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Introduction
Ⅱ. prepration
ⅲ method
ⅳ . Result
ⅴ. disccossion
Ⅱ. prepration
ⅲ method
ⅳ . Result
ⅴ. disccossion
본문내용
32181
11.96877
14.36698
20분
9.62632
9.96096
10.18405
12.35917
14.47853
3. Km값과 Vmax를 구하려면 Michaelis-Menten equation이 아닌 Lineweaver-Burk plot를 이용하여 푸는 것이 정석입니다.
Lineweaver-Burk plot은 옆의그림
- V (속도) 구하기
농도 나중농도 - 처음농도
시간 나중시간 - 처음시간 을 이용해서 1/V , 1/S 값을 구합니다
시험관
번호
S기질
1/S
0~10 분 V
1/V
0~20분 V
1/V(
1
0.05
20
9.85
0.1
9.63
0.1
2
0.1
10
0.95
1.05
0.22
4.48
3
0.2
5
19.30
0.05
-1.84
-0.54
4
0.5
2
-0.33
-2.99
0.06
17.93
5
1
1
0.11
8.97
0.22
4.48
- 0~ 10분 V Lineweaver-Burk plot
Y절편 = Vmax = 0.07
기울기 = Km = 0.145
-10~ 20분 V Lineweaver-Burk plot
Y절편 = Vmax = 0.108
기울기 = Km = -0.205
ⅴ. disccossion
우리 조는 늘 결과가 이상하다. 그만큼 우리조가 같은 실수를 하고 있다는 것이다. 우리 조는 환일선배가 pipet을 사용하여 적당량을 재는데 아무래도 늘 한번 두 번씩 증류수를 넣는 순서를 까먹는다. 그래서 순서가 바뀌어서 그런 것 같다.
반응속도는 역수 값을 취한다하여 이렇게 만들어 보았는데 그것에 대해서도 잘 모르겠다. 20분에 나온 곡선은 제대로 나온 것 같다.
흡광도 수치를 잴 때는 정말 떨린다. - 값만 나오지 않도록 노력한다. pipeting을 하기 전에
다들 vortex를 이용하여 한번더 섞어준다. 우리조는 더욱 열심히 섞었다.
거의 -값에 가까운 샘플들은 우리가 아무래도 잘못 한 것이다.
증류수를 넣어 total 볼륨울 4.5ml로 맞출때 계산의 착오로 인해서 한번 넣고 두 번 넣은 것이 이유다. 그리고 넣은 즉시 0분의 NaOH에 넣어야하는데 시약이 부족해서인지 조금 늦게
들어 갔다. 늘 결과는 과정을 말해준다
범위에는 맞았지만 그래프 모양은 엉망이다. 늘 시약들을 넣으면 눈으로 확인이 안되어 되는건지 마는건지 "이정도면 괜찬아" 라는 생각하는 실험태도에 반성한다.
그런 실험이 흡광도를 재기 전에는 색의 차이도 미세하지만 나고 위에서나, 흰종이를 대고 보면 나온다 실험에 대해 조금더 적극적이도 잘못된 태도를 고쳐 다음 실험에서는 그러지 않도록 해야겠다 .이날 몸살이나서 나조차도 조원들에게 잘 가르쳐 주지 못해서 아쉽고 나스스로가 빨리 실험이 끈나기 만을 바란거 같아 왠지 가슴이 무겁다
원래 속도란 값이 마이너스가 나올수 있을까? 아무래도 시간을 두고 실험에 참여하여도
우리가 바로 옮기지 못하였거나 본래 분획sample에 단백질 양이 너무 적어서 그런것은 아닐까 생각해본다. 계산하는 것이 복잡하고 어려웠다. 혼자서 계산을 하기엔 역부족인거 같다.
우리조는 앞으로 더욱 정확하게 하기위해 서로의 역할 분담이 필요로 하는 것 같다. 속도값이 마이너스가 나오는 조는 우리뿐이가? 다른조도 하나정도는 마이너스가 나왔다고 하는데
목요일반에서 정제할 때 받은 샘플이 혹시나 잘못된것은 아닐까
결과가 안좋아서 머든 이상하게만 생각하게된다. 결과를 낼때나 흡광도를 측정할때는 가슴이 철렁거린다.
증류수 1ml 을 넣는 순간조차도 엄청난 변화를 가져온다는 것을 알았다. 우리조원들이 함께조금더 적극적인 실험태도를 가졌으면 좋겠다. 나역시 딴생각을 잠시 가지고서 실험을 하였던 모습을 반성하면 이글을 마친다.
