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목차
Ⅰ. 서론
1. 동춘 서커스의 선정동기
2. 연구목적 및 연구방법
Ⅱ. 본론
1. 동춘 서커스에 대한 소개
2. 동춘 서커스의 현재 환경 분석
3. SWOT 분석
4. 동춘 서커스 문제점
5. 해외 성공사례 - 태양의 서커스
6. 동춘 서커스의 공연마케팅 분석: STP
7. 동춘 서커스의 공연마케팅 분석: 7P`s
8. 앞으로 동춘 서커스의 발전 방향
Ⅲ. 결론
1. 요약 및 결론
2. 팀원들의 느낀 점
Ⅳ. 참고문헌
1. 동춘 서커스의 선정동기
2. 연구목적 및 연구방법
Ⅱ. 본론
1. 동춘 서커스에 대한 소개
2. 동춘 서커스의 현재 환경 분석
3. SWOT 분석
4. 동춘 서커스 문제점
5. 해외 성공사례 - 태양의 서커스
6. 동춘 서커스의 공연마케팅 분석: STP
7. 동춘 서커스의 공연마케팅 분석: 7P`s
8. 앞으로 동춘 서커스의 발전 방향
Ⅲ. 결론
1. 요약 및 결론
2. 팀원들의 느낀 점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우 뿌듯하다. 동춘 서커스의 경우 충분히 문화적 가치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정부의 지원 미비와 더불어 시설낙후, 인재 부족 등의 문제와, 마케팅적인 전략이 부족한 것이 많이 아쉬웠다. 때문에 우리의 과제에서는 동춘 서커스의 전략을 제시하는데 주목했다. 이 기회를 통해 혼자 하는 과제에 비해 팀 별로 하는 과제가 각자의 능력과 더불어 시너지 효과를 낼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고, 분업화를 통해 효율성을 높일 수 있어 팀 구성원 간에 호흡이 잘 맞는다면 개인과제보다 더욱더 많은 것을 얻을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5) (경영학과, 0612121)
이번 사례 조사뿐만이 아니라 나에게는 개인적으로 문화마케팅의 수업자체가 신선한 충격으로 다가왔다. 문화경영에 대해 조금 관심이 있기는 했지만 이론적으로나 구체적으로 무엇을 어떻게 해야 되는지는 아무것도 모르는 내게 이번 공연마케팅을 조사해 봄으로써 많은 것을 배우게 되었다. 평소 나는 평소 영화 또는 뮤지컬을 자주 보기는 하지만 서커스와 같은 공연을 본 적은 없는 것 같다. 특별한 날에 가끔씩 보는 것 외에는 거의 보는 일이 없는 나로서는 과제를 통해 우리나라 공연들의 마케팅 사례를 살펴보는 것 자체가 굉장히 흥미롭고 새로운 부분이 많았다. 서커스이라고 하면 태양의 서커스만 알고 있었는데 우리나라에도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는 동춘 서커스단이 존재한다는 점이 새로웠다. 특히 우리조의 경우 태양의 서커스단과 동춘 서커스단을 분석대상으로 삼아 비교를 하였는데, 막대한 자본금과 공감 가는 탄탄한 스토리 구성으로 태양의 서커스는 호응을 얻을 수 있었다. 이처럼 서커스 역시 단순히 묘기를 보여주는 무대 외에도 탄탄한 스토리를 통해 뮤지컬처럼 새로운 매력을 개발하는 것이 중요할 것이다. 두 작품을 비교해보면서 각자 어떤 타겟층에게 어떤 마케팅을 하였는지 비교해보고, 왜 이런 마케팅을 한 것인지 분석하면서 공연마케팅 쪽에 관심이 생겼고, 앞으로는 공연장이나 다른 공연들의 마케팅에도 관심을 가지고 보아야겠다는 생각을 했다. 이번 조사를 통해 동춘 서커스의 실패가 굉장히 안타까웠다. 이제부터라도 새로이 내용을 정비해서 더욱 탄탄한 스토리와 전체구성으로 감동을 뛰어넘는 작품으로 탄생하길 바란다.
