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비장비대
2. 비장비대의 원인과 종류
3. 진단적 접근
4. 참고문헌
2. 비장비대의 원인과 종류
3. 진단적 접근
4. 참고문헌
본문내용
이 된다. 조영방법으로 보다 정확하게 비장의 크기를 알 수 있는데 이들은 방사선핵종스캔, 초음파 스캔, CT 스캔 및 MRI 등이다. 임상적으로 비장종대의 정도를 표현하는 방법은 좌측 늑골하연으로부터 몇 cm 커진 것인가로 나타낸다. (김노경,1998)
2)감별진단
① 다수의 결손 적혈구의 제거를 필요로 하는 유전성 구형적혈구증 또는 지중해빈혈증 증후군과 같은 질병에서 세망내피 증식증(부하 비후증) 등의 특정 비장기능과 관련된 증식증 또는 비후증; 전신 감염증(감염성 단핵구증, 아금성 세균성 심내막염)또는 면역학적 질환(면역 혈소판 감소증, 전신성 홍반성 루푸스, Felty증후군)에 대한 반응으로 면역 증식증
② 문맥고혈압을 일으키는 상태(간경변, Budd-Chiari 증후군, 울혈성 심부전)에서 비장에서 혈류 유출이 감소하여 생긴 수동적인 울혈
③ 비장의 침윤성 질환(림프종, 전이암, 유전분증, Gaucher 병, 골수외 조혈을 동반한 골수 증식성 질환)
[비장의 외형] (정영태 외15, 2009)
비장이 심하게 비대 되어 있다면, 즉 왼쪽 늑골경계에서 8cm 이상 만져지거나 무게가 1,000g 이상인 경우라면 감별진단의 가능성은 훨씬 줄어든다. 이러한 환자의 거의 대부분은 비호지킨 림파종, 만성림프구성 백혈병, 털세포 백혈병, 만성골수성 백혈병, 골수화생을 동반한 골수섬유화증, 또는 진성적혈구 증다증이다. (대한내과학회, 2003)
3)검사실평가
·비장비대와 동반된 주된 검사실 검사이상소견은 기저 전신질환에 의해서 결정된다. 적혈구수는 정상일 수도 있고, 감소될 수도 있으며(지중해성빈혈 증후군, 전신성 홍반성 루푸스, 문맥고혈압을 동반한 간경변), 또는 증가될 수도 있다(진성혈구 증다증). 과립구수치는 정상일 수도있고, 감소될 수도있고(Felty 증후군은 울혈성 비장비대, 백혈병) 또는 증가될 수도 있다(감염 또는 염증성 질환, 골수증식성 질환). 유사하게, 혈소판수치도 정상일 수 있으며, 비대된 비장에서 격리가 증가되거나 혈소판 파괴가 증가된 경우 감소될 수 잇으며(울혈성 비장비대, Gaucher 병, 면역 혈소판감소증), 또는 진성혈구 증다증과 같은 골수증식성 질환에서는 증가될 수 있다.
일반혈액검사에서 비장 항진증을 시사하는 한 종류 또는 여러 종류의 혈구 감소증을 발견할 수 있다. 이러한 상태는 비장비대, 혈구 감소증(들), 정상 또는 증식성 골수, 그리고 비장절제술에 반응 하는 것으로 특징지어진다. 마지막 특징은 특히 과립구 감소증의 경우처럼 혈구 감소증의 회복이 비장절제술 후 종종 지속되지 않기 때문에 덜 정확하다. 혈구 감소증은 커지고 울혈 된 코드(울혈성 비장비대)를 통해서 혈류가 감소되어 세포 성분이 파괴가 증가하는 것과 면역매개 기전에 기인한다. 비록 적혈구가 비대 된 비장에서 오래 머무는 동안 표면적 소실로 인해서 구형으로 보일 수 있지만, 비장기능 항진증에서 다양한 세포형태가 말초혈액도말 검사상 대개 정상소견을 보인다. 비록 비장에서 망상적혈구의 격리가 증가되어 기대보다 낮을 수 있으나, 골수에서 적혈구의 생성 증가는 증가된 망상적혈구 생산 지표로 반영된다. 추가적인 검사실 검사의 필요성은 비장비대를 증상으로 하는 기저질환의 감별진단에 따른다. (대한내과학회, 2003)
참고문헌
대표저자 김노경(1998), 내과학 1, 도서출판 고려의학, p.621-624.
