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일본영화의 역사
2. 일본 영화 산업의 특징
3. 일본 영화의 대표 장르와 인디 영화
4. 일본 영화계의 대표적인 감독, 배우
5. 일본 영화의 미래
Ⅲ. 결론
Ⅳ. 참고 자료
Ⅱ. 본론
1. 일본영화의 역사
2. 일본 영화 산업의 특징
3. 일본 영화의 대표 장르와 인디 영화
4. 일본 영화계의 대표적인 감독, 배우
5. 일본 영화의 미래
Ⅲ. 결론
Ⅳ. 참고 자료
본문내용
수입(1158억5900만엔)이 증가한 것은 2008년 일본 영화의 호조를 증명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표1 참조).일본 영화 흥행수입이 1,000억엔대를 넘어선 것은, 2006년의 1079억4400만엔에 이어 두 번째의 기록이다. 그러나 2008년의 일본 영화 흥행 수입이 호조를 보인 이유에 대해, 일본 영화가 성공했다고 평가하기 보다는 외국 영화가 너무 부진했다고 평하고, 2008년의 성공이 무조건 환영하기만 할 일은 아니라는 반응도 있다. 키네마순보사 「키네마 순보」(2009.2하순 결산 특별호) p.166.
2009년 1월에 발표된 통계를 바탕으로 일본 영화 산업계를 정리해 보면 다음과 같은 몇 가지 경향을 찾아낼 수 있다.
첫째, 영화 회사는 제작과 배급 모두에서 도호의 독주가 더욱 가속화 되었다. 10억엔 이상의 흥행수입을 올린 일본 영화 28편중 22편을, 또한 10억엔 이상의 흥행수입을 올린 외국 영화 25편중 5편을 도호가 배급했고, 소설의 영화화(<그늘에 피다>, <홈레스 중학생>), 코믹의 영화화(<20세기 소년>,<디트로이트 메탈 시티>), 드라마 시리즈의 영화화(<꽃보다 남자:파이널>, <용의자 X의 헌신>), 코미디(<매직 아워>, <해피 플라이트>), 명작의 리메이크(<비밀 기지의 3명의 악인>,, <산의 당신:도쿠이찌의 사랑>) 등 젊은 층과 가족 층을 메인 타겟으로 한 다양한 장르의 작품 제작도 두드러졌다. 키네마순보사 「키네마 순보」(2009.2하순 결산 특별호) pp.170-171
둘째, 2008년 영화시장에서도 애니메이션의 강세는 이어졌다. 흥행수입 10억엔을 넘긴 애니메이션 영화는 총 7편으로, 매년 여름방학을 겨냥하여 개봉되는, <포켓 몬스터> 시리즈, <게게게노 기타로>시리즈, <도라에몽>과 <명탐정 코난>시리즈는 2008년에도 어김없이 10억에서 30억엔 선의 성공을 거두었다.
셋째, 드라마 시리즈의 영화화도 흥행 공식의 하나로 자리 잡았다. 드라마 후속편의 영화 5편이 10억엔 이상의 성공을 거두었고, 특히 <꽃보다 남자 : 파이널>과 <용의자 X의 헌신>, <아이보우>의 세편은 박스 오피스 베스트 10에도 포함되는 등 일본 영화 흥행의 주도적인 역할을 했다.
넷째, 최근 나타난 일본 영화 중견 히트작의 양산 경향이 2008년에도 이어졌다. 50억 이상의 메가히트작 두 편을 제외하고 30∼50억 선의 흥행 수익을 기록한 일본 영화는 9편, 10억엔에서 20억엔선의 흥행 수익을 기록한 영화는 모두 17편으로, 소수의 메가 히트작 독점 시대에서 탈피, 중견 히트작 수가 많은 탄탄한 시장으로의 체질 전환에 성공했다. 참고로, 2008년 10억엔 이상의 흥행수입을 올린 외국영화는 25편이고, 그 중 50억 이상의 수익을 기록한 영화는 전무했으며, 30∼50억 선의 흥행 수익을 기록한 외국영화는 5편, 10∼20억 선의 흥행 수익을 기록한 영화는 19편으로, 일본영화에 비하면 10억 엔 대의 흥행영화 편수가 많은 경향을 보였다.
