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간호과정
본문내용
공기 축적 여부와 감염이나 염증증상 사정함.
9/17
9/18
9/21
9/22
9/23
C-tube삽입부위
Clear
Clear
Clear
Clear
Clear
⑥ 수술 부위가 붓거나 붉어짐 또는 통증이나 열감이 있을 시 간호사에게 즉시 알릴 것을 교육함.
이론적 근거
① 감염 발생 시 혈압, 호흡수, 맥박, 체온이 상승된다.
② 감염 발생 시 백혈구 수 및 적혈구 침강속도 등의 수치가 증가한다.
③ 항생제를 감염 전에 투여함으로써 감염을 예방 할 수 있다.
④감염 증상을 수시로 확인함으로써 감염의 진전을 막는다.
평가
9/23일 통증이나 열감 등이 느껴지지 않는다고 환자가 말로 표현하였다.
9/23일 삽입부위 clear로 잠재성 감염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하였다.
9/24일 임상결과 확인 시 감염과 관련된 검사 수치의 증가가 없었다.
날짜
9/16~9/22
간호진단 #3.
흉막강내 공기 유출과 관련된 비효율적 호흡양상
간호사정
S : “숨이 차서 숨쉬기 답답해요.”
O : 호흡수 26회.
O : 기침을 지속적으로 하고 있다.
목표
9/22일 까지 dyspnea호소 없이 호흡이 편안하다고 말한다.
계획
① 활력징후를 측정한다.
② 효과적인 호흡법과 기침법에 대해 설명한다.
③ 필요시 산소를 공급한다.
④ 흉부 밀봉 배액법을 실시한다.
수행
① 활력징후를 측정했다.
① V/S
9/16
9/17
9/28
9/21
9/22
BP
118/75
116/63
120/80
115/63
117/64
P
91
75
80
101
70
R
24
20
20
20
20
T
38.6
36.0
36.2
37.0
36.8
② 수술 후 심호흡과 기침을 하도록 격려하였고, 심호흡과 기침의 중요성에 대해 설명함.
③ chest tube를 지지하고 기침을 하도록 함 .
④ 배액병 연결 튜브가 꼬였는지 계속 공기가 나오고 있는지 자주 확인함.
air leakage
9/16
9/17
9/18
9/21
9/22
Rt
+
+
-
-
-
Lt
++
++
-
-
-
9/16→ 02 7L/min mask 흡입.
⑤ 9/17→ both chest tube negative 20cmH2O로 portable suction 시행함.
이론적 근거
① 무기폐 부위는 호흡음이 없고 부분적으로 허탈된 부위는 호흡음이 감소된다.
② 늑막강으로 공기가 유입되면 늑막강의 압력이 음압에서 양압으 로 바뀌어 폐가 확장되지 못하고 허탈된다.
③ 산소를 적용하면서 조직의 산소화를 도모한다.
④ 공기를 빼내어 늑막강이 음압으로 되게 하여 폐를 재확장 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⑤ 음압이 15~20cmH20 이상인 경우 조직이 상하거나 종격동의 출혈이 있기 때문에 흉막의 공기배출을 위해 시행한다.
평가
9/22일 dyspnea호소 없었으며 호흡수가 26회에서 20회로 감소하였다.
9/22일 chest tube 부위에 oozing이나, air leakage없었다.
9/22일 환자가 호흡이 편해졌다고 말로 표현함.
날짜
9/16~9/22
간호진단 #4.
흉부 밀봉배액법에 대한 지식부족
간호사정
S : “이 튜브는 언제까지 갖고 있어야 하나요.?”
S : “이 튜브만 꽂고 있으면 빨리 나을 수 있나요.?”
O : 환자는 안절부절 못하고 얼굴을 찡그리며 근심을 표현하고 있다.
목표
9/16일 부터 배액관 사용시 주의점을 이해하고 문제를 예방 할 수 있다.
계획
① 흉부 밀봉배액법의 원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② 기흉에 대해 설명하고 튜브가 막히거나 꼬이게 하면 안됨을 설명 한다.
③ 측면자세를 취할 때는 모래주머니나 베개로 괴어 놓을 것을 교육한다.
④ 심호흡과 기침의 중요성을 설명한다.
⑤환자의 불안을 완화시키기 위해서 이완요법을 교육한다.
수행
① 흉부 밀봉배액법의 원리에 대하여 설명함.
- 배액통은 늑막강내로 공기의 역류를 예방하기 위해 반드시 가슴 보다 70~80cm정도 밑에 있어야 하고, 일어서거나 움직일때도 배액통이 가슴보다 아래에 위치하도록 한다.
- 줄이 당겨지지 않도록 조심하고, 줄이 꼬이거나 눌리지 않도록 주 의해야 한다.
- 배액관의 연결부위가 분리되거나 하면 대기중의 공기가 몸안으로 빨려들어가 기흉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주의한다.
