엘리뇨의 복합적 원인과 그 영향에 대한 연구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요약

Abstract

I. 서론

I. 본론

1. 엘리뇨(El nino)의 의미

2. 엘리뇨의 발생 원인

3. 엘리뇨의 영향

4. 우리나라에의 영향

III. 결론

참고 문헌

<figure >

본문내용

하여야 좀 더 완벽한 분석의 틀이 만들어질 것이다.
3. 엘리뇨의 영향 여기에서 이야기하는 많은 자료들은 http://user.chollian.net/~ahnsi/eln.htm에서 인용하였음을 밝힌다.
이상기후현상인 엘리뇨는 많은 재해를 몰고 다닌다. 처음에 어원을 분석할 때 보았듯, 처음에는 온난한 물의 동태평양으로의 유입이 동태평양에 좋은 영향을 끼치기도 했지만 상승기류로 인한 비로 홍수의 피해가 심각해졌고, 이에 반해 서태평양의 여러 국가들과 오스트레일리아 등지에서는 하강기류로 인한 극심한 가뭄으로 고통받기도 하는 등 매우 큰 피해를 주었고 지금도 지속적으로 일어나고 있다
.
과거 기후기록을 찾아보면, 기상재해에 의한 인명피해는 엘니뇨가 발생했을 때가 다른 기간에 비해 매우 크다. 엘니뇨가 발생했던 1972년은 '기상 이변의 해'라고 불릴 정도로 각종 기상재해가 세계 각지에서 발생했다. 예를 들면, 러시아는 극심한 가뭄으로 곡물 생산이 최악의 상태였으며, 중남미, 아프리카 서부, 인도, 중국, 호주 및 케냐 등지에도 극심한 가뭄이 발생했다. 1972 년의 엘니뇨와 기상 이변으로 인한 막대한 재해는 기후 변화에 따른 지역적인 영향에 대한 연구를 시작하는 계기가 됐다. 세기의 엘니뇨'라고 불렸던 1982/83년 엘니뇨에 의해, 아프리카, 오스트레일리아, 인도네시아, 인도, 필리핀 등지에서 극심한 가뭄에 의한 피해가 속출했고, 볼리비아, 에콰도르, 페루, 미국 등지의 홍수 등 전세계에서 2천 여명의 사망을 비롯해 약 65만 명의 이재민이 발생했고, 1백30억 달러의 피해가 발생했다.
이렇게 막대한 피해가 발생한 이후에야 엘니뇨 예측에 관한 연구의 필요성이 크게 대두됐고, ENSO라는 용어가 사용되기 시작됐으니 실로 엘니뇨와 기후에 관한 우리의 인식은 그리 오래되지 않았다.
한편 엘니뇨가 피해만 주는 것은 아니다. 작년 7월-10월은 가뭄으로 일사량이 풍부해 풍년이 기록되었으며, 지난 겨울에는 이상난동으로 IMF로 어려웠던 겨울을 에너지 걱정 없이 지날 수 있었다. 근래의 기후변동이 우리가 과학적으로 이해하고 있는 엘니뇨 또는 ENSO의 메커니즘과 대체로 일치하지만, 이와 같은 기후이변이 모두 엘리뇨 때문이라고 할 수는 없다. 보다 다양한 분석 방법이 모색되어야 좀 더 정확한 결과를 산출할 수 있을 것이다.
4. 우리나라에의 영향
우리 나라 기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로는 시베리아 고기압을 비롯한 중위도 대기순환의 변화, 설빙 면적과 중위도 해수온도의 변화 등이 있으며, 이들 요소가 늘 복합적으로 작용하고 있다. 때로는 어떤 요인에 의한 영향이 뚜렷하게 나타나기도 하지만, 다른 때에는 그 영향을 거의 탐지하지 못할 정도로 약해지기도 한다.
그렇다면 이러한 복합적 작용상에서 엘리뇨란 현상은 한반도에 어떠한 영향을 끼칠까? 현재 한국도 엘니뇨의 영향을 받고 있으며, 피해가 발생하고 있다. 엘니뇨의 피해는 1997년 4월 이후 태풍, 고조, 대설, 홍수, 가뭄, 산불 등으로 사망 16명, 재산피해 2천억 원에 이른다고 한다 1998년 6월 15일자 'Korea Herald'
