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규모
2. 용도
3. 적용기준
4. 주요과제내용
4.1 구조재료
4.1.1 콘크리트
4.1.2 철근
4.2 구조시스템 선정과 사유
4.3 가정단면 산정
4.3.1 Girder
가. 하중산정
나. 단면가정 검토
다. Mu구하기 및 철근비 검토
라. 배근
4.3.2 Column
가. 하중산정
나. 단면가정 검토
다. Mu구하기 및 철근비 검토
라. 배근
4.3.3 Base
가. 하중산정
나. 단면가정 검토
다. Mu구하기 및 철근비 검토
라. 배근
4.3.4 Slab
가. 하중산정
나. 단면가정 검토
다. Mu구하기 및 철근비 검토
라. 배근
4.4 설계하중 산정
4.4.1 바닥하중
4.4.2 풍하중
4.4.3 지진하중
2. 용도
3. 적용기준
4. 주요과제내용
4.1 구조재료
4.1.1 콘크리트
4.1.2 철근
4.2 구조시스템 선정과 사유
4.3 가정단면 산정
4.3.1 Girder
가. 하중산정
나. 단면가정 검토
다. Mu구하기 및 철근비 검토
라. 배근
4.3.2 Column
가. 하중산정
나. 단면가정 검토
다. Mu구하기 및 철근비 검토
라. 배근
4.3.3 Base
가. 하중산정
나. 단면가정 검토
다. Mu구하기 및 철근비 검토
라. 배근
4.3.4 Slab
가. 하중산정
나. 단면가정 검토
다. Mu구하기 및 철근비 검토
라. 배근
4.4 설계하중 산정
4.4.1 바닥하중
4.4.2 풍하중
4.4.3 지진하중
본문내용
mm 가정
B1의 사이즈는 300 x 600으로 가정
계산용 도표를 사용하여 를 구해보면,
(단, )
-
-
보 휨강성비의 평균값 :
∴ 적합
⇒ 설계하중 산정, 거더 설계 등 슬래브를 200mm로 계산해왔으므로, 200mm로 설계
계수모멘트
-
-
내부 경간
부모멘트
정모멘트
단부 경간
내단 부모멘트
중앙 부모멘트
외단 부모멘트
주열대와 중간대의 모멘트
[1. 내부경간]
- 내부경간
- 비틀림상수 C
:
따라서, 이 되고
, ⇒ 1.0
- 주열대 내단의 분담률 : 75%
- 주열대 중앙부 분담률 : 75%
[2. 단부경간]
- 주열대 외단의 분담률
계수모멘트의 주열대, 중간대 배분
위치
계수모멘트
(kNm)
주열대
중간대 모멘트
분담률(%)
모멘트
내부경간
부모멘트
87.02
75
65.27
21.75
정모멘트
46.86
75
35.15
11.71
단부경간
내단 부모멘트
93.72
75
70.29
23.43
정모멘트
76.31
75
57.23
19.08
외단 부모멘트
21.42
92.2
19.75
1.67
철근보강 설계
주열대와 중간대의 폭
위치
D13(개)
내부경간
주열대
부모멘트
65.27
0.00304
1163
10
정모멘트
35.15
0.00162
617.92
5
중간대
부모멘트
21.75
0.00099
380.00
3
정모멘트
11.71
0.00053
203.66
2
단부경간
주열대
내단 부모멘트
70.29
0.00329
1256.56
10
정모멘트
57.23
0.00266
1016.63
9
외단 부모멘트
19.75
0.00090
344.74
3
중간대
내단 부모멘트
23.43
0.00107
409.66
4
정모멘트
19.08
0.00087
