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들어가기
1. 가부장제(patriarchy)의 정의
2. 가부장제 역사
1) 서양에서의 가부장제
2) 동양에서의 가부장제
3. 가부장제가 성역활을 의식화하는 과정
4. 노동시장에서의 여성의 지위 현황
5. 가부장적 이데올로기가 여성의 지위에 미치는 악영향에 대한 해결 방안
1) 가부장적 이데올로기에 대한 여성자신들의 문제의식
2) 남녀평등법에 대한 적극적인 활용
4) 법적ㆍ제도적 문제
5) 현행 호주제도의 문제
6. 결론
1. 가부장제(patriarchy)의 정의
2. 가부장제 역사
1) 서양에서의 가부장제
2) 동양에서의 가부장제
3. 가부장제가 성역활을 의식화하는 과정
4. 노동시장에서의 여성의 지위 현황
5. 가부장적 이데올로기가 여성의 지위에 미치는 악영향에 대한 해결 방안
1) 가부장적 이데올로기에 대한 여성자신들의 문제의식
2) 남녀평등법에 대한 적극적인 활용
4) 법적ㆍ제도적 문제
5) 현행 호주제도의 문제
6. 결론
본문내용
) 요리강습, 아동양육에 관한 특강 등
이 정규적으로 실시되도록 해야 한다. 특히 직장내 보육시설들을 남성근로자들도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도록 권장해야 한다.
④ 선언적인 법을 강제적인 법으로 개선
남녀고용평등법에 제시된 규정
) 제12조 (보육시설)
①사업주는 근로자의 취업을 지원하기 위하여 수유. 탁아 등 육아에 필요한 보육시설(이하 “직장보육시설”이라 한다)을 설치하고, 이를 노동부장관에게 신고하여야 한다. ( 95.8.4개정) ②제1항의 규정에 의한 직장보육시설을 설치하여야 할 사업주의 범위등 직장보육시설의 설치 및 운영에 관하여는 영유아 보육법에 의한다. ( 95.8.4개정)
들을 선언적 의미의 수준에 머물지 말고 대한 실천여부에 따라 적절한 조치가 있어야 할 것이다.
5) 현행 호주제도의 문제
현행 호주제도는 남성중심적 호주승계순위와 호적편제, 성씨제도 등으로써 한국사회의 가부장 의식과 악습을 제도적으로 뒷받침해주는 전세계 유일무이한 법이다.
호주제도는 이혼·재혼가구의 증가 등 현대사회의 다양해진 가족의 현실을 담아내지 못하는 시대착오적인 대표적 제도로서 혼인시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여성이 남편의 호적에 입적을 해야하고 자녀는 아버지의 성을 의무적으로 따라야 하는 등 부계혈통만을 인정하고 있다. 또한 이혼시 자녀가 남편의 호적에 남아야 하므로 어머니와 함께 살고 있어도 호적을 함께 쓰지 못함으로써, 주민등록상에는‘동거인’으로 기록되어진다. 현행 호주제도는 아들이 우선적으로 호주가 될 수 있도록 규정함으로써“혼인과 가족생활에서 개인의 존엄과 남녀평등을 보장한다”는 헌법제36조 1항의 정신에 위배됨과 동시에 유엔여성차별협약 제16조의 “가족 성씨 선택의 자유권”에도 위배되어 국제적 비난을 받고 있는 대표적 제도이다.
이에 호주를 중심으로 모든 가족의 출생·혼인·사망 등의 신분관계를 표시하던 기존의 방식에서 벗어나 결혼한 부부와 미혼 자녀로 구성된 2대의 가족관계를 기록하는 기본가족별 편제 방식에 따라 가족관계를 기록해야 할 것이다.
6. 결론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가부장제가 노동시장에서 여성의 지위에 미치는 영향은 심각한 상태에 있으나 가부장제는 어제오늘에 나타난 것이 아니라 오랜 역사를 가지고 사회전반에 구조화되어진 것이며 사회적인 측면과 남녀의 생리적인 측면도 무시할 수 없는 것이기에 짧은 기간에 완전히 바꾸어 버릴 수는 없을 것이다. 그러나 이를 법적 제도적 개량과 기술적인 방법들이 동원되고, 여성들뿐만 아니라 깨어있는 남성들의 적극적인 노력과 협력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진다면 미래의 언젠가는 반드시 가부장제로 말미암는 노동시장에서의 성차별은 사라지게 될 것이다.
<참고 자료>
1.http://apwin.sookmyung.ac.kr/history
2.http://www.kwwnet.org/line
3.http://www.kwwnet.org/data/index.html
4.http://www.kwdi.re.kr/cgi-bin/dasencgi/init.cgi?v_usernm=2&v_passwd=111
이 정규적으로 실시되도록 해야 한다. 특히 직장내 보육시설들을 남성근로자들도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도록 권장해야 한다.