6) (경영학과, 0712115)
문화마케팅에 대해서 평소에 관심이 많았는데 그 무엇보다도 많은 사례를 접하면서 여러 기업에 예전보다 더 많은 관심을 갖고 살펴볼 수 있었다. 이번에 우리 조에서 다룬 동춘 서커스의 경우 오랜 전통과 과거 많은 사랑을 받았음에도 불구하고, 현재 매우 힘든 상황에 처해 있고, 지금 현재로 봤을 때는 발전 가능성이 매우 희박하게 느껴졌다. 그래서 더욱 문화마케팅 분야로 관련하여서 매우 큰 문제점을 지니고 있고 연구해 볼 필요가 있다고 생각되었다. 사례조사를 하면서 내부적인 공연의 질을 관련하여 여러 문제도 있지만 뿐만 아니라 외부적인 지원이나 환경 인식 차원에서도 많은 장벽이 있었다. 그러한 장벽들을 해소하기 위해서 어떻게 풀어 나아가야 할지 조원들과 함께 풀어나가면서 단순 과제제출을 위함이 아닌 이 프로젝트로 인해 실제 사례의 현황을 직접적으로 자세히 알 수 있어서 많은걸 얻어간 것 같다. 지금까지 접한 마케팅이 아닌 문화 쪽에 마케팅을 연관하여 살펴볼 수 있어서 매우 흥미롭고 유익한 과제였다.
7) (의류학과, 0611378)
조사를 하기 전까지는 나도 동춘 서커스단에 대해 일반적인 시각을 갖고 있었다. 촌스럽고 진부하며 흥미를 끌만한 요소가 없는 옛것으로만 취급하였다. 하지만 이번 과제를 통해서 동춘 서커스단에 대한 새로운 시각을 갖게 되었고 그 필요성을 느끼었다. 동춘 서커스단을 단지 사적인 공연단체로 보고 그들이 스스로 발전하길 바라는 것이 아니라 정부에서도 지원을 해주고 우리 국민들도 그들을 위해 새로운 시각을 가질 필요가 있음을 느끼었다. 박세환 단장의 사적인 자금으로 30명 가운데 5명밖에 되지 않는 한국인 단원들과 함께 동춘 서커스를 이끌어 간다는 것은 역부족인 것 같다. 동춘 서커스단의 개혁을 위해 대학생들과 함께 한다면 더 큰 시너지가 발생 할 수 있을 것이라는 생각이 든다. 대학생들의 톡톡 튀는 창의성을 받아들임으로 해서 동춘 서커스단의 이미지가 젊어지고 시대에 발맞추어 나아갈 수 있으며, 기업들과 제휴를 하는 것보다 비용적인 면에서도 이익이 될 것이다. 동춘 서커스단 내에서도 빠르게 변하는 시대에 맞추어 새로운 것은 받아들이며 그들의 중심을 지켜나간다면 재정적 지원을 요구하기 전에 재정적 지원이 먼저 들어올 수 있을 것이다. 문화의 시대를 맞이한 만큼 예전에 걸출한 스타들을 배출해낸 우리의 전통 서커스를 발전시킨다면 한국의 비보이 댄스가 세계를 제패하고 있듯이 서커스도 그렇게 할 수 있을 것이라는 생각이 든다.
