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상론]보도사진에 나타난 영상의 기호학적 분석- 2005 퓰리쳐 상 수상작을 중심으로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영상론]보도사진에 나타난 영상의 기호학적 분석- 2005 퓰리쳐 상 수상작을 중심으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I. 서 론
1. 문제의 제기
2. 연구의 목적
3. 분석대상 및 연구문제

II. 본 론
1. 분석틀
(1) 소쉬르의 기표와 기의
(2) 바르트의 ‘신화
2. 분석 결과
(1) 정상 - 비정상 간의 이항 대립적 구조
(2) 평등주의 신화의 구조

III. 결 론
1. 결론
2. 의의 및 한계

본문내용

파악하게 되었으며, 그것은 이미지 속 구성 요소들로서 범주화지어 질 수 있다는 결론을 도출하게 되었다.
2. 의의 및 한계
본 보고서는 사진들이 사실적인 이미지 속에 녹아서 단순히 사건을 보도하거나 이야기 하는 시각적 수단에 불과하다기보다, 기표와 기의로 대변되는 하나의 메시지 전달과정으로서의 시각적 언어로 인식하고, 그것을 논리적으로 분석해본 것에 의의가 있다.
그러나, 기호학적 영상 분석이 반복적 측면을 고려하지 않은 한계점이 있었다. 피츠모리스의 사진은 원래 총 20장이었고, 본 보고서는 분량 관계상 그 중에서 평등주의적 이데올로기를 비교적 뚜렷하게 보여주고 있는 사진 2장만을 그 분석대상으로 삼았다. 이 과정에서 전체적인 기호학적 의미를 왜곡시켰을 여지가 있었다. 이러한 한계를 보완하기 위한 사진 전체에 대한 기호학적 분석도 필요할 것이라 생각된다.
* 참 고 문 헌
① 김수아&이소연(2005),「결혼 의례의 기호학적 분석」,『한국언론정보학보』, Vol.28,
1~34p
② 김승현(2000),「신문사진에 나타난 인본주의적 가치」,『커뮤니케이션과학』, Vol.19,
25~50p
③ 김치수&이수미&김희경(1997),「여성 의복 광고의 기호학적 분석」,『기호학연구』,
Vol.3, 233~282p
④ 박인철(1999),「기호학의 관점에서 본 사진언어」,『기호학연구』, Vol.6, 143~163p
⑤ 박태순(2002),「스타크래프트에 관한 기호학적 분석」, 연세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⑥ 백선기(1996),「한국 신문의 선고보도경향과 심층구조」,『한국언론학보』, Vol.39,
122~179p
⑦ 백선기&최경순(2000),「한국 사회의 성공 신화와 이데올로기」,『기호학연구』, Vol.7,
243~276p
⑧ 백선기(2004),「TV뉴스 영상 재현의 의미구조 및 이데올로기 구조」,『기호학연구』,
Vol.16, 243~309p
⑨ 양종훈&김금녀(2005),「장애인에 관한 신문사진의 특성 연구」,『한국사진학회지』,
Vol.12, 168~183p
⑩ 오승환(2003),「신문사진의 진실성과 상징성에 관한 연구」,『현대사진영상학회논문집』,
Vol.6, 23~33p
⑪ 이준일 外(2000),『영상 매체학 개론』, 커뮤니케이션북스
⑫ Martine Joly(1994, 이선형 옮김),『이미지와 기호』, 동문선
⑬ Barthes(1973),『On Photography』(송숙자 옮김,『사진론』, 현대미학사, 1994)
  • 가격1,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9.12.02
  • 저작시기2009.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6439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