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MPI의 해석전략 _ mmpi 해석하기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객관적 성격검사 - MMPI
1. 객관적 성격검사의 발달
2. 객관적 성격검사의 분류
3. 다면적 인성검사 MMPI
1) MMPI란
2) MMPI의 목적
3) MMPI 검사의 특징
4. MMPI의 제작
1) MMPI의 제작
2) MMPI-2 제작
3) MMPI 검사시행 및 행동관찰
4) MMPI 해석방식

Ⅱ. MMPI의 해석전략

Ⅲ. MMPI의 타당도의 개념과 척도의 종류
1. 타당도 척도
2. 임상도 척도
3. 1개 척도 분석의 예

Ⅳ. 2개 척도 상승 형태분석

Ⅴ. 3개척도 형태분석

본문내용

Ⅰ. 객관적 성격검사 - MMPI
1. 객관적 성격검사의 발달
최초의 객관적 성격검사는 세계 1차 대전 당시 군지원자들에 대한 대규모의 진단평가를 위해 제작된 Woodworth Personal Data Sheet(1920)로서 임상면담용, 지단용 검사로서 유용하였던 것으로 보여진다.
그 이후에도 검사문항이 검사제작자의 이성적 근거에 따라 구성된 검사들이 등장하였는데, 이러한 검사들이 측정하고자 하는 특성이나 속성을 실제로 측정한다는 경험적인 지지가 거의 없었기 때문에 다른 검사제작방법이 도입되었다. 이러한 검사제작방법은 경험적 준거방식 the empirical criterion keying approach이었다.
경험적 검사제작방식으로 제작된 가장 대표적인 검사가 바로 Hathaway와 Mckinley에 의해 완성된 다면적 인성검사 (The Minnesota Multiphasic Personality Inventory : MMPI 1943)이다. 경험적 방식은 집단을 구별해주는 경험적 근거를 바탕으로 문항을 구성하게 된다. 즉, 문항선택의 기준이 경험적 근거에 따라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러한 경험적 방식의 검사는 경험적 근거에 따라 검사가 제작되었다는 장점 외에도 개인이 기준집단에 속하는지를 평가해주는 실용성으로 인해 실제 장면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2. 객관적 성격검사의 분류
객관적 성격검사가 제작된 이론적 배경에 따라 성격검사를 구별해 보면, 특성론적 입장의 성격검사와 유형론적 성격검사의 두 가지 범주로 나뉘게 된다.
유형론은 사람들을 구별하는 불연속적 범주들의 한 집합이라고 간주된다. 예를 들면, 성격이 세 가지 유형인 내향성, 외향성, 양향성으로 구별되는데, 이 세 유형들은 불연속적인 성질을 띄고 있어서 한 개인은 특정한 한 성격유형으로만 분류되는 것이다. 이와 반대로 특성론에 따르면 성격은 연속적인 차원에 따라 기술된다. 예를 들면 한 개인이 공격성의 특성을 어느 정도로 소유하고 있는지가 관심의 초점이 된다.
3. 다면적 인성검사 MMPI
1) MMPI란
MMPI
(The Minnesota Multiphasic Personality Inventory)는 세계적으로 가장 널리 쓰이고 가장 많이 연구되어 있는 객관적 성격검사이다. 오늘날까지 MMPI에 관해서는 45개 나라에서 115종류 이상의 번역판이 출판되어 있고 12,000가지 이상의 연구논문이나 저서가 발표되어 있다.
566문항,383문항의 두 종류의 검사지가 있으며 수기용이나 컴퓨터용으로 채점할 수 있다. 비정상 행동의 종류를 측정하는 10가지 임상척도와 그 사람의 검사태도를 측정하는 4가지 타당도척도에 따라 해석되어진다.
2) MMPI의 목적
원래 MMPI는 1940년대 미국 미네소타 대학의 심리학자인 Stark Hathaway 와 정신과 의사인 Jovian Mckinley에 의하여 비정상적인 행동을 객관적으로 측정하기 위한 수단으로 만들어졌다. MMPI(The Minnesota Muliphasic Personality Inbentory)의 일차적인 목적은 정신과적 진단분류를 위한 측정으로, 일반적 성격특성을 측정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 그러나 병리적 분류의 개념이 정상인의 행동과 비교될 수 있다는 전제하에서 정상인의 행동설명 및 일반적 성격특성에 관한 유추도 어느 정도 가능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개인의 인성특징의 비정상성 혹은 징후를 평가하여 상담 및 정신치료에 기여하기 위함은 물론, 비정상적이고 불건전한 방향으로 진전될 가능성을 미리 찾아내어 예방 및 지도책을 도모하기 위한 검사이다.
3) MMPI 검사의 특징
1. MMPI는 질문지형 성격검사인데도 상당히 투사법적 함축(projective implication)을 띤550개의 문항을 포함하고 있다. 그 중 16문항이 중복되어 총 566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추천자료

  • 가격3,000
  • 페이지수33페이지
  • 등록일2010.01.18
  • 저작시기2005.12
  • 파일형식워드(doc)
  • 자료번호#57560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