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학습자분석
1.1. 대상 학습자의 일반적 특성
1.2. 대상 학습자의 사전지식 수준
1.3. 동기·관심 수준
1.4. 개인차 요인 분석(대상 학습자 특성 분석)
1.5. 이론을 통한 학습자 분석
2. 학습환경분석
2.1. 교재진도
2.2. 수업시수
2.3. 물리적 환경
3. 학습목표진술
3.1. 학습목표 설정
3.2. 하위 학습목표 진술
4. 학습과제분석
4.1. 절차적 분석
4.2. 위계적 분석
5. 수행목표
6. 평가 문항
6.1. 평가 항목
6.2. 평가 유형
6.3. 평가 목적
6.4. 세부 사항
6.5. 평가 결과
7. 참고 문헌
1.1. 대상 학습자의 일반적 특성
1.2. 대상 학습자의 사전지식 수준
1.3. 동기·관심 수준
1.4. 개인차 요인 분석(대상 학습자 특성 분석)
1.5. 이론을 통한 학습자 분석
2. 학습환경분석
2.1. 교재진도
2.2. 수업시수
2.3. 물리적 환경
3. 학습목표진술
3.1. 학습목표 설정
3.2. 하위 학습목표 진술
4. 학습과제분석
4.1. 절차적 분석
4.2. 위계적 분석
5. 수행목표
6. 평가 문항
6.1. 평가 항목
6.2. 평가 유형
6.3. 평가 목적
6.4. 세부 사항
6.5. 평가 결과
7. 참고 문헌
본문내용
평가항목은 크게 2가지가 있다.
① 건전한 이성 관계에 대한 학생들의 토의과정
② 이성교제에 대한 자신의 생각을 담은 학생들의 발표
6.2. 평가 유형
평가기준에 따른 평가유형에는 규준지향평가 (norm-referenced test)와 준거지향평
가(criterion-referenced test)가 있다.
6.2.1. 건전한 이성 관계에 대한 학생들의 토의과정의 경우 규준지향평가를 실시한다.
① 조별토의과정에서 상대적으로 참여도가 높거나 낮은 학생이 있다.
6.2.2. 이성교제에 대한 자신의 생각을 담은 학생들의 발표의 경우 준거지향평가를 실시
한다.
① 학습목표는 이성과 이성교제에 대한 올바른 지식을 갖고, 학생들이 건전한
가치관과 관점을 가지고 정립하는 것이다. 그런데 한 가치관이나 관점이 반드시
다른 가치관이나 관점보다 더 올바르다고 함부로 말할 수 없다. 따라서 이성교
제에 대한 다양한 관점을 존중하는 의미에서 준거지향평가를 실시한다.
② 이성교제에 대한 가치관이나 관점을 분명히 가지고 있고, 이것을 글로 잘 표
현할 수 있는 여부를 준거지향평가로 평가한다. 그러나 보편적으로 동의하기 어
려운 가치관이나 관점을 분명히 가지고 있는 경우는 예외로 한다.
③ 발표능력의 경우 준거지향평가를 실시한다.
6.3. 평가 목적
Glaser의 교수과정모형을 살펴보면, 평가목적에는 학생들의 출발점행동을 점검하는
진단평가, 수업절차에서 실시하는 형성평가, 수업절차가 종료된 후 수업목표에 비
추어 학습결과를 평가하는 총괄평가가 있다. 박도순·홍후조, 『교육과정과 교육평가』, 문음사, 2006.
이번 수업에서 실시할 평가는 형성평
가로, 이번 수업에서 보여준 학생들의 토의과정과 발표에 대해서 평가하는 것이다.
R. W. Tyler는 ‘평가의 과정이란 본질적으로 교육과정 및 수업의 프로그램에 의 하여 교육목표가 실제 어느 정도나 도달되었는지를 밝히는 과정’이라고 하였다. 박도순·홍후조, 『교육과정과 교육평가』, 문음사, 2006.
따라서 학생들의 토의과정과 발표가 학습목표에 비추어 얼마나 도달했는지 평가하
도록 한다.
6.4. 세부 사항
평 가 항 목
평 가 점 수
반영비율
1점
2점
3점
4점
5점
토의
참여도
주도적으로 참여하는가?
×1
적극적으로 자신의 생각을 개진하는가?
×3
다른 학생들의 의견을 경청하는가?
