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균의 생각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허균의 생각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론

2. 본론
2.1. 허균의 시대상
1) 사회의 혼란과 민생고
2) 서얼 금고
2.2. 허균의 사상
1) 정치적 사상 유재론과 호민론
2)홍길동전에서 나타난 민중 작가의식

3.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것이다. 자원의 부족한 농경 사회에서 일반 민중의 생활이 나아진 것은 아니었다. 실제로 「세종 실록」을 보아도 그때의 사회 또는 일반 백성들의 생활이 안정되거나 자족하지 못하였음이 드러나고 관리의 수탈에 늘 제재를 가하는 기록도 있다. 그리하여 허균은 태평성대라는 세종 때를 그 시대 배경으로 잡아 본 것일 수도 있다. 그리고 그런 속에서 변칙적인 또는 혁명적인 방법으로 빈민을 구제하고 대다수의 지배층이 빈민에게 관심을 갖도록 유도한 것일 수도 있다.
셋째로, 탐관오리와 토호의 응징이다. 여기에서 탐관오리는 중앙의 벼슬아치보다는 지방의 수령들을 일컫는 말이다. 실제로 탐관오리는 어느 시대에나 지배층과 피지배층의 갈등의 요소로 등장하였다. 조선조 초기에는 중앙의 권력층보다 지방의 수령들이 탐관오리가 되는 경우가 더 많았다.
위의 내용은 소설이 그때의 농님 저항의 표현으로서 필연성을 가진 것임을 밝힘으로써 혁명 소설의 의미를 죽고 있는데, 그런점에서 이제까지의 소론 중에서 탁견이라 해야 할 것이다. 적어도 율도국이라는 이상국가를 건설하는 작자의 의도를 살펴보면 허균이 <홍길동전>에서 직접 보여주고자 한 의미는 서얼차별이라든가 이상국가건설 등, 어떤 일정한 사건의 해결이나 그 해결이나 그 해결 과정이 아니라, 인물과 상황과의 관계 즉, 피지배층과 지배층 사이의 영원한 평행 대립 그자체이다. 그는 자기의 혁명도 끝내는 실패할 것이라고 예견했을 것이다. 「허균평전」(평민사, 1984), 288~299면.
이것은 장소의 설정을 달리 했을 뿐이지 충분히 혁명 소설임을 알 수있다. 율도국은 관권의 압제도 없고 부패와 부정, 빈곤과 신분 차별이 없는 사회요, 중국이나 조선의 지배권 밖에 있는 사회이다.
서얼차별의 철폐, 빈민의 구휼, 탐관오리의 응징이 개혁 또는 혁명으로 한줄기로 이어진다. 따라서 이와 같은 내용을 지닌 <홍길동전>은 정치관과 학문관에서 보여준 그의 사상을 민중과 더욱더 가깝게 하여 그들의 공감을 불러일으키는 방법으로서 이루어진 것이라고 볼 수가 있다.「허균의 생각」, (뿌리 깊은 나무, 1980), 163~172면.
3. 결론
허균은 자신만의 삶을 살겠다고 하였고 또 그렇게 살았다고 생각한다. 권력에 무릎 꿇고 비굴하게 살 바에는 관직을 박탈당하더라도 천부적인 자질로 인해 다시 등용할 수 있었다. 시대의 불운의 인물은 맞겠지만 시기하는 권력들 조차도 인정할 수밖에 없었던 자였다. 또한 괴팍하고 유교적 윤리를 벗어난 행위를 하더라도 백성이 그를 알아준 것은 올바른 삶을 살아가려는 마음의 길이 보았기 때문 일 것이다. 그 길은 백성을 먼저 생각 해야만 얻을 수있을 것이다.
참고문헌
저서
1. 김일렬, 「고전소설신론」, 새문사, 2008
2. 유몽인,『어우야담』, 신익철, 이형대, 조융희, 노영미 옮김, 돌베개, 2006
3. 이이화, 「허균의 생각」, 뿌리 깊은 나무, 1980
4. 허경진,「허균평전」, 평민사, 1984
5. 허균, 「홍길동전」, 장정룡 해설, 동녘 출판사, 1999
6. 허경진,「허균평전」, 평민사, 1984
  • 가격1,5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0.01.13
  • 저작시기2009.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7396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