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bectomy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Anatomy

Ⅱ. Lung ca. 정의 (Definition)
- 원인과 증상 (Etiology & Symptoms)

Ⅲ. 병태생리 (Pathology)
- 폐암의 분류 (Classification)

Ⅳ. 진단 (Diagnosis)

Ⅴ. 치료 (Treatment)

Ⅵ. OP procedure

Ⅶ. 예후 (Prognosis)

본문내용

elevator로 Periosteum을 박리한후 Bovie와 Rt. angle을 이용해 개흉한다. 이때 제 5늑골을 위로 끌어 올리면서 늑골후면의 벽측흉막을 bovie으로 박리해낸다.
-upper lobe lobectomy : 제4늑골 절제 또는 제4늑간
-middle lobe lobectomy : 제5늑골 절제 또는 제5늑간
-low lobe lobectomy : 제6늑골 절제 또는 제6늑간
4) spreader를 걸고 lung의 상태를 확인한다. hilus(폐문)위의 mediastinal pleura를 연다.
Rt. angle과 Metzenbaum을 이용하여 pulmonary artery의 분지혈관들을 cutting하고 silk로 tie, interlobar major fissure를 열고 pulmonary artery와 bronchus를 exposing시킨다.
5) pulmonary artery를 tie하고 vein을 분리하고 TA30-2.5로 자른다. bronchus를 TA30-3.5로 처리한다. (potadine ball로 닦는다), specimen이 나온다.
irrigation을 통해 공기누출이나 bleeding을 확인한다. 이때 lung suture로 vicryl 4/0를 쓴다
6)Tube삽입
보통 제7늑간에 2개의 tube를 삽입한다. 각각 anterior와 posterior에 위치한다.
gauze, needle, instrument를 count한다.
밀봉흉곽배액이란?
대기압력을 밀봉시키는 배액장치를 이용하여 비정상적으로 흉막강내에 존재하는 공기, 혈액, 염증성 삼출물을 제거하는 것이다. 한쪽 폐의 일부를 수술한 환자는 하나 또는 두 개의 흉관을 늑막강 내에 연결한 밀봉배액이 필요하다. 보통은 2개의 흉관을 사용하며 외과적 절제를 한 흉벽을 통해 관을 늑막강 내
로 삽입한 후 봉합한다. 2개중 하나는 수술 부위 위의 흉부 앞쪽에 삽입한다. 이 흉부 앞쪽 상부에 삽입한 관은 늑막강 내 공기를 제거하는데 이용된다. 두 번째 관은 혈괴로 인해 막히지 않도록 흉부 뒤쪽에 삽입한다. 이 흉부 뒤쪽아래에 꽂는 관은 수술 후 축적되는 장액성 체액을 배액하기 위한 것이다. 하부의 관은 상부관보다 직경이 크다. 한 개의 관을 이용할 때는 수술한 폐의 앞쪽에 삽입한다.
목적
- 흉막강내로부터 공기나 액체를 제거하는 것
- 흉막강내에 정상음압을 유지하는 것
- 폐의 재팽창을 증진시키는 것
- 배액기구로부터 흉막강내로 공기나 액체가 역류되는 것 방지
배액에 영향을 주는 요소
- 흉곽배액기구의 위치 : 항상 대상자의 흉곽보다 낮은 약 70~90cm 아래에 놓아야함. 중력에 의해 흘러나오기 때문에 대상자의 흉곽보다 높으면 배액물이 흉막강내로 흘러들어간다.
- 대상자의 자세 : 반좌위 취하도록. 튜브쪽으로 누을때는 모래주머니나 접은 타올을 양쪽에 놓아 준다.
- 흉곽튜브의 길이 : 짧지도 길지도 않아야 하고 꼬이거나 꼬이지 않게 한다.
- 흉곽튜브의 개방유지 : 눌리거나 꼬이지 않았는지 안쪽이 혈전으로 막히지 않는지 확인한다.
- 밀봉흉곽배액의 밀폐유지 : 병마개는 새지 않고 꼭 맞아야 하고 연결튜브부위는 테이프로 감싼다.
7)Rib reapproximation
Poylsorb 1으로 suture하고 approximator를 이용하여 chest wall을 접근시켜 closure한다. Vicryl 1/0로 muscle suture하고 2/0 Vicryl로 subcutaneous 를 suture한다. Skin suture는 Skin stapler(W)로 한다.
8)Dressing
Ⅶ. 예후
1. 비소세포암 (non-small cell carcinoma)
- 수술요법 : 비소세포암의 경우에 발견하여 근치절제수술을 시행하는 것이 최선의 방법이다. 1, 2기가 여기에 해당되는데 우리나라의 경우 병원을 찾는 시기가 늦고, 대부분의 경우 진단시기가 늦어 3기에 해당되기 때문에 수술적응 예가 적고 또 수술이 가능하더라도 실제로 절제가 가능한 환자는 수술대상자의 약 반수 정도이다.
- 방사선요법 : 이미 병이 진행되어 근치수술이 불가능하나 원격전이 없이 흉곽 내에 국한된 폐암은 방사선 치료의 대상이 된다.
- 항암화학요법 : 암이 이미 전신에 퍼져있는 경우에는 수술이나 방사선 치료같은 국소적 치료방법은 적용할 수 없고 항암제를 사용하는 화학요법을 시행하게 되는데 결과는 그리 만족스럽지 못하다.
- 예후 : 치료개시로부터 5년동안 생존하는 환자의 비율(5년생존률)은 암의 병기와 환자의 전신상태에 따라 달라진다. 수술을 한 환자의 5년생존률은 병기1기:70%, 2기:50%, 3a기:25%, 3b및 4기:10%미만 이라고 알려져 있다. 수술이 적합하지 않은 3기, 4기인 환자들 중에서 장기간 생존하는 분은 드물다.
2. 소세포암 (small cell carcinoma)
소세포폐암은 비소세포폐암에 비해 암의 성장이 아주 빨라(암세포의 배가 시간이 30일 이내임)병의 진행도 굉장히 빠르며 임파절이나 다른장기(뇌, 간, 뼈, 골수 등)로 조기에 전이가 잘 되어 진단 당시 대부분의 환자는 이미 암이 전신에 퍼져있을 정도이다. 진행도와 관계없이 수술은 시행하지 않으며 화학요법과 방사선요법을 병행하는 치료를 시행한다.
- 항암화학요법 : 화학요법은 소세포폐암의 주된 치료방법으로 효과적인 항암제가 많이 개발되어 현재에는 10가지 이상의 유효한 약제가 있는데, 이들 중 2~4가지를 함께 사용하는 복합 화학요법을 시행한 다. 전신에 퍼져있는 경우도 화학요법으로 70퍼센트에서 종양세포가 사라지게 된다.
- 방사선요법 : 국한성 질환시에는 항암제 치료와 원발병소에 대한 방사선치료 및 뇌에 예방적 방사선 치료를 시행하여 90퍼센트의 관해와 이중 20퍼센트는 2년 이상 장기생존이 가능하여 완치가능한 암으로 간주되고 있다.
- 예후 : 아무런 치료를 시행하지 않을 경우 평균 생존기간이 3개월 이내 이고 진단 당시 종양의 범위가 제한되어 있었을 경우에는 평균생존기간이 18개월이고, 환자의 15~20%가 장기 생존한다. 종양의 범위가 광범위할 때는 평균생존기간이 9개월이고 장기생존율은 1~2%에 불과하다.

키워드

  • 가격2,000
  • 페이지수15페이지
  • 등록일2009.12.04
  • 저작시기2009.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6492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