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분라쿠(=닌교조루리)
● 노가쿠
● 노
● 노가쿠
● 노
본문내용
두 개의 ‘노’극 사이에 공연되는 독립적인 희극을 의미함. - ‘노’의 ‘시테’에게 의상을 갈아입을 시간을 주며 봉건시대에 대해 잘 알지 못하는 관객에게는 극을 더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해준다.
‘교겐’의 의상은 ‘노’의 의상보다 훨씬 더 간단하며 중세 일본의 실제 의상에 근거한 것이다.
‘노\'에서는 역할의 표정변화가 거의 없는 데 반해 ’교겐‘
무대
화려한 신도 양식의 지붕
하시라카리 : 무대로 연결되는 통로 역할을 하는 다리
배역
시테 : 주연, 가면 착용
츠레 : 조연, 가면 착용
와키 : 보조역, 가면 착용 ×
와키즈레 : 츠레의 조조역, 가면 착용 ×
고카타 : 아이역, 가면 착용 ×
※ 출연자는 모두 남성이며 가부키와 달리 여성역을 맡은 배우는 여성적 발성을 하지 않는다
의상
대담한 무늬의 화려한 복장
도구
츠케이 : 시테와 와키의 중요한 도구인 접는 부채
레퍼토리
극 주제는 대개 종교적인 것이며, 노의 많은 줄거리는 신화나 전설을 기초로 하고 있다.(신들의 이야기, 무사, 마녀이야기, 이루지 못한 욕망으로 생기는 광란과 인간의 집착 등)
조-하-큐(도입-상황 설명-빠른 결말)의 희곡 형식
하나의 ‘조’, 세 개의 ‘하’, 하나의 ‘규’로 구성
‘교겐’의 의상은 ‘노’의 의상보다 훨씬 더 간단하며 중세 일본의 실제 의상에 근거한 것이다.
‘노\'에서는 역할의 표정변화가 거의 없는 데 반해 ’교겐‘
무대
화려한 신도 양식의 지붕
하시라카리 : 무대로 연결되는 통로 역할을 하는 다리
배역
시테 : 주연, 가면 착용
츠레 : 조연, 가면 착용
와키 : 보조역, 가면 착용 ×
와키즈레 : 츠레의 조조역, 가면 착용 ×
고카타 : 아이역, 가면 착용 ×
※ 출연자는 모두 남성이며 가부키와 달리 여성역을 맡은 배우는 여성적 발성을 하지 않는다
의상
대담한 무늬의 화려한 복장
도구
츠케이 : 시테와 와키의 중요한 도구인 접는 부채
레퍼토리
극 주제는 대개 종교적인 것이며, 노의 많은 줄거리는 신화나 전설을 기초로 하고 있다.(신들의 이야기, 무사, 마녀이야기, 이루지 못한 욕망으로 생기는 광란과 인간의 집착 등)
조-하-큐(도입-상황 설명-빠른 결말)의 희곡 형식
하나의 ‘조’, 세 개의 ‘하’, 하나의 ‘규’로 구성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