×3
토의과정에서 산만한 행동이 보이지 않는가?
×1
주제
의식
주제에서 벗어나지 않는가?
×3
논리적
사고력
의견에 대한 근거가 논리적인가?
×2
예시나 근거가 적절한가?
×3
포용력
자신의 의견과 다른 의견을 존중하는가?
×2
독창성
의견이 진부하지 않고 독창적인가?
×1
협조성
토의 진행 과정이 매끄러운가?
×2
토의 분위기가 진지하면서도 우호적인가?
×1
총점
∑(평가점수 × 반영비율)
비고
① 각 항목마다 반영비율이 다른 것은 특정 항목이 다른 항목에 비해
서 토의과정에서 중요하기 때문이다.
② 평가점수는 자신을 제외한 다른 조원들이 평가한 점수의 평균으로
계산한다. 단, 최고점수와 최저점수를 제외한다.
③ 총점을 기준으로 상위부터 5명, 15명, 15명, 5명의 4그룹을 만들
어 상위부터 A, B, C, D로 평가한다.
④ A는 100점, B는 90점, C는 70점, D는 50점으로 환산한다.
① 토의과정 평가 항목표
② 발표 평가 항목표
평 가 항 목
평 가 점 수
반영비율
1점
2점
3점
4점
5점
발표
내용
내용이 자세하고 설명이 간결한가?
×2
다른 생각들과 비교해서 말하는가?
×1
피상적인 내용보다는 중심생각을 강조하는가?
×3
주제를 벗어나지 않는가?
×3
발표
전달력
발음이 정확하고 적절한 성량으로 발표하는가?
×2
말이 지나치게 빠르거나 느리지 않은가?
×2
발표
태도
발표 중 헛기침, 부적절한 손동작 등 주의를 흩트리지 않는가?
×1
적절한 손동작에 신경을 쓴다.
×1
청중과 골고루 눈을 맞추면서 반응을 살피는가?
×2
발표시간을 엄수하는가?
×3
질의
응답
청중의 질문을 잘 듣고, 이해한 뒤 그에 적절한 대답을 하는가?
×2
총점
∑(평가점수 × 반영비율)
비고
① 각 항목마다 반영비율이 다른 것은 특정 항목이 다른 항목에 비해
서 발표과정에서 중요하기 때문이다.
② 평가점수는 교사가 학생의 발표를 들으면서 각 항목을 채점한다.
③ 각 조의 발표자를 제외한 모든 조원들에게는 발표점수의 총점을
동일하게 부여한다. 단, 발표자의 경우 총점에서 5점을 더한 점수
를 부여한다.
④ 발표내용이 보편적으로 동의하기 어려운 가치관이나 관점을 담고
있는 경우, 학습목표를 달성하지 못했기 때문에 10점을 감점하고,
피드백을 통해 수정하도록 유도한다.
6.5. 평가 결과
6.5.1. 평가 결과는 토의 과정 평가 점수와 발표 점수를 합산한 것으로 한다.
6.5.2. 이번 형성평가 점수는 다른 형성평가와 같은 비중으로 관리한다.
① 점수×
6.5.3. 평가 점수보다는 과정과 결과에 맞는 피드백에 초점을 둔다.
① 학생이 지니고 있는 능력에 비추어 얼마나 최선을 다했는지 능력 참조 평가
(Ability-referenced evaluation)를 통해 학생들이 최선을 다하도록 유도한다.
② 초기 능력수준에 비추어 얼마만큼 능력의 향상을 보였는지 성장 참조 평가
(Growth-referenced evaluation)를 통해 학생들의 성장을 강조하고 적절한 피드백
을 제공한다.
7. 참고문헌
J. M. Keller·송상호, 『매력적인 수업 설계』, 서울: 교육과학사, 1999.
R. E. Slavin·김정희, 『교육심리학 (이론과 실제)』(제7판), 2005.
R. M. Gagne 외·송상호 외, 『수업설계의 원리』(제5판), 2007.
박도순 외, 『교육학』, 대한교과서주식회사, 2003.
박도순홍후조, 『교육과정과 교육평가』(제3판), 서울: 문음사, 2006.
유기섭 외(2003), 『교육심리학』, 서울 동문사, 2003.
임규혁, 임웅 공저, 『교육심리학』(2판), 학지사, 2007.
