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4.실험방법
5.결과
6.결과 및 토의
5.결과
6.결과 및 토의
본문내용
1 (cm)
실험2 (cm)
실험3 (cm)
실험4 (cm)
실험5 (cm)
실험 평균 (cm)
이론값(cm)
오차 (cm)
오차율(%)
25도
35도
131.8
132.3
132.4
132.4
132.5
132.2
134.6
2.32
1.723
45도
137.0
137.2
137.4
137.7
137.3
137.7
143.2
2.52
3.84
55도
126.2
127.2
127.6
128.0
127.9
127.4
134.6
7.22
5.36
65도
100.8
101.2
101.3
101.7
101.9
101.4
109.7
8.35
7.61
그래프는 뒷장를 참조함.
⑷다른 높이 일 경우
t=구하기⇒를 사용하여 t를 구한다.
로 도달거리를 구한다.(R:도달거리)⇒이론값
실험1 (cm)
실험2 (cm)
실험3 (cm)
실험4 (cm)
실험5 (cm)
실험 평균 (cm)
이론값(cm)
오차 (cm)
오차율(%)
25도
142.4
142.7
142.7
142.7
142.8
142.7
147.9
5.20
3.52
35도
160.0
158.7
159.7
160.1
160.2
159.7
163.1
3.40
2.08
37도
160.3
159.8
160.1
164.4
4.30
2.62
39도
161.7
162.2
162.0
165.2
3.20
1.94
41도
160.7
160.9
160.8
165.5
4.70
2.84
43도
159.4
159.2
159.3
165.2
5.90
3.57
45도
157.1
157.8
158.4
158.9
159.6
158.4
164.2
5.80
3.53
55도
137.0
137.2
138.0
138.1
137.7
137.6
149.7
12.10
8.08
65도
112.9
113.8
113.8
113.9
115.2
113.9
120.0
6.10
5.08
그래프는 뒷장을 참조함.
그래프
①같은 높이 일 경우
②다른 높이 일 경우
그래프를 보면 일정한 구간내에서 선형적인 모습을 볼 수 있다.
같은 높이 일때 sin45에서 가장 먼 측정값이 나왔고, 다른 높이 일 때는 sin39에서 가장 먼 거리가 구해진다.
6.결과 및 토의
남준석:이번 실험은 발사장치에서 물체를 쏘아서 나아간 거리를 측정하는 실험이었는데 목적은 발사하는 각도에 따라서 나아간 거리를 실험값으로 측정하고 초기속도를 구해서 이론값으로 구한뒤 그 오차를 비교해 보는 실험이었다.
오차를 최대한 줄이려고 모눈종이를 써서 나아간 거리를 측정하였다.
발사된 시간은 물체가 떨어질 때 까지의 시간으로 측정해서 구했고 이 시간동안 x방향의 초기속도를 구해서 그 값을 곱해서 나아간 거리를 이론값으로 계산하였다.
공기의 저항과 최소단위의 계산값에서 오차가 발생했다.하지만 각도에 따라서 나아간 거리가 달랐다는 중요한 사실을 알았으며 같은 높이에서는 45도, 다른 높이에서는 39도로 발사했을 때 제일 많이 나간다는 사실은 이론값과 실험값 모두다 동일한 사실이었다.
어느 정도의 오차는 있었지만 이론적으로 배웠던 사실은 초기속도를 구해서 실험해봄으로써 포사체 운동에 대한 개념을 한번 더 정리하는 좋은 계기가 되었다.
김현우:이번 실험은 공의 발사에 따라서 각도를 조절 하는데 대부분의 실험오차들은 이 각도의 오차에서 생기는 것인 것 같다. 공이 운동을 하면서 공기 중이기 때문에 공기의 저항을 받게 되고 공기저항으로 인해서 실제 이론값보다 실험측정으로 얻은 값이 작음을 알 수있다.가장 멀리 나가는 각도는 같은높이에서 45도이고 다른 높이에서 39도 였다. 또 오차의 이유는 실험 장치의 노후화로 쇠공을 발사 할때 진동으로 인해서 각이 틀어짐이 오차의 원인 인것 같다.
