다섯 번째 Function은 LEVEL과 TIAE으로 온도와 시간을 지정한다. LEVEL에 서 올릴 온도를 지정한 후, ENT를 눌러 입력하게 되면 시간지정으로 넘어가게 된다. 올리 고 싶은 온도의 승온 시간을 입력하고 ENT를 눌러 입력한다. SEG를 누르면 두 번째 segment지정으로 넘어가게 되며, 나머지 과정은 위와 같다.
5)모든 입력이 끝나면 Slide 스위치를 PV로 내린 후 RUN key를 누르면 동작을 시작한다.
그림1의 컨트롤러에서 각 버튼의 기능은 다음과 같다.
1)shift : 겸용동작 key의 아래부분으로 기능으로 전환시킬 때, 이 key를 누르고 동작 key를 누르면 아래 부분 기능으로 전환된다.
2)▶ : 입력치를 변경시킬 때 사용하며 1회 누를 때마다 점멸 위치가 변경됩니다.
3)▲ : 입력치를 증감시킬 때 사용한다.
4)ENT : 수치를 입력할 때 사용한다.
5)SEG : segment 별로 설정할 때 사용한다.
6)HOLD : 입력을 완료 후 프로그램 조절이 진행 될 때 누르면 프로그램 진행이 정지된다.
7)RUN : 프로그램을 진행시킬 때 사용한다.
8)MAN : 계기를 수동으로 동작 시킬 때 사용한다.
9)DISP : 지시값의 확인에 사용되며 측정치, 변수조절, 시간, 반복횟수 등을 지시한다.
10)shift+▶ : 지시치가 점멸하고 있을 때 사용하면 지시키를 0으로 만든다.
11)shift+ENT : 최종 수치를 입력하고 수치가 점멸할 때 이를 눌러서 기억시키면 기억종료 를 지시한다.
12)shift+SEG : 계기에 각종 수치를 입력할 때 Function의 변경에 사용한다.
13)shift+HOLD : 고정된 설정값에서 동작이 필요할 때 사용한다.
14)shift+RUN : 프로그램조절이 되는 동안 누르면 현재 진행 중인 segment를 건너뛰고 다 음 segment로 옮겨간다.
15)shift+MAN : 고정된 입력값 조절, 수동조절을 재설정 할 수 있다.
16)shift+DISP : 프로그램 조절이나 고정된 입력값 조절에 사용되며 최적의 P.I.D 값의 자동 선택을 지시한다.
PTN : 진행 중인 pattern을 표시한다.
SEG : 진행 중인 segment를 표시한다.
★주의사항
-마운팅 할 때 냉각수의 공급여부를 확인한다.
-예비연마를 할 때 열이나 변형의 영향으로 조직이 변질되지 않도록 계속적으로 냉각 수로서 냉각을 시키면서 연마한다.
-거친연마를 할 때 시편에 무리한 힘을 가하지 않아야 한다. 만약 무리한 힘이 가해 지면 표면이 배가 질수가 있다.
-사포는 600방에서 3000방순으로 사용한다. 매회 그 전의 사표로부터 발생된 흠과 직각방향으로 사포질하여 전의 흠이 새로운 방향의 흠으로 없어질 때 까지 사포질 을 한다.
-에칭을 할 때 에칭용액에 비스듬하게 넣어야 기포가 생기지 않는다. 그리고 에칭용 액에 너무 오래 담그고 있으면 조직이 많이 타기 때문에 오래 담그고 있지 말아야 한다.
-경도를 측정할 때 찍은 자리에서 10배 떨어진 곳에서 찍어야 한다.
8. 참고문헌
-신소재기초 실험, 강원환경,생체 신소재 지역인재 육성사업단, (주)북스힐, p.7~40.
-http://web.edunet4u.net/Users/inja/heat/heat-treat-2.htm
-http://cafe.naver.com/gaury.cafe?iframe_url=/ArticleRead.nhn%3Farticleid=7434
REPORT
과목명 :
교수명 :
학과 :
학번 :
이름 :
  • 가격3,900
  • 페이지수19페이지
  • 등록일2009.11.24
  • 저작시기2009.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6283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