- 배액통이 쓰러지면 배액된 물질이 역류할 수 있으므로 쓰러지지 않도록 주의한다.
- 통증으로 인해 환측부위의 팔을 움직이지 않을 경우 근육강직이 올 수 있으므로 어깨관절 운동을 해야 한다.
② 측면자세를 취할 때는 모래주머니나 베개로 괴어 놓도록 교육함.
③ 심호흡과 기침의 중요성을 설명하고, 격려함.
- 몇 차례 정상호흡을 시행한 후 다시 반복한다.
- 시간당 10회 정도 시행한다.
④ 환자의 불안을 완화시키기 위해서 이완요법을 격려함.
(ex: 심상요법, 호흡운동, 명상요법 등)
이론적 근거
① 튜브삽관에 대한 불안을 감소하고 부작용을 예방하기 위함이다.
② 흉관이 개방되어야 공기유통이 원활하다.
③배액관 쪽으로 누우면 통증이 유발된다. 모래주머니는 배액관 쪽 의 긴장을 감소시키고 손상부위의 팔을 지지한다.
④ 심호흡과 기침은 무기폐와 폐렴을 방지한다.
평가
환자는 질병과 흉부배액에 관한 설명을 듣고 주의할 점을 이해했다고 말로 표현하였으며, 한결 편안해 하는 모습이 관찰되었다.(얼굴에 미소 )
질병에 대해 이해하고 빠른 치료를 위해 자신이 해야 할 일들(심호흡, 기침)을 잘 수행하는 모습이 관찰되었다.
참고 문헌
*현문사, 제5판 성인간호학(상)
-전시자김강미자김희경박순옥배영숙조경숙항옥남김영경서순림유양숙
*정담, 성인가호학(호흡기계)
-최정신 외 공저
*서울대학교출판부, 간호진단과 계획 (임상간호 실무지침 Ⅱ)
-권혜영, 김명애, 김숙자, 김인숙, 김정순, 외 공저(78)
* 현문사, 제4판 기본간호학 (상)
-양선희, 손영희, 백훈정, 원종순, 유재희, 전미양 외 공저 - 김연희 외
*수문사, 기본간호중재와 수기 KNLE text 해설 성인간호학 Ι
-임난영, 강현숙, 오세영, 김원옥, 이숙희, 김종임, 유문숙, 나덕미, 서길희, 김선애, 김은희 신동수, 신수진, 유소영, 이경희, 제미순, 함미영
*KNLE text 해설 성인간호학 Ι
- 김연희 외
대구의료원 기흉 센터
9/17
9/18
9/21
9/22
9/23
C-tube삽입부위
Clear
Clear
Clear
Clear
Clear
⑥ 수술 부위가 붓거나 붉어짐 또는 통증이나 열감이 있을 시 간호사에게 즉시 알릴 것을 교육함.
이론적 근거
① 감염 발생 시 혈압, 호흡수, 맥박, 체온이 상승된다.
② 감염 발생 시 백혈구 수 및 적혈구 침강속도 등의 수치가 증가한다.
③ 항생제를 감염 전에 투여함으로써 감염을 예방 할 수 있다.
④감염 증상을 수시로 확인함으로써 감염의 진전을 막는다.
평가
9/23일 통증이나 열감 등이 느껴지지 않는다고 환자가 말로 표현하였다.
9/23일 삽입부위 clear로 잠재성 감염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하였다.
9/24일 임상결과 확인 시 감염과 관련된 검사 수치의 증가가 없었다.
날짜
9/16~9/22
간호진단 #3.
흉막강내 공기 유출과 관련된 비효율적 호흡양상
간호사정
S : “숨이 차서 숨쉬기 답답해요.”
O : 호흡수 26회.
O : 기침을 지속적으로 하고 있다.
목표
9/22일 까지 dyspnea호소 없이 호흡이 편안하다고 말한다.
계획
① 활력징후를 측정한다.
② 효과적인 호흡법과 기침법에 대해 설명한다.
③ 필요시 산소를 공급한다.
④ 흉부 밀봉 배액법을 실시한다.
수행
① 활력징후를 측정했다.
① V/S
9/16
9/17
9/28
9/21
9/22
BP
118/75
116/63
120/80
115/63
117/64
P
91
75
80
101
70
R
24
20
20
20
20
T
38.6
36.0
36.2
37.0
36.8
② 수술 후 심호흡과 기침을 하도록 격려하였고, 심호흡과 기침의 중요성에 대해 설명함.
③ chest tube를 지지하고 기침을 하도록 함 .
④ 배액병 연결 튜브가 꼬였는지 계속 공기가 나오고 있는지 자주 확인함.
air leakage
9/16
9/17
9/18
9/21
9/22
Rt
+
+
-
-
-
Lt
++
++
-
-
-
9/16→ 02 7L/min mask 흡입.
⑤ 9/17→ both chest tube negative 20cmH2O로 portable suction 시행함.