실험2 (cm)
실험3 (cm)
실험4 (cm)
실험5 (cm)
실험 평균 (cm)
이론값(cm)
오차 (cm)
오차율(%)
25도
35도
131.8
132.3
132.4
132.4
132.5
132.2
134.6
2.32
1.723
45도
137.0
137.2
137.4
137.7
137.3
137.7
143.2
2.52
3.84
55도
126.2
127.2
127.6
128.0
127.9
127.4
134.6
7.22
5.36
65도
100.8
101.2
101.3
101.7
101.9
101.4
109.7
8.35
7.61
그래프는 뒷장를 참조함.
⑷다른 높이 일 경우
t=구하기⇒를 사용하여 t를 구한다.
로 도달거리를 구한다.(R:도달거리)⇒이론값
실험1 (cm)
실험2 (cm)
실험3 (cm)
실험4 (cm)
실험5 (cm)
실험 평균 (cm)
이론값(cm)
오차 (cm)
오차율(%)
25도
142.4
142.7
142.7
142.7
142.8
142.7
147.9
5.20
3.52
35도
160.0
158.7
159.7
160.1
160.2
159.7
163.1
3.40
2.08
37도
160.3
159.8
160.1
164.4
4.30
2.62
39도
161.7
162.2
162.0
165.2
3.20
1.94
41도
160.7
160.9
160.8
165.5
4.70
2.84
43도
159.4
159.2
159.3
165.2
5.90
3.57
45도
157.1
157.8
158.4
158.9
159.6
158.4
164.2
5.80
3.53
55도
137.0
137.2
138.0
138.1
137.7
137.6
149.7
12.10
8.08
65도
112.9
113.8
113.8
113.9
115.2
113.9
120.0
6.10
5.08
그래프는 뒷장을 참조함.
그래프
①같은 높이 일 경우
②다른 높이 일 경우
그래프를 보면 일정한 구간내에서 선형적인 모습을 볼 수 있다.
같은 높이 일때 sin45에서 가장 먼 측정값이 나왔고, 다른 높이 일 때는 sin39에서 가장 먼 거리가 구해진다.
6.결과 및 토의
남준석:이번 실험은 발사장치에서 물체를 쏘아서 나아간 거리를 측정하는 실험이었는데 목적은 발사하는 각도에 따라서 나아간 거리를 실험값으로 측정하고 초기속도를 구해서 이론값으로 구한뒤 그 오차를 비교해 보는 실험이었다.
오차를 최대한 줄이려고 모눈종이를 써서 나아간 거리를 측정하였다.
발사된 시간은 물체가 떨어질 때 까지의 시간으로 측정해서 구했고 이 시간동안 x방향의 초기속도를 구해서 그 값을 곱해서 나아간 거리를 이론값으로 계산하였다.
공기의 저항과 최소단위의 계산값에서 오차가 발생했다.하지만 각도에 따라서 나아간 거리가 달랐다는 중요한 사실을 알았으며 같은 높이에서는 45도, 다른 높이에서는 39도로 발사했을 때 제일 많이 나간다는 사실은 이론값과 실험값 모두다 동일한 사실이었다.
어느 정도의 오차는 있었지만 이론적으로 배웠던 사실은 초기속도를 구해서 실험해봄으로써 포사체 운동에 대한 개념을 한번 더 정리하는 좋은 계기가 되었다.
김현우:이번 실험은 공의 발사에 따라서 각도를 조절 하는데 대부분의 실험오차들은 이 각도의 오차에서 생기는 것인 것 같다. 공이 운동을 하면서 공기 중이기 때문에 공기의 저항을 받게 되고 공기저항으로 인해서 실제 이론값보다 실험측정으로 얻은 값이 작음을 알 수있다.가장 멀리 나가는 각도는 같은높이에서 45도이고 다른 높이에서 39도 였다. 또 오차의 이유는 실험 장치의 노후화로 쇠공을 발사 할때 진동으로 인해서 각이 틀어짐이 오차의 원인 인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