332.95
3
외단 부모멘트
1.67
0.00008
28.91
1
ex) 주열대 부모멘트 철근비 계산
⇒ 10-D13 배근()
4.4 설계하중 산정
4.4.1 바닥하중
가. 지하주차장 (B1)
명칭
두께
사용하중(kN/m2)
계수하중(kN/m2)
고정하중
무근콘크리트
0.15
3.45
방수
0.5
슬래브
0.2
4.8
소계
8.75
10.5
적재하중
4
6.4
Total
12.75
16.9
나. 옥외주차장 (1F)
명칭
두께
사용하중(kN/m2)
계수하중(kN/m2)
고정하중
무근콘크리트
0.15
3.45
방수
0.5
슬래브
0.2
4.8
소계
8.75
10.5
적재하중
12
19.2
Total
20.75
29.7
다. 계단실
명칭
두께
사용하중(kN/m2)
계수하중(kN/m2)
고정하중
마감
0
슬래브
0.2
4.8
소계
4.8
5.76
적재하중
4
6.4
Total
8.8
12.16
라. EV홀
명칭
두께
사용하중(kN/m2)
계수하중(kN/m2)
고정하중
마감
0.03
0.66
몰탈
0.03
0.6
방수
0.5
슬래브
0.2
4.8
소계
6.56
7.87
적재하중
4
6.4
Total
10.56
14.27
마. 옥상
명칭
두께
사용하중(kN/m2)
계수하중(kN/m2)
고정하중
조경흙
0.5
5
방수
0.5
슬래브
0.2
4.8
천장
0.3
소계
10.6
12.72
적재하중
5
8
Total
15.6
20.72
바. 근린생활시설
명칭
두께
사용하중(kN/m2)
계수하중(kN/m2)
고정하중
마감
0.03
0.66
몰탈
0.05
1
슬래브
0.2
4.8
천장
0.3
소계
6.76
8.11
적재하중
4
6.4
Total
10.76
14.51
사. 벽하중 커튼월 시스템으로 0.5kN/m2으로 한다.
4.4.2 풍하중
가. Factor
지 역
서울시 강동구 천호2동
건 물 높 이
3.5m x 5층 + 평지붕 파라핏 1m = 18.5m
설계기본풍속
V0 = 30 m/sec
노 풍 도
A (대도시 중심부에서 10층 이상의 대규모 고층건축물 밀집)
중요도 계수
Iw = 1.0 (연면적 5000㎡ 이상인 관람집회시설)
고도분포계수
Kzr = 0.58 ()
풍속할증계수
Kzt = 1.0
설계 풍속
지붕면 평균 높이에 대한
설계속도 압
가스트 영향계수
가스트 영향계수 (노풍도 A)
풍 상/하벽의 외압계수
풍상벽의 외압계수 0.8
풍하벽의 외압계수(x방향:16.8m)
풍하벽의 외압계수(y방향:9.1m)
설계풍압
바람 하중
나. 풍하중 비교
층
높이
(m)
분담면적
(N/㎡)
(N/㎡)
(kN)
(KN)
AX
(m2)
AY
(m2)
지붕
17.5
9.10
16.80
17.4
189.23
567.78
567.78
5.01
11.17
5F
14.0
31.85
58.80
17.4
189.23
567.78
567.78
17.52
39.08
4F
10.5
31.85
58.80
17.4
189.23
567.78
567.78
17.52
39.08
3F
7.0
31.85
58.80
17.4
189.23
567.78
567.78
17.52
39.08
2F
3.5
31.85
58.80
17.4
189.23
567.78
567.78
17.52
39.08
- 지붕 층은 평지붕으로 파라핏 높이 1.0m를 적용하였다.