Ⅳ. 참고문헌
1. 신문자료
* 동춘 서커스단 사라지면 공연예술 한 장르가 끊겨요[경향신문] 2008-12-04
* Weekend 라운지 - 동춘서커스,2009 희망과 절망의 기로에
[국민일보] 2009-01-09
* 뉴스 다큐 시선 - 서커스를 통해 본 세상 [서울신문] 2009-01-20
* 동춘 서커스, '봄날'을 기다리며 [IMBC] 2009-03-03
2. 전문자료
* 이유리, “문화마케팅”, 2009
* 송의원, “공연예술경영 무엇을 어떻게 할까”, 민속원, 2006
* 김만석, “공연예술경영”, 북코리아, 2008
* 김주호용호성, “예술경영”, 김영사, 2002
* 최민지, “태양의 서커스 공연에 나타난 창작요소의 혁신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 짐 콜린스, “경영의 창조자들”, 토네이도, 2007
* 하계훈 외, “문화예술경영 - 이론과 실제”, 생각의 나무, 2002
* 최현식이수진, “비보이 공연의 문화관광 상품화 방안에 관한 연구”, 국제관광학회, 2007
* 송혁규, “전통예술공연의 마케팅 방안 연구: 전통음악공연을 중심으로”, 단국대학교 산업경영대학원, 2003
3. 인터넷 사이트
* http://www.circus.co.kr
* http://blog.naver.com/caughtup
* http://www.cirquedusoleil.com
5) (경영학과, 0612121)
이번 사례 조사뿐만이 아니라 나에게는 개인적으로 문화마케팅의 수업자체가 신선한 충격으로 다가왔다. 문화경영에 대해 조금 관심이 있기는 했지만 이론적으로나 구체적으로 무엇을 어떻게 해야 되는지는 아무것도 모르는 내게 이번 공연마케팅을 조사해 봄으로써 많은 것을 배우게 되었다. 평소 나는 평소 영화 또는 뮤지컬을 자주 보기는 하지만 서커스와 같은 공연을 본 적은 없는 것 같다. 특별한 날에 가끔씩 보는 것 외에는 거의 보는 일이 없는 나로서는 과제를 통해 우리나라 공연들의 마케팅 사례를 살펴보는 것 자체가 굉장히 흥미롭고 새로운 부분이 많았다. 서커스이라고 하면 태양의 서커스만 알고 있었는데 우리나라에도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는 동춘 서커스단이 존재한다는 점이 새로웠다. 특히 우리조의 경우 태양의 서커스단과 동춘 서커스단을 분석대상으로 삼아 비교를 하였는데, 막대한 자본금과 공감 가는 탄탄한 스토리 구성으로 태양의 서커스는 호응을 얻을 수 있었다. 이처럼 서커스 역시 단순히 묘기를 보여주는 무대 외에도 탄탄한 스토리를 통해 뮤지컬처럼 새로운 매력을 개발하는 것이 중요할 것이다. 두 작품을 비교해보면서 각자 어떤 타겟층에게 어떤 마케팅을 하였는지 비교해보고, 왜 이런 마케팅을 한 것인지 분석하면서 공연마케팅 쪽에 관심이 생겼고, 앞으로는 공연장이나 다른 공연들의 마케팅에도 관심을 가지고 보아야겠다는 생각을 했다. 이번 조사를 통해 동춘 서커스의 실패가 굉장히 안타까웠다. 이제부터라도 새로이 내용을 정비해서 더욱 탄탄한 스토리와 전체구성으로 감동을 뛰어넘는 작품으로 탄생하길 바란다.
6) (경영학과, 0712115)
문화마케팅에 대해서 평소에 관심이 많았는데 그 무엇보다도 많은 사례를 접하면서 여러 기업에 예전보다 더 많은 관심을 갖고 살펴볼 수 있었다. 이번에 우리 조에서 다룬 동춘 서커스의 경우 오랜 전통과 과거 많은 사랑을 받았음에도 불구하고, 현재 매우 힘든 상황에 처해 있고, 지금 현재로 봤을 때는 발전 가능성이 매우 희박하게 느껴졌다. 그래서 더욱 문화마케팅 분야로 관련하여서 매우 큰 문제점을 지니고 있고 연구해 볼 필요가 있다고 생각되었다. 사례조사를 하면서 내부적인 공연의 질을 관련하여 여러 문제도 있지만 뿐만 아니라 외부적인 지원이나 환경 인식 차원에서도 많은 장벽이 있었다. 그러한 장벽들을 해소하기 위해서 어떻게 풀어 나아가야 할지 조원들과 함께 풀어나가면서 단순 과제제출을 위함이 아닌 이 프로젝트로 인해 실제 사례의 현황을 직접적으로 자세히 알 수 있어서 많은걸 얻어간 것 같다. 지금까지 접한 마케팅이 아닌 문화 쪽에 마케팅을 연관하여 살펴볼 수 있어서 매우 흥미롭고 유익한 과제였다.