다섯째, 흥행에 성공한 외국영화는 여전히 헐리우드 영화에 편중되어 있다. 외국 영화 베스트 10중<적벽대전: 거대한 전쟁의 시작>과 <지구>를 제외하고는, 헐리웃 대작이 차지했다.
여섯째, 영화관 평균 입장료는 2003년 이후 계속해서 저렴해 지고 있는 추세이다. 일반 입장요금은 1,800엔으로 지난 17년간 변동이 없으나, 한 달의 한번 있는 “영화 서비스 데이”나 “레이디즈 데이”, “시니어 할인”등 전국 공통할인과 함께 흥행회사나 지역의 독자적인 할인 서비스가 실시되고 있다.
일곱 번 째, 스크린 수는 2007년의 3,221면에서 138면이 늘어난 3,359면으로 꾸준한 증가추세를 보이고 있다. 이렇듯 증가하는 멀티플렉스들은 타 사업자와의 서비스의 차별화(특집 상영, 충치 체크, 네일 서비스 등)를 통해 고객 획득에 열을 올리고 있다. 시네마 콤플렉스의 등장으로, 1993년에는 1,734개에 지나지 않았던 스크린 수가 2007년 현재 3,221개로 증대 되었으나,한편으로는 기존의 단관들이 급격하게 감소했다. <그림1>에 따르면, 2000년에서 2001년 사이에는300관 정도가 모습을 감췄으며, 그 이후로도 매년 100관 정도 기존 단관이 사라지고 있는 추세이다.
표2 2008년 박스 오피스 탑10
순위
개봉시기
작품명
흥행수입(억엔)
배급회사
1
7월
<벼랑위의 포뇨>
155.0
도호
2
6월
<꽃보다 남자:파이널>
77.5
도호
3
6월
<인디아나 존스4:크리스탈 해골의 왕국>
57.1
파라마운트
4
11월
<적벽대전:거대한 전쟁의 시작>
50.5
도호도와/에이벡스
5
10월
<용의자 X의 헌신>
49.2
도호
6
7월
<포켓 몬스터 다이아몬드펄 기라티나
와 얼음하늘의 꽃다발 셰이미>
48.0
도호
7
5월
<아이보우(相棒)>
44.4
도우에이
8
7월/12월
<나는 전설이다>
43.1
워너브라더스
9
8월
<20세기 소년 제1장 강림>
39.5
도호
10
6월
<매직 아워>
39.2
도호
출처 : (사)일본 영화제작자 연맹 홈페이지 참조하여 작성 (http://www.eiren.org/toukei/data.html
2) 영화 제작사와 방송국
(1) 영화 제작사
일본의 영화계는 몇 개의 메이져급 영화사들에 의해 움직여왔다. 흔히 도에이(東映), 도호(東拱), 쇼치쿠(松竹), 그리고 닛카쓰(日活)의 4대 메이저로 불려져 왔다. 그러나 일본의 4대 메이저 영화사도 어느덧 합병하였다가 다시 해체하기를 거듭하여 현재는 도에이, 도호, 쇼치쿠가 메이저로 아직 남고 닛카쓰가 떨어져 나간 상태이다. 그러나 에니메이션으로만 돈을 모으고 있는 도에이나 도쿄 지역에 쇼치쿠 방화관을 없앤 쇼치쿠도 그리 순탄하지만은 않은 실정이다. 그래서 90년대 일본에서 이들 3대 메이저 영화사보다 더 힘이 세진 곳이 방송국이다. 즉 영화사 자체의 제작영화보다 TV드라마를 영화화하거나 방송국과 공동제작하거나 메이저 영화사는 방송국 제작 영화를 보유하고 있는 극장망에 배급하는 형식으로 체중유지를 하고 있는 셈이다. 먼저 지금 현 상황에서 후지 텔레비전을 가장 손쉽게 설명하는 방법은 <러브레터>이다. 이와이
2009년 1월에 발표된 통계를 바탕으로 일본 영화 산업계를 정리해 보면 다음과 같은 몇 가지 경향을 찾아낼 수 있다.