조승제, 『교육과정과 평가의 쟁점』, 서울: 교육과학사, 2007.
진영은. 『교육과정-이론과 실제』, 서울: 학지사. 2002.
① 건전한 이성 관계에 대한 학생들의 토의과정
② 이성교제에 대한 자신의 생각을 담은 학생들의 발표
6.2. 평가 유형
평가기준에 따른 평가유형에는 규준지향평가 (norm-referenced test)와 준거지향평
가(criterion-referenced test)가 있다.
6.2.1. 건전한 이성 관계에 대한 학생들의 토의과정의 경우 규준지향평가를 실시한다.
① 조별토의과정에서 상대적으로 참여도가 높거나 낮은 학생이 있다.
6.2.2. 이성교제에 대한 자신의 생각을 담은 학생들의 발표의 경우 준거지향평가를 실시
한다.
① 학습목표는 이성과 이성교제에 대한 올바른 지식을 갖고, 학생들이 건전한
가치관과 관점을 가지고 정립하는 것이다. 그런데 한 가치관이나 관점이 반드시
다른 가치관이나 관점보다 더 올바르다고 함부로 말할 수 없다. 따라서 이성교
제에 대한 다양한 관점을 존중하는 의미에서 준거지향평가를 실시한다.
② 이성교제에 대한 가치관이나 관점을 분명히 가지고 있고, 이것을 글로 잘 표
현할 수 있는 여부를 준거지향평가로 평가한다. 그러나 보편적으로 동의하기 어
려운 가치관이나 관점을 분명히 가지고 있는 경우는 예외로 한다.
③ 발표능력의 경우 준거지향평가를 실시한다.
6.3. 평가 목적
Glaser의 교수과정모형을 살펴보면, 평가목적에는 학생들의 출발점행동을 점검하는
진단평가, 수업절차에서 실시하는 형성평가, 수업절차가 종료된 후 수업목표에 비
추어 학습결과를 평가하는 총괄평가가 있다. 박도순·홍후조, 『교육과정과 교육평가』, 문음사, 2006.
이번 수업에서 실시할 평가는 형성평
가로, 이번 수업에서 보여준 학생들의 토의과정과 발표에 대해서 평가하는 것이다.
R. W. Tyler는 ‘평가의 과정이란 본질적으로 교육과정 및 수업의 프로그램에 의 하여 교육목표가 실제 어느 정도나 도달되었는지를 밝히는 과정’이라고 하였다. 박도순·홍후조, 『교육과정과 교육평가』, 문음사, 2006.
따라서 학생들의 토의과정과 발표가 학습목표에 비추어 얼마나 도달했는지 평가하
도록 한다.
6.4. 세부 사항
평 가 항 목
평 가 점 수
반영비율
1점
2점
3점
4점
5점
토의
참여도
주도적으로 참여하는가?
×1
적극적으로 자신의 생각을 개진하는가?
×3
다른 학생들의 의견을 경청하는가?
×3
토의과정에서 산만한 행동이 보이지 않는가?
×1
주제
의식
주제에서 벗어나지 않는가?
×3
논리적
사고력
의견에 대한 근거가 논리적인가?
×2
예시나 근거가 적절한가?
×3
포용력
자신의 의견과 다른 의견을 존중하는가?
×2
독창성
의견이 진부하지 않고 독창적인가?
×1
협조성
토의 진행 과정이 매끄러운가?
×2
토의 분위기가 진지하면서도 우호적인가?
×1
총점
∑(평가점수 × 반영비율)
비고
① 각 항목마다 반영비율이 다른 것은 특정 항목이 다른 항목에 비해
서 토의과정에서 중요하기 때문이다.
② 평가점수는 자신을 제외한 다른 조원들이 평가한 점수의 평균으로
계산한다. 단, 최고점수와 최저점수를 제외한다.
③ 총점을 기준으로 상위부터 5명, 15명, 15명, 5명의 4그룹을 만들
어 상위부터 A, B, C, D로 평가한다.
④ A는 100점, B는 90점, C는 70점, D는 50점으로 환산한다.
① 토의과정 평가 항목표
② 발표 평가 항목표
평 가 항 목
평 가 점 수
반영비율
1점
2점
3점
4점
5점
발표
내용
내용이 자세하고 설명이 간결한가?