대한내과학회. 해리슨내과학편집위원회(2003), Harrison's 내과학, 도서출판 MIP,
p.364-367
정영태 외 15(2009), 인체해부생리학, 청구문화사, p.318-319
Elaine N. Marieb(2007), 핵심 인체구조와 기능, 계축문화사 p. 331
2)감별진단
① 다수의 결손 적혈구의 제거를 필요로 하는 유전성 구형적혈구증 또는 지중해빈혈증 증후군과 같은 질병에서 세망내피 증식증(부하 비후증) 등의 특정 비장기능과 관련된 증식증 또는 비후증; 전신 감염증(감염성 단핵구증, 아금성 세균성 심내막염)또는 면역학적 질환(면역 혈소판 감소증, 전신성 홍반성 루푸스, Felty증후군)에 대한 반응으로 면역 증식증
② 문맥고혈압을 일으키는 상태(간경변, Budd-Chiari 증후군, 울혈성 심부전)에서 비장에서 혈류 유출이 감소하여 생긴 수동적인 울혈
③ 비장의 침윤성 질환(림프종, 전이암, 유전분증, Gaucher 병, 골수외 조혈을 동반한 골수 증식성 질환)
[비장의 외형] (정영태 외15, 2009)
비장이 심하게 비대 되어 있다면, 즉 왼쪽 늑골경계에서 8cm 이상 만져지거나 무게가 1,000g 이상인 경우라면 감별진단의 가능성은 훨씬 줄어든다. 이러한 환자의 거의 대부분은 비호지킨 림파종, 만성림프구성 백혈병, 털세포 백혈병, 만성골수성 백혈병, 골수화생을 동반한 골수섬유화증, 또는 진성적혈구 증다증이다. (대한내과학회, 2003)
3)검사실평가
·비장비대와 동반된 주된 검사실 검사이상소견은 기저 전신질환에 의해서 결정된다. 적혈구수는 정상일 수도 있고, 감소될 수도 있으며(지중해성빈혈 증후군, 전신성 홍반성 루푸스, 문맥고혈압을 동반한 간경변), 또는 증가될 수도 있다(진성혈구 증다증). 과립구수치는 정상일 수도있고, 감소될 수도있고(Felty 증후군은 울혈성 비장비대, 백혈병) 또는 증가될 수도 있다(감염 또는 염증성 질환, 골수증식성 질환). 유사하게, 혈소판수치도 정상일 수 있으며, 비대된 비장에서 격리가 증가되거나 혈소판 파괴가 증가된 경우 감소될 수 잇으며(울혈성 비장비대, Gaucher 병, 면역 혈소판감소증), 또는 진성혈구 증다증과 같은 골수증식성 질환에서는 증가될 수 있다.
일반혈액검사에서 비장 항진증을 시사하는 한 종류 또는 여러 종류의 혈구 감소증을 발견할 수 있다. 이러한 상태는 비장비대, 혈구 감소증(들), 정상 또는 증식성 골수, 그리고 비장절제술에 반응 하는 것으로 특징지어진다. 마지막 특징은 특히 과립구 감소증의 경우처럼 혈구 감소증의 회복이 비장절제술 후 종종 지속되지 않기 때문에 덜 정확하다. 혈구 감소증은 커지고 울혈 된 코드(울혈성 비장비대)를 통해서 혈류가 감소되어 세포 성분이 파괴가 증가하는 것과 면역매개 기전에 기인한다. 비록 적혈구가 비대 된 비장에서 오래 머무는 동안 표면적 소실로 인해서 구형으로 보일 수 있지만, 비장기능 항진증에서 다양한 세포형태가 말초혈액도말 검사상 대개 정상소견을 보인다. 비록 비장에서 망상적혈구의 격리가 증가되어 기대보다 낮을 수 있으나, 골수에서 적혈구의 생성 증가는 증가된 망상적혈구 생산 지표로 반영된다. 추가적인 검사실 검사의 필요성은 비장비대를 증상으로 하는 기저질환의 감별진단에 따른다. (대한내과학회, 2003)
참고문헌
대표저자 김노경(1998), 내과학 1, 도서출판 고려의학, p.621-624.
대한내과학회. 해리슨내과학편집위원회(2003), Harrison's 내과학, 도서출판 MIP,
p.364-367
정영태 외 15(2009), 인체해부생리학, 청구문화사, p.318-319
Elaine N. Marieb(2007), 핵심 인체구조와 기능, 계축문화사 p. 331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