④ 선언적인 법을 강제적인 법으로 개선
남녀고용평등법에 제시된 규정
) 제12조 (보육시설)
①사업주는 근로자의 취업을 지원하기 위하여 수유. 탁아 등 육아에 필요한 보육시설(이하 “직장보육시설”이라 한다)을 설치하고, 이를 노동부장관에게 신고하여야 한다. ( 95.8.4개정) ②제1항의 규정에 의한 직장보육시설을 설치하여야 할 사업주의 범위등 직장보육시설의 설치 및 운영에 관하여는 영유아 보육법에 의한다. ( 95.8.4개정)
들을 선언적 의미의 수준에 머물지 말고 대한 실천여부에 따라 적절한 조치가 있어야 할 것이다.
5) 현행 호주제도의 문제
현행 호주제도는 남성중심적 호주승계순위와 호적편제, 성씨제도 등으로써 한국사회의 가부장 의식과 악습을 제도적으로 뒷받침해주는 전세계 유일무이한 법이다.
호주제도는 이혼·재혼가구의 증가 등 현대사회의 다양해진 가족의 현실을 담아내지 못하는 시대착오적인 대표적 제도로서 혼인시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여성이 남편의 호적에 입적을 해야하고 자녀는 아버지의 성을 의무적으로 따라야 하는 등 부계혈통만을 인정하고 있다. 또한 이혼시 자녀가 남편의 호적에 남아야 하므로 어머니와 함께 살고 있어도 호적을 함께 쓰지 못함으로써, 주민등록상에는‘동거인’으로 기록되어진다. 현행 호주제도는 아들이 우선적으로 호주가 될 수 있도록 규정함으로써“혼인과 가족생활에서 개인의 존엄과 남녀평등을 보장한다”는 헌법제36조 1항의 정신에 위배됨과 동시에 유엔여성차별협약 제16조의 “가족 성씨 선택의 자유권”에도 위배되어 국제적 비난을 받고 있는 대표적 제도이다.
이에 호주를 중심으로 모든 가족의 출생·혼인·사망 등의 신분관계를 표시하던 기존의 방식에서 벗어나 결혼한 부부와 미혼 자녀로 구성된 2대의 가족관계를 기록하는 기본가족별 편제 방식에 따라 가족관계를 기록해야 할 것이다.
6. 결론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가부장제가 노동시장에서 여성의 지위에 미치는 영향은 심각한 상태에 있으나 가부장제는 어제오늘에 나타난 것이 아니라 오랜 역사를 가지고 사회전반에 구조화되어진 것이며 사회적인 측면과 남녀의 생리적인 측면도 무시할 수 없는 것이기에 짧은 기간에 완전히 바꾸어 버릴 수는 없을 것이다. 그러나 이를 법적 제도적 개량과 기술적인 방법들이 동원되고, 여성들뿐만 아니라 깨어있는 남성들의 적극적인 노력과 협력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진다면 미래의 언젠가는 반드시 가부장제로 말미암는 노동시장에서의 성차별은 사라지게 될 것이다.
<참고 자료>
1.http://apwin.sookmyung.ac.kr/history
2.http://www.kwwnet.org/line
3.http://www.kwwnet.org/data/index.html
4.http://www.kwdi.re.kr/cgi-bin/dasencgi/init.cgi?v_usernm=2&v_passwd=111
추천자료
'성차별'에 관한 사회과학이론과 이론의 비판
직장 재 성차별
[여성차별]여성차별(남녀차별)의 의미와 유형, 여성차별(남녀차별)에 대한 학문적 견해와 관...
성차별 문화와 기독교교육적 대처방안
[여성차별] 직장에서의 여성차별에 대한 대책방안
직장내 성차별
성차별 문제의 원인과 실태분석 및 해결방안(A+레포트)
[성차별] 성차별의 대책방안 및 사례
[사회문제론] 성차별과 사회문제
성차별의 배경, 정의, 역사, 관점, 성차별 요소, 현대 성차별 인식, 설문조사, 문제점, 해결...
양성평등(남녀평등)과 교원, 양성평등(남녀평등)과 교육, 양성평등(남녀평등)과 성교육, 양성...
[성사랑사회A형] 참고도서가다루고있는사람들삶과나의삶을함께참고하여 우리사회에서 성적 차...
[성불평등 해소 방안] 성(性) 불평등(차별)의 현황과 성불평등(성차별) 종류와 사례, 성불평...
2015년 2학기 성사랑사회 중간시험과제물 B형(일상 속에서 여성이 겪게 되는 차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