×2
다른 생각들과 비교해서 말하는가?
×1
피상적인 내용보다는 중심생각을 강조하는가?
×3
주제를 벗어나지 않는가?
×3
발표
전달력
발음이 정확하고 적절한 성량으로 발표하는가?
×2
말이 지나치게 빠르거나 느리지 않은가?
×2
발표
태도
발표 중 헛기침, 부적절한 손동작 등 주의를 흩트리지 않는가?
×1
적절한 손동작에 신경을 쓴다.
×1
청중과 골고루 눈을 맞추면서 반응을 살피는가?
×2
발표시간을 엄수하는가?
×3
질의
응답
청중의 질문을 잘 듣고, 이해한 뒤 그에 적절한 대답을 하는가?
×2
총점
∑(평가점수 × 반영비율)
비고
① 각 항목마다 반영비율이 다른 것은 특정 항목이 다른 항목에 비해
서 발표과정에서 중요하기 때문이다.
② 평가점수는 교사가 학생의 발표를 들으면서 각 항목을 채점한다.
③ 각 조의 발표자를 제외한 모든 조원들에게는 발표점수의 총점을
동일하게 부여한다. 단, 발표자의 경우 총점에서 5점을 더한 점수
를 부여한다.
④ 발표내용이 보편적으로 동의하기 어려운 가치관이나 관점을 담고
있는 경우, 학습목표를 달성하지 못했기 때문에 10점을 감점하고,
피드백을 통해 수정하도록 유도한다.
6.5. 평가 결과
6.5.1. 평가 결과는 토의 과정 평가 점수와 발표 점수를 합산한 것으로 한다.
6.5.2. 이번 형성평가 점수는 다른 형성평가와 같은 비중으로 관리한다.
① 점수×
6.5.3. 평가 점수보다는 과정과 결과에 맞는 피드백에 초점을 둔다.
① 학생이 지니고 있는 능력에 비추어 얼마나 최선을 다했는지 능력 참조 평가
(Ability-referenced evaluation)를 통해 학생들이 최선을 다하도록 유도한다.
② 초기 능력수준에 비추어 얼마만큼 능력의 향상을 보였는지 성장 참조 평가
(Growth-referenced evaluation)를 통해 학생들의 성장을 강조하고 적절한 피드백
을 제공한다.
7. 참고문헌
J. M. Keller·송상호, 『매력적인 수업 설계』, 서울: 교육과학사, 1999.
R. E. Slavin·김정희, 『교육심리학 (이론과 실제)』(제7판), 2005.
R. M. Gagne 외·송상호 외, 『수업설계의 원리』(제5판), 2007.
박도순 외, 『교육학』, 대한교과서주식회사, 2003.
박도순홍후조, 『교육과정과 교육평가』(제3판), 서울: 문음사, 2006.
유기섭 외(2003), 『교육심리학』, 서울 동문사, 2003.
임규혁, 임웅 공저, 『교육심리학』(2판), 학지사, 2007.
조승제, 『교육과정과 평가의 쟁점』, 서울: 교육과학사, 2007.
진영은. 『교육과정-이론과 실제』, 서울: 학지사. 2002.
키워드
추천자료
수학학습장애아의특성과지도법
지구과학 천문분야 교재연구
합창지도법
[특수교육] 자폐아 지도법 PECS (그림교환 의사소통 체계)
[특수교육] 자폐아 지도법과 지도사례-보완 대체 의사소통 - 그림 교환 의사소통 체계(PECS)
[협동학습][협동학습프로그램]협동학습의 개념, 협동학습의 의의, 협동학습의 종류, 협동학습...
[협동학습][협동학습 원격교육][협동학습 지도법][협동학습 기대효과]협동학습 정의, 협동학...
2011년 동계계절시험 청소년학습이론및지도 시험범위 핵심체크
2015년 1학기 아동관찰및행동연구 출석대체시험 핵심체크
[아동정신건강론 兒童精神健康論] TV가 아동에게 미치는 영향과 바람직한 TV 시청 지도법 - T...
2016년 1학기 아동관찰및행동연구 출석대체시험 핵심체크
2017년 1학기 아동관찰및행동연구 출석대체시험 핵심체크
2017년 1학기 아동관찰및행동연구 출석대체시험 핵심체크
2017년 1학기 아동관찰및행동연구 출석대체시험 핵심체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