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실험 목적
2. 실험 이론
3. 실험준비물
4. 실험방법
5. 실험결과
6. 고찰사항
7. 느낀점
2. 실험 이론
3. 실험준비물
4. 실험방법
5. 실험결과
6. 고찰사항
7. 느낀점
본문내용
하여야 하기 때문에 같은 힘으로 원판을 회전 시킨다면 당연히 원판을 눕힌 경우가 더 관성모멘트가 작게 측정될 것이라고 생각했었다. 하지만, 물체의 회전에 관여하는 관성모멘트는 그러한 마찰력보다 오히려 회전 반경에 더 큰 영향을 받는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이번 실험에서는 원반을 세워서 한 실험은 이론 값과의 차이가 가장 작았고, 원반을 눕혀 한 실험 역시 10%내외의 오차를 보였지만, 평행축 정리를 실험한 경우에는 오차가 크게 났다. 오차의 원인은 고찰부분에서 언급한내용 중에서 보완해야 할 부분에 대하여 언급하면, 먼저 원반의 지름 회전축의 지름, 높이등을 측정할 때 디지털 화 할 수 있다면 더 정확한 값을 측정 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값들은 모두 사람의 육안에 의해 측정 되기 때문에 오차를 포함 할 수 밖에 없고 이러한 점은 결과 값에 차이를 나타내게 된다. 그리고 결과 값을 계산하기 위해 유효숫자를 4개로 하였지만, 나머지 소숫점은 배제 하고 계산하였기 때문에 약간의 오차가 발생하였을 것이다.
이처럼 이번 실험을 통하여 관성모멘트에 대한 정확한 이해를 할 수 있었던 것 같고, 기존에 가지고 있었던 잘못된 상식의 틀이 바로 잡혀 진 것 같다.
이번 실험에서는 원반을 세워서 한 실험은 이론 값과의 차이가 가장 작았고, 원반을 눕혀 한 실험 역시 10%내외의 오차를 보였지만, 평행축 정리를 실험한 경우에는 오차가 크게 났다. 오차의 원인은 고찰부분에서 언급한내용 중에서 보완해야 할 부분에 대하여 언급하면, 먼저 원반의 지름 회전축의 지름, 높이등을 측정할 때 디지털 화 할 수 있다면 더 정확한 값을 측정 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값들은 모두 사람의 육안에 의해 측정 되기 때문에 오차를 포함 할 수 밖에 없고 이러한 점은 결과 값에 차이를 나타내게 된다. 그리고 결과 값을 계산하기 위해 유효숫자를 4개로 하였지만, 나머지 소숫점은 배제 하고 계산하였기 때문에 약간의 오차가 발생하였을 것이다.
이처럼 이번 실험을 통하여 관성모멘트에 대한 정확한 이해를 할 수 있었던 것 같고, 기존에 가지고 있었던 잘못된 상식의 틀이 바로 잡혀 진 것 같다.
추천자료
힘의 모멘트(토크)와 관성 모멘트
대학물리학(일반물리학) - 관성모멘트 유도
[물리학실험][실험레포트] 관성모멘트
일반물리학실험(북스힐)_물체의 관성모멘트 측정_사전(예비)보고서
[일반물리학실험Ⅰ] 14장. 회전운동과 관성모멘트(결과레포트)
[물리실험][예비보고서]관성모멘트와 각운동량 보존
[일반물리실험1] 실험8. 관성질량과 중력질량 결과보고서
[일반물리실험1] 실험8. 관성질량과 중력질량 예비보고서
[물리실험] 1-4. 관성모멘트와 각운동량 보존
(결과) 실험 1-5. 관성모멘트와 각운동량 보존
[일반물리실험] (결과) 3.관성모멘트
현대물리 -Moment of Inertia[관성모멘트]
[대학 물리학 실험] 관성모멘트 결과보고서
[일반 물리학 및 실험1] 1.16 관성모멘트 측정 (결과)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