다. X, Y축 방향 풍하중 그래프
4.4.3 지진하중
가. Factor
지역계수
지진구역
A=0.11
중요도계수
도시계획구역
Ie=1.2
지반종류
단단한 토사지반
Sd=0.34
반응 수정 계수
철근 콘크리트 보통 모멘트 골조
R=3.0
기본진동주기
건물전체높이
hn=18.5 m
철근 콘크리트 보통 모멘트 골조
T=0.62 초
건물 주기에 따른 분포 계수
k=1.115
지진 응답계수
Cs=0.2155
밑면 전단력
V=1.0775W
나. 층별 지진하중 및 층별 전단력
층
(m)
(kN)
V(kN)
(kN)
(kN)
지붕
17.5
1.0W
24.32W
0.348
0.793W
0.276W
0.276W
5F
14
1.0W
18.96W
0.272
0.793W
0.215W
0.491W
4F
10.5
1.0W
13.76W
0.197
0.793W
0.156W
0.648W
3F
7
1.0W
8.76W
0.125
0.793W
0.099W
0.747W
2F
3.5
1.0W
4.04W
0.058
0.793W
0.046W
0.793W
다. 층별지진하중 그래프
B1의 사이즈는 300 x 600으로 가정
계산용 도표를 사용하여 를 구해보면,
(단, )
-
-
보 휨강성비의 평균값 :
∴ 적합
⇒ 설계하중 산정, 거더 설계 등 슬래브를 200mm로 계산해왔으므로, 200mm로 설계
계수모멘트
-
-
내부 경간
부모멘트
정모멘트
단부 경간
내단 부모멘트
중앙 부모멘트
외단 부모멘트
주열대와 중간대의 모멘트
[1. 내부경간]
- 내부경간
- 비틀림상수 C
:
따라서, 이 되고
, ⇒ 1.0
- 주열대 내단의 분담률 : 75%
- 주열대 중앙부 분담률 : 75%
[2. 단부경간]
- 주열대 외단의 분담률
계수모멘트의 주열대, 중간대 배분
위치
계수모멘트
(kNm)
주열대
중간대 모멘트
분담률(%)
모멘트
내부경간
부모멘트
87.02
75
65.27
21.75
정모멘트
46.86
75
35.15
11.71
단부경간
내단 부모멘트
93.72
75
70.29
23.43
정모멘트
76.31
75
57.23
19.08
외단 부모멘트
21.42
92.2
19.75
1.67
철근보강 설계
주열대와 중간대의 폭
위치
D13(개)
내부경간
주열대
부모멘트
65.27
0.00304
1163
10
정모멘트
35.15
0.00162
617.92
5
중간대
부모멘트
21.75
0.00099
380.00
3
정모멘트
11.71
0.00053
203.66
2
단부경간
주열대
내단 부모멘트
70.29
0.00329
1256.56
10
정모멘트
57.23
0.00266
1016.63
9
외단 부모멘트
19.75
0.00090
344.74
3
중간대
내단 부모멘트
23.43
0.00107
409.66
4
정모멘트
19.08
0.00087
332.95
3
외단 부모멘트
1.67
0.00008
28.91
1
ex) 주열대 부모멘트 철근비 계산
⇒ 10-D13 배근()
4.4 설계하중 산정
4.4.1 바닥하중
가. 지하주차장 (B1)
명칭
두께
사용하중(kN/m2)
계수하중(kN/m2)
고정하중
무근콘크리트
0.15
3.45
방수
0.5
슬래브
0.2
4.8
소계
8.75
10.5
적재하중
4
6.4
Total
12.75
16.9
나. 옥외주차장 (1F)
명칭
두께
사용하중(kN/m2)
계수하중(kN/m2)
고정하중
무근콘크리트
0.15
3.45
방수
0.5
슬래브
0.2
4.8
소계
8.75
10.5
적재하중
12
19.2
Total
20.75
29.7
다. 계단실
명칭
두께
사용하중(kN/m2)
계수하중(kN/m2)
고정하중
마감
0
슬래브
0.2
4.8
소계
4.8
5.76
적재하중
4
6.4
Total
8.8
12.16
라. EV홀
명칭
두께
사용하중(kN/m2)
계수하중(kN/m2)
고정하중
마감
0.03
0.66
몰탈
0.03
0.6
방수
0.5
슬래브
0.2
4.8
소계
6.56
7.87
적재하중
4
6.4
Total
10.56
14.27
마. 옥상
명칭
두께
사용하중(kN/m2)
계수하중(kN/m2)
고정하중
조경흙
0.5
5
방수
0.5
슬래브
0.2
4.8
천장
0.3
소계
10.6
12.72
적재하중
5
8
Total
15.6
20.72
바. 근린생활시설
명칭
두께
사용하중(kN/m2)
계수하중(kN/m2)
고정하중
마감
0.03
0.66
몰탈
0.05
1
슬래브
0.2
4.8
천장
0.3
소계
6.76
8.11
적재하중
4
6.4
Total
10.76
14.51
사. 벽하중 커튼월 시스템으로 0.5kN/m2으로 한다.
