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4)을 이용하여 표현내면 각각 (식 1-5)과 (식 1-6)와 같이 표현된다.
(식 1-5)
(식 1-6)
(식 1-5)과 (식 1-6)을 이용하여 Probe 2와 Probe 3와의 전압차를 구해보면 식 (1-7)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식 1-7)
그러므로 구하고자 하는 저항률 ρ 는 (식 1-8)과 같이 표현되고 각 단자간 거리가 같다고 가정을 하면 이므로 최종적으로 (식 1-9)와 같이 표현된다.
(식 1-8)
(식 1-9)
실험방법
1. 두께 0.96mm 길이 25cm 의 Pb시편을 준비한다.
2. two point probe 기기를 가지고 8cm 거리의 저항 R값을 측정한다. 그리고 식을 이용하여 값을 구하고 식에 대입하여 전도도 값을 구한다.
3. 동일한 시편을 가지고 four point probe 기기로 8cm 거리의 저항 R값을 측정한다. 그리고 식을 이용하여 값을 구하고 식에 대입하여 전도도 값을 구한다.
4. 2번과 3번의 결과 값을 비교한다.
5. 납의 저항 R의 값이 구리의 저항 값 R의 약 7%인점을 들어 값을 확인해본다.
실험결과
two point probe 의 결과값
저항 R = 18.58 mΩ 이용하여, = 0.00168 , = 595.238/
four point probe 의 결과값
저항 R = 18.26 mΩ, , = 1.09015
결 론
1. 측정 시 측정 길이에 따라 다른 저항 값을 측정할 수 있었다
2. two point probe 와 four point probe의 측정값이 달랐고 원리상 four point probe의 값이 더 정확함을 알 수 있었다.
(식 1-5)
(식 1-6)
(식 1-5)과 (식 1-6)을 이용하여 Probe 2와 Probe 3와의 전압차를 구해보면 식 (1-7)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식 1-7)
그러므로 구하고자 하는 저항률 ρ 는 (식 1-8)과 같이 표현되고 각 단자간 거리가 같다고 가정을 하면 이므로 최종적으로 (식 1-9)와 같이 표현된다.
(식 1-8)
(식 1-9)
실험방법
1. 두께 0.96mm 길이 25cm 의 Pb시편을 준비한다.
2. two point probe 기기를 가지고 8cm 거리의 저항 R값을 측정한다. 그리고 식을 이용하여 값을 구하고 식에 대입하여 전도도 값을 구한다.
3. 동일한 시편을 가지고 four point probe 기기로 8cm 거리의 저항 R값을 측정한다. 그리고 식을 이용하여 값을 구하고 식에 대입하여 전도도 값을 구한다.
4. 2번과 3번의 결과 값을 비교한다.
5. 납의 저항 R의 값이 구리의 저항 값 R의 약 7%인점을 들어 값을 확인해본다.
실험결과
two point probe 의 결과값
저항 R = 18.58 mΩ 이용하여, = 0.00168 , = 595.238/
four point probe 의 결과값
저항 R = 18.26 mΩ, , = 1.09015
결 론
1. 측정 시 측정 길이에 따라 다른 저항 값을 측정할 수 있었다
2. two point probe 와 four point probe의 측정값이 달랐고 원리상 four point probe의 값이 더 정확함을 알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