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실험 목적
2. 실험 원리
3. 실험 기구 및 장치
4. 실험 방법
5. 주의 사항
6. 실험 결과
7. 토의
2. 실험 원리
3. 실험 기구 및 장치
4. 실험 방법
5. 주의 사항
6. 실험 결과
7. 토의
본문내용
한 전류가 흘러서 검류계가 파손된다.
(2) 전압이 낮으면 전류가 0이 되는 점이 많이 나타나서 정확한 등전위선을 찾지 못할 수가 있다. 이때에는 전압을 높여 정확히 전류가 0이 되는 점을 찾는다.
(3) 측정시 이동 검침봉이 물에 수직하지 않은 경우에는 정확한 실험이 도지 않으므로 주의해야한다.
(4) 전극이 움직이기 쉬우므로 움직이지 않도록 주의하여 측정한다.
(5) 물을 이용하기 때문에 기계에 물이 들어갈 수 있으니 주의한다.
6. 실험 결과
[실제 측정 형태]
[이론상의 형태]
[결과 분석]
실제로 측정된 형태는 1사분면의 좌표값을 구하고, 그래프로 그린 후 상하, 좌우로 대칭 시킨 후 얻은 것이다. 이론상의 값과는 약간의 오차가 있으나 유사한 모습을 나타내고 있음을 알수
있다.
※오차의 원인은 <토의>란에 분석하기로 한다.
7. 토의
이번 실험의 목적은 물을 이용하여 여러 가지 형태의 전극에 대한 등전위선을 찾아 전기장의 개념을 이해하는 것이었다.
(1) 등전위선
전위가 같은 점을 연결한 선을 등전위선이라고 한다. 검류계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 등전위선은 콜롱의 법칙에 의해 위치에너지가 같은 점을 연결하는 방법으로 구할 수 있다. 위치에너지의 차이가 없으므로 등전위선 위의 모든 점들은 전위차가 없다.
(2)등전위선 위에서 검류계가 0을 가리키는 이유
(1)을 통해서 등전위선 위에서 전위차(V)=0 이라는 걸 알았다.
(V=전위차, E=전기장의 세기, d=두 점의 간격)
위 식을 사용하면 등전위선 위에서도 거리 d는 존재하므로 V=0일 때, E도 0이다. 결국 전하 q가 받는 전기력(F=qE)는 0이 되고, 전하가 힘을 받지 않으므로 이동하지 못한다. 따라서 등전위선 위에서는 전류가 흐르지 않고, 검류계는 ‘0’을 가리킨다.
[오차의 원인]
(1) 전류계의 바늘이 0인 지점을 손으로 따라가며 측정을 해야 하는데, 한치의 오차도 없는 정확한 측정은 어려웠다. 또한 전류계가 전위차가 큰 곳에서는 크게 움직이다가 등전위선 부근의 전위차가 작은 곳에서는 알아보기 힘들 정도로 바늘이 움직여서 등전위선인지 아닌지 구분하기 힘들었다.
(2) 전선의 전기장선이 오차의 원인이 될 수도 있을 것이다. 전극을 연결하는 전선에서도 전기장이 발생하기 때문에 전선을 전극 근처에 놓지 말고 실험판에서 멀리 하여 실험을 했으면 오차를 줄일 수 있을 것이다.
(3) 눈금이 크기 때문에 정확한 좌표값이 측정되지 않는다.
(2) 전압이 낮으면 전류가 0이 되는 점이 많이 나타나서 정확한 등전위선을 찾지 못할 수가 있다. 이때에는 전압을 높여 정확히 전류가 0이 되는 점을 찾는다.
(3) 측정시 이동 검침봉이 물에 수직하지 않은 경우에는 정확한 실험이 도지 않으므로 주의해야한다.
(4) 전극이 움직이기 쉬우므로 움직이지 않도록 주의하여 측정한다.
(5) 물을 이용하기 때문에 기계에 물이 들어갈 수 있으니 주의한다.
6. 실험 결과
[실제 측정 형태]
[이론상의 형태]
[결과 분석]
실제로 측정된 형태는 1사분면의 좌표값을 구하고, 그래프로 그린 후 상하, 좌우로 대칭 시킨 후 얻은 것이다. 이론상의 값과는 약간의 오차가 있으나 유사한 모습을 나타내고 있음을 알수
있다.
※오차의 원인은 <토의>란에 분석하기로 한다.
7. 토의
이번 실험의 목적은 물을 이용하여 여러 가지 형태의 전극에 대한 등전위선을 찾아 전기장의 개념을 이해하는 것이었다.
(1) 등전위선
전위가 같은 점을 연결한 선을 등전위선이라고 한다. 검류계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 등전위선은 콜롱의 법칙에 의해 위치에너지가 같은 점을 연결하는 방법으로 구할 수 있다. 위치에너지의 차이가 없으므로 등전위선 위의 모든 점들은 전위차가 없다.
(2)등전위선 위에서 검류계가 0을 가리키는 이유
(1)을 통해서 등전위선 위에서 전위차(V)=0 이라는 걸 알았다.
(V=전위차, E=전기장의 세기, d=두 점의 간격)
위 식을 사용하면 등전위선 위에서도 거리 d는 존재하므로 V=0일 때, E도 0이다. 결국 전하 q가 받는 전기력(F=qE)는 0이 되고, 전하가 힘을 받지 않으므로 이동하지 못한다. 따라서 등전위선 위에서는 전류가 흐르지 않고, 검류계는 ‘0’을 가리킨다.
[오차의 원인]
(1) 전류계의 바늘이 0인 지점을 손으로 따라가며 측정을 해야 하는데, 한치의 오차도 없는 정확한 측정은 어려웠다. 또한 전류계가 전위차가 큰 곳에서는 크게 움직이다가 등전위선 부근의 전위차가 작은 곳에서는 알아보기 힘들 정도로 바늘이 움직여서 등전위선인지 아닌지 구분하기 힘들었다.
(2) 전선의 전기장선이 오차의 원인이 될 수도 있을 것이다. 전극을 연결하는 전선에서도 전기장이 발생하기 때문에 전선을 전극 근처에 놓지 말고 실험판에서 멀리 하여 실험을 했으면 오차를 줄일 수 있을 것이다.
(3) 눈금이 크기 때문에 정확한 좌표값이 측정되지 않는다.
추천자료
물리 실험 - 오차론- 예비보고서
물리실험 - 교류회로 - 예비보고서
일반화학실험 엔탈피 측정(예비보고서)
[일반물리실험] 등전위선 예비보고서
실험2. 자유낙하와 에너지 보존 예비+결과보고서
(예비보고서) 쿨롱 법칙 실험
[일반물리학실험] (예비보고서) 힘과가속도
[실험] (예비보고서) 중력가속도 : 지구 중력에 의해 낙하하는 물체에 대해 낙하거리와 시간...
실험 20. 재결정 예비보고서 : 고체물질의 특정 용매에 대한 용해도가 온도에 의존한다는 점...
실험2 최대 전력 전달 예비보고서
실험2 RLC 직렬회로 예비보고서
실험2 테브닌의 정리 예비보고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