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강물, 광물 등 자연에 의해 제공되는 생산요소.
회복가능자원(renewable resources)과 회복 불가능자원(un-renewable resources)
④ 기술지식(Technological knowledge): 재화와 서비스를 생산하는 최선의 방법에 대한 이해.
⑤ 모두 옳은 설명이다.
정답) ⑤
생산성 결정요소에는 물적자본, 인적자본, 자연자원, 기술지식이 있는데 위의 설명은 모두 옳은 설명이다.
17. 다음 도표는 한 과자공장의 생산함수이다. 도표에 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도표의 가로축은 고용된 인부의 숫자를 말한다.
도표의 세로축은 공장의 생산량을 말한다.
생산함수는 노동자수와 생산량 간의 관계를 나타낸다.
투입노동자수가 증가할수록 생산함수는 기울어진다.
한계생산물체감현상을 반영한다.
정답) ④
투입노동자수가 증가할수록 생산함수는 평평해진다.
18. 실업에 관한 내용 중 옳지 않은 것은?
① 경제활동인구 : 실업자와 취업자의 합.
② 경제활동참가율 : 성인인구 중에서 경제활동인구가 차지하는 비율.
③ 비경제활동인구 : 만 15세가 넘은 인구 중 취업자도 실업자도 아닌 사람으로서, 일할 수 있는 능력은 있으나 일할 의사가 없거나, 전혀 일할 능력이 없어 노동공급에 기여 하지 못하는 사람.
④ 실망실업자 : 직장을 찾다가 구직활동을 포기한 사람.
⑤ 한계근로자 : 구직활동을 한 적은 없지만 취업을 원하고 일할 준비가 되어있는 근로 자.
정답) ⑤
한계근로자는 현재는 취업상태가 아니지만 과거에 구직활동경험이 있어서 취업을 원하는 사람을 지칭한다.
19. 단기 총 공급 곡선(SRAS)의 이동 방향이 옳은 것은?
① 노동부문의 변동: 해외로부터의 이민 증가 또는 자연실업률 감소 ->SRAS 우측 이동
② 자본부문의 변동: 자본(물적, 인적) 스톡 증가 -> SRAS 좌측 이동
③ 자연자원 변동: 자연자원의 공급증대(토지, 광물, 원유 등) ->SRAS 좌측 이동
④ 기술지식의 변동: 기술지식의 진보 또는 이와 같은 효과를 가지는 제도의 변화 ->SRAS 좌측 이동
⑤ 예상물가수준의 변동: 예상 물가수준 상승 임금인상합의생산비증가 ->SRAS우측 이동
정답) ①
다른 자본, 자연자원, 기술지식이 바뀌면 SRAS는 우측으로 이동하고 예상물가수준은 좌측으로 이동한다.
20. 화폐시장의 균형 중 잘못 된 내용은?
① 유동성선호이론에 따르면 화폐의 수요와 공급이 일치하도록 이자율이 변동한다.
② 화폐의 수요량과 공급량이 정확하게 일치하는 이자율은 균형이자율과 유효이자율이 있 다.
③ 이자율이 균형수준보다 높으면 보유하려는 화폐의 량이 중앙은행이 공급하는 통화량
보다 적다. 화폐의 초과공급으로 인해 이자율이 하락한다.
④ 이자율이 균형수준보다 낮으면 보유하려는 화폐량이 중앙은행이 공급하는 통화량보다 많다. 화폐의 초과수요로 인해 이자율이 상승한다.
⑤ 이와 같이 화폐시장에서 수요와 공급의 힘은 이자율을 균형이자율 수준으로 접근하게 한다.
정답) ②
화폐의 수요량과 공급량이 정확하게 일치하는 이자율은 균형이자율과 밖에 없다.
회복가능자원(renewable resources)과 회복 불가능자원(un-renewable resources)
④ 기술지식(Technological knowledge): 재화와 서비스를 생산하는 최선의 방법에 대한 이해.
⑤ 모두 옳은 설명이다.
정답) ⑤
생산성 결정요소에는 물적자본, 인적자본, 자연자원, 기술지식이 있는데 위의 설명은 모두 옳은 설명이다.