4.4.2 풍하중
가. Factor
지 역
서울시 강동구 천호2동
건 물 높 이
3.5m x 5층 + 평지붕 파라핏 1m = 18.5m
설계기본풍속
V0 = 30 m/sec
노 풍 도
A (대도시 중심부에서 10층 이상의 대규모 고층건축물 밀집)
중요도 계수
Iw = 1.0 (연면적 5000㎡ 이상인 관람집회시설)
고도분포계수
Kzr = 0.58 ()
풍속할증계수
Kzt = 1.0
설계 풍속
지붕면 평균 높이에 대한
설계속도 압
가스트 영향계수
가스트 영향계수 (노풍도 A)
풍 상/하벽의 외압계수
풍상벽의 외압계수 0.8
풍하벽의 외압계수(x방향:16.8m)
풍하벽의 외압계수(y방향:9.1m)
설계풍압
바람 하중
나. 풍하중 비교
층
높이
(m)
분담면적
(N/㎡)
(N/㎡)
(kN)
(KN)
AX
(m2)
AY
(m2)
지붕
17.5
9.10
16.80
17.4
189.23
567.78
567.78
5.01
11.17
5F
14.0
31.85
58.80
17.4
189.23
567.78
567.78
17.52
39.08
4F
10.5
31.85
58.80
17.4
189.23
567.78
567.78
17.52
39.08
3F
7.0
31.85
58.80
17.4
189.23
567.78
567.78
17.52
39.08
2F
3.5
31.85
58.80
17.4
189.23
567.78
567.78
17.52
39.08
- 지붕 층은 평지붕으로 파라핏 높이 1.0m를 적용하였다.
다. X, Y축 방향 풍하중 그래프
4.4.3 지진하중
가. Factor
지역계수
지진구역
A=0.11
중요도계수
도시계획구역
Ie=1.2
지반종류
단단한 토사지반
Sd=0.34
반응 수정 계수
철근 콘크리트 보통 모멘트 골조
R=3.0
기본진동주기
건물전체높이
hn=18.5 m
철근 콘크리트 보통 모멘트 골조
T=0.62 초
건물 주기에 따른 분포 계수
k=1.115
지진 응답계수
Cs=0.2155
밑면 전단력
V=1.0775W
나. 층별 지진하중 및 층별 전단력
층
(m)
(kN)
V(kN)
(kN)
(kN)
지붕
17.5
1.0W
24.32W
0.348
0.793W
0.276W
0.276W
5F
14
1.0W
18.96W
0.272
0.793W
0.215W
0.491W
4F
10.5
1.0W
13.76W
0.197
0.793W
0.156W
0.648W
3F
7
1.0W
8.76W
0.125
0.793W
0.099W
0.747W
2F
3.5
1.0W
4.04W
0.058
0.793W
0.046W
0.793W
다. 층별지진하중 그래프
추천자료
국내 건축물의 수입 철강재 사용에 따른 안전성 검토
국내 내진설계 건축물 조사
라멘구조
구조형식
[철][철의유용성][철골][철골라멘구조체][철골보][철골보아파트]철의 유용성과 철골 라멘 구...
초고층 건축의 도시계획적 의미
벽돌구조에_대해서
외벽구조의_종류와_장·단점,_사례와_보완방법
[마루][대청마루][현대적 마루][마루의 공간적 의미][마루의 발생][마루의 발전][마루의 구조...
[건설산업][건축][건설][건설업체][건설업][건설시장]건설산업의 현황, 건설산업의 사명, 건...
RC구조 - 정의, 역사, 특징, 종류, 적용 (Experiment In Architectural Engineering Reinforc...
[강구조][강구조 정의][강구조 장단점][강구조 역사][철큰콘크리트구조][마천루][강재][강구...
[한국건축사] 익공계 양식이 무엇이며, 조선시대에는 왜 익공계 양식을 주로 사용 했는가
포스트모더니즘과 건축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