7) (의류학과, 0611378)
조사를 하기 전까지는 나도 동춘 서커스단에 대해 일반적인 시각을 갖고 있었다. 촌스럽고 진부하며 흥미를 끌만한 요소가 없는 옛것으로만 취급하였다. 하지만 이번 과제를 통해서 동춘 서커스단에 대한 새로운 시각을 갖게 되었고 그 필요성을 느끼었다. 동춘 서커스단을 단지 사적인 공연단체로 보고 그들이 스스로 발전하길 바라는 것이 아니라 정부에서도 지원을 해주고 우리 국민들도 그들을 위해 새로운 시각을 가질 필요가 있음을 느끼었다. 박세환 단장의 사적인 자금으로 30명 가운데 5명밖에 되지 않는 한국인 단원들과 함께 동춘 서커스를 이끌어 간다는 것은 역부족인 것 같다. 동춘 서커스단의 개혁을 위해 대학생들과 함께 한다면 더 큰 시너지가 발생 할 수 있을 것이라는 생각이 든다. 대학생들의 톡톡 튀는 창의성을 받아들임으로 해서 동춘 서커스단의 이미지가 젊어지고 시대에 발맞추어 나아갈 수 있으며, 기업들과 제휴를 하는 것보다 비용적인 면에서도 이익이 될 것이다. 동춘 서커스단 내에서도 빠르게 변하는 시대에 맞추어 새로운 것은 받아들이며 그들의 중심을 지켜나간다면 재정적 지원을 요구하기 전에 재정적 지원이 먼저 들어올 수 있을 것이다. 문화의 시대를 맞이한 만큼 예전에 걸출한 스타들을 배출해낸 우리의 전통 서커스를 발전시킨다면 한국의 비보이 댄스가 세계를 제패하고 있듯이 서커스도 그렇게 할 수 있을 것이라는 생각이 든다.
Ⅳ. 참고문헌
1. 신문자료
* 동춘 서커스단 사라지면 공연예술 한 장르가 끊겨요[경향신문] 2008-12-04
* Weekend 라운지 - 동춘서커스,2009 희망과 절망의 기로에
[국민일보] 2009-01-09
* 뉴스 다큐 시선 - 서커스를 통해 본 세상 [서울신문] 2009-01-20
* 동춘 서커스, '봄날'을 기다리며 [IMBC] 2009-03-03
2. 전문자료
* 이유리, “문화마케팅”, 2009
* 송의원, “공연예술경영 무엇을 어떻게 할까”, 민속원, 2006
* 김만석, “공연예술경영”, 북코리아, 2008
* 김주호용호성, “예술경영”, 김영사, 2002
* 최민지, “태양의 서커스 공연에 나타난 창작요소의 혁신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 짐 콜린스, “경영의 창조자들”, 토네이도, 2007
* 하계훈 외, “문화예술경영 - 이론과 실제”, 생각의 나무, 2002
* 최현식이수진, “비보이 공연의 문화관광 상품화 방안에 관한 연구”, 국제관광학회, 2007
* 송혁규, “전통예술공연의 마케팅 방안 연구: 전통음악공연을 중심으로”, 단국대학교 산업경영대학원, 2003
3. 인터넷 사이트
* http://www.circus.co.kr
* http://blog.naver.com/caughtup
* http://www.cirquedusoleil.com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