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네트워킹의 개요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홈 네트워킹의 개요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홈 게이트웨이 개요

2.홈 게이트웨이 장치 및 구조

3.홈 네트워크 미디어 및 미들웨어

4.홈 네트워크 셋톱박스

본문내용

웨이 VoIP 서비스 지원
⑶홈 게이트웨이 시스템의 활용 분야
①ADSL/VDSL, 패스트 이더넷을 이용할 수 있는 가정 및 SOHO용 게이트웨이 시스템
②홈PNA, WALN, 4포트 스위칭 허브, 블루투스, IEEE1394, VoIP 등 각기 다른 인터페이스를 가지는 조합형 게이트웨이 시스템
③VoIP 서비스를 지원하는 홈 게이트웨이
2.3 홈 게이트웨이 기술사양
구분
사양
비고
WAN 인터페이스
이더넷
10/100M
외장형
LAN 인터페이스
이더넷
10/100M
포트 3개, 복수 PC 접속용
USB
버전1.1
포트2개, 카메라 접속용
WLAN
PCMCIA
802.11b
직렬포트
RS 232C
포트1개
VoIP
H323
포트1개
방문자 확인
-
슬롯1개
하드웨어
CPU
266MHz 이상
-
MPEG 디코더
MPEG2/4 이상
-
플래시 메모리
32MB 이상
-
D램
32MB 이상
-
DVD 플레이어
-
선택사양
소프트웨어
운용체제
-
윈도 CE 적용
윈도 미디어 플레이어(WMP)
버전 8.0 이상
-
녹화 방지
마크로버전 7.0 이상
-
미들웨어
-
윈도 CE 적용
[표2.1]KT 홈 게이트웨이 기술사양
3. 홈 네트워크 및 미디어 및 미들웨어
*홈 네트워크 미디어
①홈PNA - 현재의 기술로 구현이 가장 용이
- 기존의 전화선을 사용→ 홈 네트워킹을 위한 새로운 배선이 필요 없다.
- 현재 1Mbps 혹은 10Mbps의 속도 지원
-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전송하기에는 문제점이 있다.
②홈 플러그(Home Plug), CEBus(Consumer Electronics Bus)
- 전력선을 이용한 케이블
- 통신을 위한 케이블이 아니기 때문에 잡음이나 충격에 의해 데이터 에러가 많이 발생하고 주변 환경에 민감하다.
③홈RF, 블루투스
- 무선 데이터 통신 기법→ 홈 네트워킹 구축에 반드시 필요
- 홈 네트워킹 전체를 무선으로 만드는 것에 대한 효용성은 아직 미지수이다.
- 우선 속도나 신호의 세기 조절 등에서 문제점 내포
④이더넷 - 현재 가장 널리 사용되는 LAN용 프로토콜
- 기존의 집에서는 새로운 배선이 필요
- 사무실의 환경과 다른 홈에서 멀티미디어 정보에 대한 수용에는 문제가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⑤IEEE1394
- AV 데이터를 위한 케이블→ 멀티미디어 데이터 전송 가능
- 플러그 앤드 플레이(Plug and Play)를 지원
- IP 프로토콜과 특성이 다르다.
- 케이블의 길이와 노드 수가 제한→ 홈 네트워킹 전체의 미디어로는 적당하지 않다.
3.1 홈 네트워크 제어 및 스트리밍 미들웨어의 표준화 동향
⑴미들웨어의 종류
①UPnP(Universal Plug and Play) : 마이크로소프트
②HAVi(Home Audio and Interoperability) : 소니, 일본 및 유럽의 8개 가전회사에서 제안
③Jini : 선마이크로시스템
④VESA(Video Electronics Standards Association) : 삼성전자
⑤HWW(Home Wide Web) : 삼성전자(홈 네트워킹 표준 및 EIA/CEA 775.1표준으로 채택)
⑥OSGi(Open Services Gateway Initiative)
3.2 홈 네트워크 제어 및 스트리밍 미들웨어의 종류
⑴ UPnP
①홈이나 작은 사무실과 같이 관리자가 없는 네트워크에서 사용자에게 어떠한 작업도 요구하지 않고 기기를 네트워크에 접속 시킨다.
②UPnP 프로토콜을 통해 기기가 네트워크에 연결돼 작동하는 순서.
→우선 IP를 할당받기 위해서 DHCP 서버에 IP요구(네트워크 상에 DHCP 서버가 있다면 이로부터 IP 주소를 할당 받고, DHCP 서버가 없다면 UPnP 네트워크 스스로 자체적인 IP 주소를 생성해 사용한다.)
→디스커버리 디바이스가 IP 주소를 할당받고 네트워크에 연결되면 우선 에드버타이즈먼트(Advertisement)를 사용해 자신이 연결되었음을 다른 기기들에 알려준다. 또는 컨트롤 포인트가 특정 디바이스를 찾아서 자신의 테이블에 넣을 수도 있다.
→디스크립션 디스커버리를 통해서 찾아진 디바이스는 컨트롤 포인트에 자신의 특징이나 기능을 적은 디스크립션을 XML을 이용해 전달한다.
→컨트롤(Control), 이벤팅(Eventing), 프리젠테이션(Presentation)
: 컨트롤과 이벤팅 프리젠테이션은 컨트롤 포인트에서 기기를 사용하는 방법으로 기기에 어떤 명령을 통지하거나(Control), 디바이스의 상태를 체크하는 것(Presentation)을 말한다.
③UPnP는 마이크로소프트가 주도하는 표준화 단체로서 현재 윈도 ME와 윈도 XP 에는 UPnP 1.0이 기본적으로 탑재돼 있으며, 인텔에서 UPnP SDK for Linux 1.0 버전이 나와 있다.
⑵ Jini
①UPnP처럼 네트워크 미디어에 관계없이 JVM만 있으면 작동이 가능하며 플러그 앤드 플레이를 지원한다.
②Jini의 기능
→기기가 네트워크에 연결되면 디스커버리 기능을 사용해 기기가 연결됐음을 확인하고 룩업(Lookup) 서버가 기기의 기능이나 특징을 가져오는 조인 (Join)이 일어난다.
→사용자가 특정 서비스를 사용하고 싶을 때는 룩업 서버에 서비스를 요청
→룩업 서버는 해당 서비스를 지원하는 기기를 사용자에게 알려준다.
→이때부터 사용자는 서비스를 지원하는 기기를 사용.
③UPnP가 마이크로소프트의 주도로 표준화되고 있기 때문에 많은 사람이 윈도환경에 제한될 수 있다는 우려를 가지고 있다.
④JVM은 이미 여러 플랫폼에서 사용되고 있기 때문에 어떤 플랫폼으로
정할 수 없는 홈 네트워킹에는 Jini가 더 알맞은 미들웨어라는 인식도 있다.
⑶ HAVi
①UPnP나 Jnini와는 달리 HAVisms 가전회사에서 시작된 홈 네트워킹용 미들웨어이다.
②AV 기기들을 하나로 묶는 홈 네트워킹 기능을 제안하고 있다.(하부 네트워크 모듈이 IEEE 1394 기반)
③IP 기반이 아니다.
⑷ HWW
①삼성전자에서 제안했으며, HAVi와 비슷하게 IEEE 1394b를 백본으로 하는 홈 네트워킹용 미들웨어이다.
②HAVi와는 달리 IP 데이터를 위해 IP over 1394를 지원하고 있다.
③VESA 홈 네트워크용 미들웨어로 선택
  • 가격2,0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10.01.20
  • 저작시기2009.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7642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