11.96877
14.36698
20분
9.62632
9.96096
10.18405
12.35917
14.47853
3. Km값과 Vmax를 구하려면 Michaelis-Menten equation이 아닌 Lineweaver-Burk plot를 이용하여 푸는 것이 정석입니다.
Lineweaver-Burk plot은 옆의그림
- V (속도) 구하기
농도 나중농도 - 처음농도
시간 나중시간 - 처음시간 을 이용해서 1/V , 1/S 값을 구합니다
시험관
번호
S기질
1/S
0~10 분 V
1/V
0~20분 V
1/V(
1
0.05
20
9.85
0.1
9.63
0.1
2
0.1
10
0.95
1.05
0.22
4.48
3
0.2
5
19.30
0.05
-1.84
-0.54
4
0.5
2
-0.33
-2.99
0.06
17.93
5
1
1
0.11
8.97
0.22
4.48
- 0~ 10분 V Lineweaver-Burk plot
Y절편 = Vmax = 0.07
기울기 = Km = 0.145
-10~ 20분 V Lineweaver-Burk plot
Y절편 = Vmax = 0.108
기울기 = Km = -0.205
ⅴ. disccossion
우리 조는 늘 결과가 이상하다. 그만큼 우리조가 같은 실수를 하고 있다는 것이다. 우리 조는 환일선배가 pipet을 사용하여 적당량을 재는데 아무래도 늘 한번 두 번씩 증류수를 넣는 순서를 까먹는다. 그래서 순서가 바뀌어서 그런 것 같다.
반응속도는 역수 값을 취한다하여 이렇게 만들어 보았는데 그것에 대해서도 잘 모르겠다. 20분에 나온 곡선은 제대로 나온 것 같다.
흡광도 수치를 잴 때는 정말 떨린다. - 값만 나오지 않도록 노력한다. pipeting을 하기 전에
다들 vortex를 이용하여 한번더 섞어준다. 우리조는 더욱 열심히 섞었다.
거의 -값에 가까운 샘플들은 우리가 아무래도 잘못 한 것이다.
증류수를 넣어 total 볼륨울 4.5ml로 맞출때 계산의 착오로 인해서 한번 넣고 두 번 넣은 것이 이유다. 그리고 넣은 즉시 0분의 NaOH에 넣어야하는데 시약이 부족해서인지 조금 늦게
들어 갔다. 늘 결과는 과정을 말해준다
범위에는 맞았지만 그래프 모양은 엉망이다. 늘 시약들을 넣으면 눈으로 확인이 안되어 되는건지 마는건지 "이정도면 괜찬아" 라는 생각하는 실험태도에 반성한다.
그런 실험이 흡광도를 재기 전에는 색의 차이도 미세하지만 나고 위에서나, 흰종이를 대고 보면 나온다 실험에 대해 조금더 적극적이도 잘못된 태도를 고쳐 다음 실험에서는 그러지 않도록 해야겠다 .이날 몸살이나서 나조차도 조원들에게 잘 가르쳐 주지 못해서 아쉽고 나스스로가 빨리 실험이 끈나기 만을 바란거 같아 왠지 가슴이 무겁다
원래 속도란 값이 마이너스가 나올수 있을까? 아무래도 시간을 두고 실험에 참여하여도
우리가 바로 옮기지 못하였거나 본래 분획sample에 단백질 양이 너무 적어서 그런것은 아닐까 생각해본다. 계산하는 것이 복잡하고 어려웠다. 혼자서 계산을 하기엔 역부족인거 같다.
우리조는 앞으로 더욱 정확하게 하기위해 서로의 역할 분담이 필요로 하는 것 같다. 속도값이 마이너스가 나오는 조는 우리뿐이가? 다른조도 하나정도는 마이너스가 나왔다고 하는데
목요일반에서 정제할 때 받은 샘플이 혹시나 잘못된것은 아닐까
결과가 안좋아서 머든 이상하게만 생각하게된다. 결과를 낼때나 흡광도를 측정할때는 가슴이 철렁거린다.
증류수 1ml 을 넣는 순간조차도 엄청난 변화를 가져온다는 것을 알았다. 우리조원들이 함께조금더 적극적인 실험태도를 가졌으면 좋겠다. 나역시 딴생각을 잠시 가지고서 실험을 하였던 모습을 반성하면 이글을 마친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