.
의 위 그림은 한반도 기온과 엘니뇨의 관계를 나타낸 것이다. E로 표시한 것은 엘니뇨 시기를 나타낸 것인데 그림에서 나타나듯 엘니뇨 여름철은 평년보다 기온이 낮게 나타난다. 15개의 엘니뇨 여름철에 기온이 높은 해는 한 해에 불과하였다. 엘니뇨 겨울철은 평년보다 기온이 다소 높았음을 알 수 있다. 15개의 엘니뇨 겨울철에서 두 겨울철만이 평년보다 0.5도 추웠고 그 이외의 해에는 평년과 비슷하던지 다소 온난하였다. 엘니뇨와 강수량의 관계는 온도만큼 명확하지 않지만, 엘니뇨의 여름철에는 강수량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인다.
엘니뇨는 한반도에 많은 피해를 입히는 태풍에도 영향을 미친다.
의 밑 그림은 엘니뇨 시기와 그렇지 않은 시기 한반도 주위를 통과한 태풍의 발생 지점을 표시한 것이다. 엘니뇨 시기에 태풍의 발생지역이 남하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열대 태평양의 광범위한 수렴구조가 엘니뇨에 의해 변형되어 나타나는 것이다. 또한 엘니뇨 시기에 발달한 태풍의 경로가 그렇지 않은 경우보다 더 길고 규칙적이다. 이 또한 엘니뇨 시기에 변형된 북태평양 고기압의 강도와 위치에 영향받은 것이다.
엘니뇨 또는 라니냐가 우리 나라 기후 변동에 미치는 영향을 수치적으로 나타내기는 매우 어렵지만, 대체적으로 약 30% 정도라고 보고된 바 있다. 그러나 라니냐에 대한 정보 와 자료는 한국에서뿐만 아니라 전세계적으로 많지 않다. 라니냐가 발생했을 때 우리 나라는 여름은 기온이 높고 건조한 경향이 있고, 겨울은 추운 경향이 있다. 그러나 중위도에 위치한 우리 나라의 기후는 ENSO뿐만 아니라 다른 기후요인의 영향을 받고 있기 때문에 이와 같은 영향은 뚜렷하지 않다.
III. 결론
지금까지 엘리뇨의 의미와 원인, 그리고 그 영향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이 과정에서 엘리뇨라는 하나의 현상을 알기 위해서는 동태평양 기후 매커니즘 전체를 관통하는 해석의 틀이 필요함을 확인하였다. ENSO라는 거대한 해수와 대기의 움직임은 엘리뇨와 라니냐라는 반대의 이상기상현상을 하나로 묶어 설명해 주었다. 보다 큰 틀에서 우리는 그것들의 근본적 구조 매커니즘을 확인할 수 있었던 것이다.
하지만 이는 우리에게 좀 더 큰 사고의 폭을 요구하고 있는지도 모르겠다. 태평양 전체를 휘젓는 하나의 틀이 성립되었지만 이것이 동그란 지구상에서 다른 인접 지역의 대기, 해수와 관계를 맺고있지 않는 것은 절대 아닐 것이다. 이들은 또다시 상호 연관되어 맞물려 돌아가는 매커니즘을 가질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매커니즘을 하나둘씩 찾아내어 가는 것이 우리의 남은 과제일 것이다.
참고 문헌
강인식, 2000, 지구 기후 변동(엘니뇨), 서울대학교 대기과학과 프리젠테이션 자료.
마이클 그랜츠, 오재호;권원태 공역, 2002, 엘리뇨와 라니냐:기후와 사회에 미치는 영향, 아르케.






추천자료

  • 가격2,000
  • 페이지수16페이지
  • 등록일2009.12.20
  • 저작시기2007.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6887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