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I. 신뢰도
II. 타당도
II. 타당도
본문내용
구의 타당도를 검증하는 방법이다. 여기서 준거는 다른 검사점수나 미래의 행위를 말하며, 준거타당도 에는 공인타당도와 예측타당도가 있다.
가. 공인타당도
(1) 정의
검사점수와 기존에 타당성을 입증 받고 있는 검사로부터 얻은 점수와의 관계에 검증되는 타당도이다. 즉 새로운 검사를 제작하였을 때 기존에 타당성을 보장받고 있는 검사와의 유사성 혹은 연관성에 의하여 타당성을 검증하는 방법이다.
공인타당도는 새로 제작된 검사의 점수와 타당성을 검증 받은 기존 검사점수 간의 상관계수에 의하여 추정된다.
(2) 장단점
장점: 계량화되어 타당도에 대한 객관적인 정보를 제공 할 수 있으며 타당도의 정도를 나타낼 수 있다.
단점: 타당성을 입증 받은 기존의 검사가 없을 경우 공인타당도를 추정할 수 없으며, 타당성을 입증 받은 기존의 검사가 있다 하더라도 그 검사와의 관계에 의하여 공인타당도가 검증되므로 타당성을 입증 받은 검사에 의존해야 한다는 점이다.
나. 예측타당도
(1) 정의
제작된 검사에서 얻은 점수와 미래의 어떤 행위와의 관계로 추정되는 타당도이다. 즉, 예측타당도는 검사점수가 미래의 행위를 얼마나 잘 예측하느냐 하는 문제이다. 예를 들면, 비행사가 적성검사를 실시하였을 때 그 적성검사에서 높은 점수를 받은 비행사가 안전운행거리가 길다면 그 검사는 예측타당도가 높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유아의 어휘발달 검사를 제작하여, 그 검사에서 높은 점수를 얻은 유아가 초등학교에 입학하여 어휘능력이 우수하였다면 유아의 어휘발달 검사의 예측타당도가 높다고 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예측타당도는 적성검사에서 중요시되는 경향이 있으며, 임상심리에서 사용되는 심리검사에도 자주 이용된다. 따라서 예측타당도는 예언타당도라고도 한다.
(2) 장단점
장점: 검사도구가 미래의 행위를 예측해주기 때문에 예측타당도가 높으면 선발, 채용, 배치 등의 목적을 위하여 검사를 사용할 수 있다.
단점: 동시 측정이 불가능하므로 검사의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해서는 시간적 여유가 필요하다는 점을 들 수 있다. 일정한 시간 뒤에 측정한 행위와 검사점수 간의 상관계수에 의하여 타당도를 검증하기 때문에 연구를 위하여 제작한 검사도구의 예측타당도를 검증하기가 때로는 불가능하다. 일반적으로 학위논문을 위한 연구에서 새로 제작한 검사도구의 예측타당도를 검증하는 경우는 극히 드물다. 다만 지속적인 연구를 실시한다면 검사도구의 예측타당도를 검증할 수 있다.
가. 공인타당도
(1) 정의
검사점수와 기존에 타당성을 입증 받고 있는 검사로부터 얻은 점수와의 관계에 검증되는 타당도이다. 즉 새로운 검사를 제작하였을 때 기존에 타당성을 보장받고 있는 검사와의 유사성 혹은 연관성에 의하여 타당성을 검증하는 방법이다.
공인타당도는 새로 제작된 검사의 점수와 타당성을 검증 받은 기존 검사점수 간의 상관계수에 의하여 추정된다.
(2) 장단점
장점: 계량화되어 타당도에 대한 객관적인 정보를 제공 할 수 있으며 타당도의 정도를 나타낼 수 있다.
단점: 타당성을 입증 받은 기존의 검사가 없을 경우 공인타당도를 추정할 수 없으며, 타당성을 입증 받은 기존의 검사가 있다 하더라도 그 검사와의 관계에 의하여 공인타당도가 검증되므로 타당성을 입증 받은 검사에 의존해야 한다는 점이다.
나. 예측타당도
(1) 정의
제작된 검사에서 얻은 점수와 미래의 어떤 행위와의 관계로 추정되는 타당도이다. 즉, 예측타당도는 검사점수가 미래의 행위를 얼마나 잘 예측하느냐 하는 문제이다. 예를 들면, 비행사가 적성검사를 실시하였을 때 그 적성검사에서 높은 점수를 받은 비행사가 안전운행거리가 길다면 그 검사는 예측타당도가 높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유아의 어휘발달 검사를 제작하여, 그 검사에서 높은 점수를 얻은 유아가 초등학교에 입학하여 어휘능력이 우수하였다면 유아의 어휘발달 검사의 예측타당도가 높다고 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예측타당도는 적성검사에서 중요시되는 경향이 있으며, 임상심리에서 사용되는 심리검사에도 자주 이용된다. 따라서 예측타당도는 예언타당도라고도 한다.
(2) 장단점
장점: 검사도구가 미래의 행위를 예측해주기 때문에 예측타당도가 높으면 선발, 채용, 배치 등의 목적을 위하여 검사를 사용할 수 있다.
단점: 동시 측정이 불가능하므로 검사의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해서는 시간적 여유가 필요하다는 점을 들 수 있다. 일정한 시간 뒤에 측정한 행위와 검사점수 간의 상관계수에 의하여 타당도를 검증하기 때문에 연구를 위하여 제작한 검사도구의 예측타당도를 검증하기가 때로는 불가능하다. 일반적으로 학위논문을 위한 연구에서 새로 제작한 검사도구의 예측타당도를 검증하는 경우는 극히 드물다. 다만 지속적인 연구를 실시한다면 검사도구의 예측타당도를 검증할 수 있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