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양 입자의 성질 실험 레포트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토양 입자의 성질 실험 레포트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 실험 제목

♣ 실험 목적

♣ 실험 방법

♣ 실험 결과

한국의 토양

♠ 우리나라 토양의 일반적인 특징

♠ 우리나라 토양의 물리⋅화학적 성질

♠ 우리나라 토양의 분류와 분포

♠ 우리나라의 유용한 토양

본문내용

.3
6,425,227
자료 : 용도별 토지이용 적성등급 분포(1997, 신제성)
♠ 우리나라의 유용한 토양
황토
황갈색을 띠고 풍화를 잘 받지 않으며, 모난 수직 벽면을 만들고 주로 석영을 함유하며 그 밖에 휘석 ·각섬석 등을 함유하여 석회질이다. 빙하 퇴적점토와 함께 스텝기후하의 체르노젬 등의 비옥한 토양의 모재가 된다.
황토는 태양에너지의 저장고라 불리울 정도로 동.식물의 성장에 꼭 필요한 원적외선을 다량 방사하여 일명 살아있는 생명체라 불리 우기도 한다. 특히 황토 성분이 인체에 흡수되면 신진대사를 촉진시켜 노화를 방지하기도 한다. 이러한 황토의 효능으로 인해 황토 그 자체에서 나오는 원적외선이 세포의 생리작용을 활성화 하여 오염된 하천이나 어항 및 적조현상으로 죽어가는 바다를 회복시키기도 한다. 또한 공기 중의 비타민이라 할 수 있을 정도로 음이온을 방출하여 산성화된 체질을 알카리성으로 바꾸고 혈액순환을 촉진시켜 신진대사를 왕성하게 해 준다. 황토 속에는 카라타제 라는 활성효모가 들어있어 노화의 원인인 활성산소, 과산화지질을 환원시키고 분해 시키며, 체내 유해물질을 분해하여 피부미용에도 탁월한 효과를 나타내기도 한다. 이러한 효능이 있는 황토가 웰빙바람을 타고 갖가지 제품으로 변신하고 있다. 옷감을 염색하는 데에 염색용으로 쓰기도 하고 건축자제인 황토벽돌을 만들기도 하며 피부 미용팩으로 사용되어지고 심지어는 찜질방에 찜질용으로 사용되며 산책로에 황토볼 형식으로 쓰여지기도 한다. 앞으로도 다양한 형태로 여러 제품들이 나올 것으로 기대된다. 황토를 통한 자연스런 체질개선으로 인체는 자기방어 능력 및 면역력을 스스로 개선시킬 수 있게 되고 건강이 회복되는 효과를 볼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의 좋은 황토는 지리산 지역의 동황토와 전북 부안지역의 황토가 유명하며, 지하 1미터 깊이의 누런빛이 도는 흑갈색 황토가 가장 최고로 꼽힌다.
전단토
전단토는 쉽게 말해 식량으로 유용할 수 있는 토양을 말한다.
강원 영월군 사자산 아랫마을 사람들도 흙을 먹었다 한다. 사자산 어느 골짜기에 전단토라는 흰 흙이 나는데, 이를 물에 풀어 내려서 묵처럼 해먹었다고 증언해주는 노인이 있었다. 이 노인의 건강이 여의치 않아 영월의 한 향토사학자를 통해 전단토가 난다는 지역을 둘러봐 달라고 부탁을 했었다. 그러나 전단토가 나는 자리를 어떤 이가 광산 개발을 한다고 뒤집어놓아 그 흙을 구할 수가 없었다.
먹는 흙을 맛보려고 이리저리 수소문을 하다가 최근까지 흙을 먹었다는 곳을 찾아내었다. 전북 장수군 계북면 백암 마을 주민들은 대부 분 먹는 흙을 잘 알고 있었다. 광복 이후에도 흙떡을 먹었다고 했다.
“일제 시대 석면 광산 자리에서 먹는 흙이 나왔습니다. 땅을 파면 석 면과 석면 사이에 흰 흙이 나오는데 찰기가 있어 감자와 쑥을 넣고 쪄 서 먹었습니다. 흙떡을 먹으면 변비에 걸리는데 먹을 것이 없던 터라 그런 것 따질 형편이 아니었지요. 제 기억으로는 50년대 중반까지 먹 었던 것 같아요.”
50대 중반 이상의 사람들은 하나 같이 흙떡에 대한 추억을 가지고 있었다. 맛이 아니라 뒷간에서 고통을 겪었던 ‘아픈’ 기억으로…. 한 주민을 따라 그 석면 광산 자리에 가보았다. 오랜 세월 탓에 광산 흔 적은 어디에도 없었다. 근처 땅을 헤집어보니 석면만 나왔다.
다행히 이 마을 집들의 벽에서 먹는 흙의 실체를 확인할 수 있었다. 70년대 초 새마을 운동이 한창일 때 흙벽이 보기 흉하다고 석회칠을 하라는 관의 명령이 떨어졌다. 워낙 빈궁한 마을이라 석회 살 돈이 부 담이 되었다. 그래서 먹는 흙을 파다가 집집이 벽에 발랐다고 한다. 지금도 먹는 흙으로 벽을 바른 집이 몇 채 남아 있다.
  • 가격1,0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09.12.30
  • 저작시기2009.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7075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