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실험 목적
관련이론
사용 및 계기 부품
실험 방법
실험결과
관련이론
사용 및 계기 부품
실험 방법
실험결과
본문내용
10mA에서 50mA이다.
(2)포토커플러
포토커플러는 한 개의 LED와 광 검출기로 구성된다. 그림9.3은 LED-포토다이오드커플러
이다. 왼쪽의 LED로부터 나온 빛은 광다이오드에 입사하여 저항 R2를 통해 흐르는 역방향
전류를 발생 시킨다. 광다이오드에 걸리는 전압은 다음 식으로 주어진다.
이 출력전압은 역방향 전류의 크기에 의존한다. LED 전압을 변화시키면 빛의 양이 변하기 때문에 광다이오드 전류가 변하며, 결과적으로 VOUT도 변하게 된다.
포토커플러의 장점은 LED 회로와 광다이오드회로의 전기적 분리이다. 즉, 포토커플러의
입력과 출력의 신호전달은 빛을 통해서 이루어지는 것이다. 대체로 입력과 출력간의 저항
은 Ω 보다 크다. 이것 때문에 포토커플러를 광 격리기라고도 한다.
사용 및 계기 부품
① 함수발생기
② 멀티미터
③ 오실로스코프
④ 포토커플러
⑤ 기타저항
실험 방법
(1) 포토커플러의 전달특성
① 그림 9.4(a)의 회로에서 전원을 2V로 조정하라. 출력전압을 측정하여 기록하라.
② 4, 6, 8, 10, 12, 14V 전원전압에 따라 단계①을 반복하라.
③ 위의 데이터로부터 포토커플러의 전달특성(VOUT 대VS)을 그려라.
실험결과
(2)포토커플러
포토커플러는 한 개의 LED와 광 검출기로 구성된다. 그림9.3은 LED-포토다이오드커플러
이다. 왼쪽의 LED로부터 나온 빛은 광다이오드에 입사하여 저항 R2를 통해 흐르는 역방향
전류를 발생 시킨다. 광다이오드에 걸리는 전압은 다음 식으로 주어진다.
이 출력전압은 역방향 전류의 크기에 의존한다. LED 전압을 변화시키면 빛의 양이 변하기 때문에 광다이오드 전류가 변하며, 결과적으로 VOUT도 변하게 된다.
포토커플러의 장점은 LED 회로와 광다이오드회로의 전기적 분리이다. 즉, 포토커플러의
입력과 출력의 신호전달은 빛을 통해서 이루어지는 것이다. 대체로 입력과 출력간의 저항
은 Ω 보다 크다. 이것 때문에 포토커플러를 광 격리기라고도 한다.
사용 및 계기 부품
① 함수발생기
② 멀티미터
③ 오실로스코프
④ 포토커플러
⑤ 기타저항
실험 방법
(1) 포토커플러의 전달특성
① 그림 9.4(a)의 회로에서 전원을 2V로 조정하라. 출력전압을 측정하여 기록하라.
② 4, 6, 8, 10, 12, 14V 전원전압에 따라 단계①을 반복하라.
③ 위의 데이터로부터 포토커플러의 전달특성(VOUT 대VS)을 그려라.
실험결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