이론적 근거
① 무기폐 부위는 호흡음이 없고 부분적으로 허탈된 부위는 호흡음이 감소된다.
② 늑막강으로 공기가 유입되면 늑막강의 압력이 음압에서 양압으 로 바뀌어 폐가 확장되지 못하고 허탈된다.
③ 산소를 적용하면서 조직의 산소화를 도모한다.
④ 공기를 빼내어 늑막강이 음압으로 되게 하여 폐를 재확장 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⑤ 음압이 15~20cmH20 이상인 경우 조직이 상하거나 종격동의 출혈이 있기 때문에 흉막의 공기배출을 위해 시행한다.
평가
9/22일 dyspnea호소 없었으며 호흡수가 26회에서 20회로 감소하였다.
9/22일 chest tube 부위에 oozing이나, air leakage없었다.
9/22일 환자가 호흡이 편해졌다고 말로 표현함.
날짜
9/16~9/22
간호진단 #4.
흉부 밀봉배액법에 대한 지식부족
간호사정
S : “이 튜브는 언제까지 갖고 있어야 하나요.?”
S : “이 튜브만 꽂고 있으면 빨리 나을 수 있나요.?”
O : 환자는 안절부절 못하고 얼굴을 찡그리며 근심을 표현하고 있다.
목표
9/16일 부터 배액관 사용시 주의점을 이해하고 문제를 예방 할 수 있다.
계획
① 흉부 밀봉배액법의 원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② 기흉에 대해 설명하고 튜브가 막히거나 꼬이게 하면 안됨을 설명 한다.
③ 측면자세를 취할 때는 모래주머니나 베개로 괴어 놓을 것을 교육한다.
④ 심호흡과 기침의 중요성을 설명한다.
⑤환자의 불안을 완화시키기 위해서 이완요법을 교육한다.
수행
① 흉부 밀봉배액법의 원리에 대하여 설명함.
- 배액통은 늑막강내로 공기의 역류를 예방하기 위해 반드시 가슴 보다 70~80cm정도 밑에 있어야 하고, 일어서거나 움직일때도 배액통이 가슴보다 아래에 위치하도록 한다.
- 줄이 당겨지지 않도록 조심하고, 줄이 꼬이거나 눌리지 않도록 주 의해야 한다.
- 배액관의 연결부위가 분리되거나 하면 대기중의 공기가 몸안으로 빨려들어가 기흉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주의한다.
- 배액통이 쓰러지면 배액된 물질이 역류할 수 있으므로 쓰러지지 않도록 주의한다.
- 통증으로 인해 환측부위의 팔을 움직이지 않을 경우 근육강직이 올 수 있으므로 어깨관절 운동을 해야 한다.
② 측면자세를 취할 때는 모래주머니나 베개로 괴어 놓도록 교육함.
③ 심호흡과 기침의 중요성을 설명하고, 격려함.
- 몇 차례 정상호흡을 시행한 후 다시 반복한다.
- 시간당 10회 정도 시행한다.
④ 환자의 불안을 완화시키기 위해서 이완요법을 격려함.
(ex: 심상요법, 호흡운동, 명상요법 등)
이론적 근거
① 튜브삽관에 대한 불안을 감소하고 부작용을 예방하기 위함이다.
② 흉관이 개방되어야 공기유통이 원활하다.
③배액관 쪽으로 누우면 통증이 유발된다. 모래주머니는 배액관 쪽 의 긴장을 감소시키고 손상부위의 팔을 지지한다.
④ 심호흡과 기침은 무기폐와 폐렴을 방지한다.
평가
환자는 질병과 흉부배액에 관한 설명을 듣고 주의할 점을 이해했다고 말로 표현하였으며, 한결 편안해 하는 모습이 관찰되었다.(얼굴에 미소 )
질병에 대해 이해하고 빠른 치료를 위해 자신이 해야 할 일들(심호흡, 기침)을 잘 수행하는 모습이 관찰되었다.
참고 문헌
*현문사, 제5판 성인간호학(상)
-전시자김강미자김희경박순옥배영숙조경숙항옥남김영경서순림유양숙
*정담, 성인가호학(호흡기계)
-최정신 외 공저
*서울대학교출판부, 간호진단과 계획 (임상간호 실무지침 Ⅱ)
-권혜영, 김명애, 김숙자, 김인숙, 김정순, 외 공저(78)
* 현문사, 제4판 기본간호학 (상)
-양선희, 손영희, 백훈정, 원종순, 유재희, 전미양 외 공저 - 김연희 외
*수문사, 기본간호중재와 수기 KNLE text 해설 성인간호학 Ι
-임난영, 강현숙, 오세영, 김원옥, 이숙희, 김종임, 유문숙, 나덕미, 서길희, 김선애, 김은희 신동수, 신수진, 유소영, 이경희, 제미순, 함미영
*KNLE text 해설 성인간호학 Ι
- 김연희 외
대구의료원 기흉 센터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