17. 다음 도표는 한 과자공장의 생산함수이다. 도표에 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도표의 가로축은 고용된 인부의 숫자를 말한다.
도표의 세로축은 공장의 생산량을 말한다.
생산함수는 노동자수와 생산량 간의 관계를 나타낸다.
투입노동자수가 증가할수록 생산함수는 기울어진다.
한계생산물체감현상을 반영한다.
정답) ④
투입노동자수가 증가할수록 생산함수는 평평해진다.
18. 실업에 관한 내용 중 옳지 않은 것은?
① 경제활동인구 : 실업자와 취업자의 합.
② 경제활동참가율 : 성인인구 중에서 경제활동인구가 차지하는 비율.
③ 비경제활동인구 : 만 15세가 넘은 인구 중 취업자도 실업자도 아닌 사람으로서, 일할 수 있는 능력은 있으나 일할 의사가 없거나, 전혀 일할 능력이 없어 노동공급에 기여 하지 못하는 사람.
④ 실망실업자 : 직장을 찾다가 구직활동을 포기한 사람.
⑤ 한계근로자 : 구직활동을 한 적은 없지만 취업을 원하고 일할 준비가 되어있는 근로 자.
정답) ⑤
한계근로자는 현재는 취업상태가 아니지만 과거에 구직활동경험이 있어서 취업을 원하는 사람을 지칭한다.
19. 단기 총 공급 곡선(SRAS)의 이동 방향이 옳은 것은?
① 노동부문의 변동: 해외로부터의 이민 증가 또는 자연실업률 감소 ->SRAS 우측 이동
② 자본부문의 변동: 자본(물적, 인적) 스톡 증가 -> SRAS 좌측 이동
③ 자연자원 변동: 자연자원의 공급증대(토지, 광물, 원유 등) ->SRAS 좌측 이동
④ 기술지식의 변동: 기술지식의 진보 또는 이와 같은 효과를 가지는 제도의 변화 ->SRAS 좌측 이동
⑤ 예상물가수준의 변동: 예상 물가수준 상승 임금인상합의생산비증가 ->SRAS우측 이동
정답) ①
다른 자본, 자연자원, 기술지식이 바뀌면 SRAS는 우측으로 이동하고 예상물가수준은 좌측으로 이동한다.
20. 화폐시장의 균형 중 잘못 된 내용은?
① 유동성선호이론에 따르면 화폐의 수요와 공급이 일치하도록 이자율이 변동한다.
② 화폐의 수요량과 공급량이 정확하게 일치하는 이자율은 균형이자율과 유효이자율이 있 다.
③ 이자율이 균형수준보다 높으면 보유하려는 화폐의 량이 중앙은행이 공급하는 통화량
보다 적다. 화폐의 초과공급으로 인해 이자율이 하락한다.
④ 이자율이 균형수준보다 낮으면 보유하려는 화폐량이 중앙은행이 공급하는 통화량보다 많다. 화폐의 초과수요로 인해 이자율이 상승한다.
⑤ 이와 같이 화폐시장에서 수요와 공급의 힘은 이자율을 균형이자율 수준으로 접근하게 한다.
정답) ②
화폐의 수요량과 공급량이 정확하게 일치하는 이자율은 균형이자율과 밖에 없다.
추천자료
노무현정권에 신자유주의 세계화정책에 관하여
지적재산권 제도의 이해와 기업의 전략
미국반도체산업의 발달과 산업전략의 변천
WTO체제와 중소기업 기술개발 지원정책
노사관계에 새로운 방향모색(삼미특수강 사례중심으로)
자본주의경제
21세기 고객만족경영에 대하여
시장실패와 정부실패의 개념과 기능
[저축률]저축률(저축성향) 산출방식과 저축률(저축성향) 결정요인, 저축률(저축성향)과 저축...
농업경제 - 우리나라 농업의 특성
한국 청년 실업의 끝은 어디인가?
글로벌 금융위기와 시장경제에 대한 정부의 개입에 관한 고찰
2013년 한국경제상황
2014 세계 및 한국 경제에 대하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