첫째, 영화 회사는 제작과 배급 모두에서 도호의 독주가 더욱 가속화 되었다. 10억엔 이상의 흥행수입을 올린 일본 영화 28편중 22편을, 또한 10억엔 이상의 흥행수입을 올린 외국 영화 25편중 5편을 도호가 배급했고, 소설의 영화화(<그늘에 피다>, <홈레스 중학생>), 코믹의 영화화(<20세기 소년>,<디트로이트 메탈 시티>), 드라마 시리즈의 영화화(<꽃보다 남자:파이널>, <용의자 X의 헌신>), 코미디(<매직 아워>, <해피 플라이트>), 명작의 리메이크(<비밀 기지의 3명의 악인>,
둘째, 2008년 영화시장에서도 애니메이션의 강세는 이어졌다. 흥행수입 10억엔을 넘긴 애니메이션 영화는 총 7편으로, 매년 여름방학을 겨냥하여 개봉되는, <포켓 몬스터> 시리즈, <게게게노 기타로>시리즈, <도라에몽>과 <명탐정 코난>시리즈는 2008년에도 어김없이 10억에서 30억엔 선의 성공을 거두었다.
셋째, 드라마 시리즈의 영화화도 흥행 공식의 하나로 자리 잡았다. 드라마 후속편의 영화 5편이 10억엔 이상의 성공을 거두었고, 특히 <꽃보다 남자 : 파이널>과 <용의자 X의 헌신>, <아이보우>의 세편은 박스 오피스 베스트 10에도 포함되는 등 일본 영화 흥행의 주도적인 역할을 했다.
넷째, 최근 나타난 일본 영화 중견 히트작의 양산 경향이 2008년에도 이어졌다. 50억 이상의 메가히트작 두 편을 제외하고 30∼50억 선의 흥행 수익을 기록한 일본 영화는 9편, 10억엔에서 20억엔선의 흥행 수익을 기록한 영화는 모두 17편으로, 소수의 메가 히트작 독점 시대에서 탈피, 중견 히트작 수가 많은 탄탄한 시장으로의 체질 전환에 성공했다. 참고로, 2008년 10억엔 이상의 흥행수입을 올린 외국영화는 25편이고, 그 중 50억 이상의 수익을 기록한 영화는 전무했으며, 30∼50억 선의 흥행 수익을 기록한 외국영화는 5편, 10∼20억 선의 흥행 수익을 기록한 영화는 19편으로, 일본영화에 비하면 10억 엔 대의 흥행영화 편수가 많은 경향을 보였다.
다섯째, 흥행에 성공한 외국영화는 여전히 헐리우드 영화에 편중되어 있다. 외국 영화 베스트 10중<적벽대전: 거대한 전쟁의 시작>과 <지구>를 제외하고는, 헐리웃 대작이 차지했다.
여섯째, 영화관 평균 입장료는 2003년 이후 계속해서 저렴해 지고 있는 추세이다. 일반 입장요금은 1,800엔으로 지난 17년간 변동이 없으나, 한 달의 한번 있는 “영화 서비스 데이”나 “레이디즈 데이”, “시니어 할인”등 전국 공통할인과 함께 흥행회사나 지역의 독자적인 할인 서비스가 실시되고 있다.
