와이브로의 현재와 미래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와이브로의 현재와 미래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휴대인터넷 서비스의 출현배경

2. WiBro 정의

3. WiBro 기술의 포지셔닝

4. 휴대인터넷의 도입기술

5. WiBro의 경쟁제품, HSDPA

6. 시장 경쟁환경 조성을 위한 정책시행 내용

7. WiBro 미래

본문내용

아남기' 위해서는 다양한 컨텐츠 공급은 물론이고 각 서비스 업체별로 생존력 있는 특유의 컨텐츠 제공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세 번째는, 비용이다. 현재의 이동통신 시장은 포화상태에서 더 나아가 과포화상태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 또한 1가정 당 통신요금 지출비용이 상당부분 차지한다. 유선 초고속인터넷에서는 할 수 없는 무선 휴대인터넷만의 매력이 있다 할지라도, 35000원 정도의 서비스 비용으로는 소비자의 닫힌 지갑을 열기는 어렵다. 고가의 단말기 또한 WiBro의 성공에 장애물이 될 것이다. 새로운 서비스가 시작되고, 좋은 기능의 단말기가 출시되어도 소비자의 절대다수는 가격의 선을 그어 놓은 채 선택의 길에 들어선다는 것을 알아야 할 것이다.
방송통신위원회는 2009년 10월 14일 전체회의에서 2012년까지 추진될 '사물통신 기반구축 기본계획'을 확정하고, 4대 분야 12대 중점 추진과제를 발표했다.
) 대한민국 정책포털(방송통신위원회 등록, 2009년 10월 14일)
4대 분야에는 사물통신 기반구축 사물통신 서비스 활성화 사물통신 기술개발 사물통신 확산 환경 조성 등이 포함됐다.
또, 12대 과제에는 사물통신공공망 공중망 선도망 구축 공공분야 선도 서비스 모델 발굴 민간분야 사물통신 응용서비스 확산 지원 표준모델 확립 핵심기술 개발 표준화 지원 강화 식별체계 도입 및 정보자원 관리체계 구축 등이 담겼다.
최근에 발표된 국내외 관련 보고서에 따르면, 전 세계 사물통신 시장은 2007년 기준으로 약 15조8000억원에서 2013년에는 50조7000억원 규모로 급격히 증가하고, 네트워크에 연결되는 기기, 단말 장비는 약 2500만개에서 1억2600만개로 기하급수적으로 증가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이러한 시장변화에 따라 국내 통신사업자들도 본격적인 사물통신 수요에 대비 2G 3G 및 와이브로 등 광대역 무선망 인프라를 활용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전용 요금제, 통합플랫폼, 전용단말 등을 경쟁적으로 개발 중이다.
특히, 사물통신은 녹색성장을 위해 정부가 추진 중인 4대강 유역의 수질이나 CO2 측정 관리 등에 적용하거나, 에너지절감을 위해 가정이나 건물의 에너지 사용량을 진단하고 효율을 높이는 스마트 그리드와의 연계가 가능하다.
방송통신위원회는 "사물통신을 통해 기상 해양의 변화를 실시간 감지 할 수 있어 지구온난화에 따른 기후변화에 대한 대응체계도 만들 수 있다"며 "사회현안을 해결하고 그린 ICT 강국으로서의 위상 강화에 기여할 것"으로 예상했다.
결론적으로 Wibro의 미래산업은 매우 희망적이지만, 시장 특히 국제시장에서의 선도역할을 하지 못하면 내수용으로 머무를 수 밖에 없으며 내수용으로 머무는 한 국내 Wibro 기술개발에 대한 투자가 축소되어 기술개발이나 시장점유율 측면에서 그 발전정도가 매우 빈약한 모습으로 추락할 가능성이 매우 높다할 수 있을 것이다.
정부의 정책적 지원기반을 바탕으로 한국의 양대 WiBro 기업체인 KT와 삼성전자를 중심으로 향후 사물통신표준, IPv6 기반의 식별 및 정보보호 체계, 통합플랫폼 규격, 합리적인 서비스 요금 체계 등을 마련될 것으로 보고, u-시티 등 다양한 센서 네트워크 관련 사업의 인프라 중복투자 및 사물정보 공동이용 미흡 등의 문제도 해결될 것으로 기대해 본다.
참고문헌
1. 정보통신 배움터(생능출판사, 정진욱외3명; 2007년 2월 20일)
2. 차세대 정보통신 세계(정보통신기술사, 김충남지음; 2005년 5월 2일)
3. 유비쿼터스 시대의 멀티미디어 통신(사이텍미디어(주), 정진욱 외 공역, 2006년)
4. 통신망진화에 따른 유무선 통합서비스 전망(한국전자통신연구원, 신현문외1명, 2002)
5. 초고속 무선랜과 유무선통합(KT 마케팅본부 유무선통합사업팀, 2002)
6. KT 무선인터넷 서비스(Nespot)(KT 멀티미디어연구소, 2002)
7. 인터넷전화 긴급통화서비스 동향과 시사점(김민정, 정보통신정책, 2005)
8. 인터넷 전화 국내외 활성화동향(이은곤, 정보통신정책, 2005)
9. 유무선통합에따른개념정립과서비스제공동향(김상휘,한국전자통신연구원,2002)
10. 휴대인터넷은 IT 산업 활력소(신선미, 전자신문, 2003.9.25)
11. 2.3GHz 무선초고속인터넷 기술동향(황상우, 하나로통신(주), 2003)
12. 대한민국 정책포털(방송통신위원회 등록자료, 2007)
13. 대한민국 정책포털(방송통신위원회 등록, 2009년 10월 14일)
14. 디지털 데일리(2006년 1월 1일)

키워드

  • 가격4,0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10.01.07
  • 저작시기2009.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7203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