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베르누이 [Daniel Bernoulli, 1700.1.29~1782.3.17]』
『베르누이 [Jakob Bernoulli, 1654.12.27~1705.8.16]』
『베르누이 [Johann Bernoulli, 1667.8.6~1748.1.1]』
『베르누이 방정식』
『베르누이 [Jakob Bernoulli, 1654.12.27~1705.8.16]』
『베르누이 [Johann Bernoulli, 1667.8.6~1748.1.1]』
『베르누이 방정식』
본문내용
가 0이거나 무시할 만큼 작은 경우가 많다. 이런 경우 위 식은 다음과 같이 간략해진다.
p + q =
여기에서 는 전압력(total pressure)이라 부르며, p는 전압력 및 동압력과 구별하기 위하여 정압력(static pressure)이라 부르는 경우가 많다. 또한, 보통 그냥 "압력"이라 하면 정압력을 지칭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단순화된 베르누이 방정식은 다음과 같이 요약될 수 있다.
정압력 + 동압력 = 전압력
즉, 베르누이 방정식은 "유선 상에서의 전압력은 일정하다"는 말로 해석될 수 있다 또한 만약 그 유동이 한 곳에서 출발하였다면, "그 유동 내의 모든 점에서의 전압력은 일정하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앞서도 언급하였듯이 이 식은 경계층 내에는 적용되지 않음을 기억하여야 한다.
p + q =
여기에서 는 전압력(total pressure)이라 부르며, p는 전압력 및 동압력과 구별하기 위하여 정압력(static pressure)이라 부르는 경우가 많다. 또한, 보통 그냥 "압력"이라 하면 정압력을 지칭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단순화된 베르누이 방정식은 다음과 같이 요약될 수 있다.
정압력 + 동압력 = 전압력
즉, 베르누이 방정식은 "유선 상에서의 전압력은 일정하다"는 말로 해석될 수 있다 또한 만약 그 유동이 한 곳에서 출발하였다면, "그 유동 내의 모든 점에서의 전압력은 일정하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앞서도 언급하였듯이 이 식은 경계층 내에는 적용되지 않음을 기억하여야 한다.
추천자료
KICT(한국 건설기술 연구원)
벤투리미터 실험
[화학공업실험] 유체유동(레이놀즈수,손실두 측정)실험 예비레포트
유체유동 실험(Reynolds number, 손실두 측정)
제트 유동장 측정실험
[기계공학실험] 원심펌프의 효율측정 실험
유체역학 실험 (유체관로의 손실실험)
[기계공학] 『점도계의 원리 및 종류, 특징』에 대하여
웨어실험 결과보고서
유체 공학의 모든것
[실험보고서] 유량측정법에 관한 실험
[유체역학] 유량 측정 실험 - 삼각 Weir에 의한 유량 측정 실험
양력(揚力/lift)의 발생원리
[유체공학 실험] 삼각 Weir(둑)를 이용하여 유량계수 측정 : 유량을 측정하기 용이한 삼각 We...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