일곱 번 째, 스크린 수는 2007년의 3,221면에서 138면이 늘어난 3,359면으로 꾸준한 증가추세를 보이고 있다. 이렇듯 증가하는 멀티플렉스들은 타 사업자와의 서비스의 차별화(특집 상영, 충치 체크, 네일 서비스 등)를 통해 고객 획득에 열을 올리고 있다. 시네마 콤플렉스의 등장으로, 1993년에는 1,734개에 지나지 않았던 스크린 수가 2007년 현재 3,221개로 증대 되었으나,한편으로는 기존의 단관들이 급격하게 감소했다. <그림1>에 따르면, 2000년에서 2001년 사이에는300관 정도가 모습을 감췄으며, 그 이후로도 매년 100관 정도 기존 단관이 사라지고 있는 추세이다.
표2 2008년 박스 오피스 탑10
순위
개봉시기
작품명
흥행수입(억엔)
배급회사
1
7월
<벼랑위의 포뇨>
155.0
도호
2
6월
<꽃보다 남자:파이널>
77.5
도호
3
6월
<인디아나 존스4:크리스탈 해골의 왕국>
57.1
파라마운트
4
11월
<적벽대전:거대한 전쟁의 시작>
50.5
도호도와/에이벡스
5
10월
<용의자 X의 헌신>
49.2
도호
6
7월
<포켓 몬스터 다이아몬드펄 기라티나
와 얼음하늘의 꽃다발 셰이미>
48.0
도호
7
5월
<아이보우(相棒)>
44.4
도우에이
8
7월/12월
<나는 전설이다>
43.1
워너브라더스
9
8월
<20세기 소년 제1장 강림>
39.5
도호
10
6월
<매직 아워>
39.2
도호
출처 : (사)일본 영화제작자 연맹 홈페이지 참조하여 작성 (http://www.eiren.org/toukei/data.html
2) 영화 제작사와 방송국
(1) 영화 제작사
일본의 영화계는 몇 개의 메이져급 영화사들에 의해 움직여왔다. 흔히 도에이(東映), 도호(東拱), 쇼치쿠(松竹), 그리고 닛카쓰(日活)의 4대 메이저로 불려져 왔다. 그러나 일본의 4대 메이저 영화사도 어느덧 합병하였다가 다시 해체하기를 거듭하여 현재는 도에이, 도호, 쇼치쿠가 메이저로 아직 남고 닛카쓰가 떨어져 나간 상태이다. 그러나 에니메이션으로만 돈을 모으고 있는 도에이나 도쿄 지역에 쇼치쿠 방화관을 없앤 쇼치쿠도 그리 순탄하지만은 않은 실정이다. 그래서 90년대 일본에서 이들 3대 메이저 영화사보다 더 힘이 세진 곳이 방송국이다. 즉 영화사 자체의 제작영화보다 TV드라마를 영화화하거나 방송국과 공동제작하거나 메이저 영화사는 방송국 제작 영화를 보유하고 있는 극장망에 배급하는 형식으로 체중유지를 하고 있는 셈이다. 먼저 지금 현 상황에서 후지 텔레비전을 가장 손쉽게 설명하는 방법은 <러브레터>이다. 이와이
추천자료
배틀로얄을 통해본 일본청소년들의 문제점
`링`으로 살펴보는 일본문화
츠치모토 노리아키의 영화운동과 [미나마타] 시리즈
[인문과학] 냉정과 열정사이, 소설과 영화 분석
[영어에세이] 하울의 움직이는 성 Howl`s Moving Castle - 미야자키 하야오 - Hayao Miyazaki...
[일본 애니메이션][일본 게임산업]일본 애니메이션(일본 애니메이션의 발전과정과 일본 애니...
[영어에세이] My Neighbor Totoro 이웃집 토토로 - 미야자키 하야오 감독 일본 애니메이션 ...
동아시아 역사와 영화
[일본어레포트]영화와 패션에 그려진 오리엔탈리즘
영화 shall we dance(일본)와 여가의 관계
태평양의 강수알고리즘, 태평양의 어업생물조사, 태평양의 꽁치자원, 태평양과 한국영화해외...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