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연구배경
2. 영화의 전체적인 줄거리
3. 주요 등장인물 소개
4. 영화 시청 소감
5. 영화속 메시지
6. 토 의
2. 영화의 전체적인 줄거리
3. 주요 등장인물 소개
4. 영화 시청 소감
5. 영화속 메시지
6. 토 의
본문내용
결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영화가 말하고자 하는 ‘실업’ 도 우울한 느낌의 실업이 아닌, 충분히 극복가능하고 희망적으로 이끌어갈 수 있는 대상이라는 점이었다.
사랑하는 부인의 스키장 여행을 위해 끊임없이 직장을 찾아다니는 제럴드의 모습에서는 여자의 소중한 꿈을 지켜주기 위한 ‘남자의 책임감’ 에 대해서 다시한번 생각해 봤다.
다음으로 생각해 볼 수 있는 점이 자본주의이다. 개인의 자유가 보장되는 곳이지만, 그에 대한 ‘대가’ 가 따른다는 점을 주목하게 되었다.
주인공들의 모습을 보면, 희망도 꿈도 없는 것 같지만 ‘스트립 댄스’ 라는 정복해야 할 목표가 생기면서 그들의 도전은 시작되었고, 이 도전이 희망으로 변해감과 동시에 느껴지는 사내들의 뜨거운 우정도 놓칠 수 없는 부분이다.
스트립 댄스라는 눈살 찌푸려지는 공연일수도 있는데, 그들의 준비해가는 과정 만큼은 꽤나 진지함 그 자체로 보여졌다. 왜냐하면 진정으로 돈이 필요한 것이라면, 강도나 사기 등의 범죄를 통해서 돈을 챙길 수가 있을텐데 글래도 노력을 해서 돈을 벌겠다는 모습에서 오히려 남자들의 ‘순수함’ 이 느껴진다. 마지막 장면, 그들이 가리고 있던 모자마저 벗어던지는 그들의 시도는 내면의 참 자아를 가로막고 있는 위선에 찬 껍데기들을 깨버리는 시도이면서, 관객들로 하여금 ‘너의 본 모습을 찾아라!’ 라는 메시지를 전달한다고 볼 수 있다.
물론, 영화에 대한 쓴 소리도 있다. 굳이 벗는 일이 아니어도 할 일이 많기 때문에 당대의 실업자를 대변하지 못했다는 점. 남자가 벗기 때문에 아이디어는 참신하지만, 선정적이라는 점 등이 그것이다.
무엇보다 실업의 책임을 개인에게 돌리려는 모습이 가장 돋보이는 점이다. 정부의 무능함, 또는 시스템적인 직업환경 구조에서 문제를 찾는 것이 아니라, 일에 대해 진지함이 부족한 개인에게서 찾는 것이다. 실업이 개인문제라는 점은 결국 노력 끝에 직장을 구한 제럴드의 모습 때문에 더욱 대비된다.
그런데 한편으로 실업에 대한 책임을 국가적인 것으로 다뤘다면, 오히려 ‘뻔한’ 영화, 대안없는 비판만을 하는 답답한 영화가 되지 않았을까 생각한다.
5. 영화 속 메시지
자본주의의 공허함
-일자리는 없고, 정부가
해결책을 제시해줄 수
없는 사면초가의 상황
여성시대의 등극
-여자가 서서 소변을
본다면 이는 곧 남자가
사라진다는 것을 의미
경제논리의 현실
-돈이 없으면 죽음마저도
선택할 수 없는 현실을
묘사
진정한 자유란?
-손에서 고리를 빼지 못하는 모습이 오히려 자유를 누릴
자격이 없을때는 그 어떤 구속보다 강한 구속이 된다는
것을 묘사
소비 지향주의
-남편의 큰 수입이 없음에도
부인의 소비에 대한 욕구를 자제할 수 없음을 묘사
자본주의 논리
-돈없이는 체면도 차릴 수
없는 곳이 자본주의 국가
이며, 모든 것이 돈으로
대변됨을 묘사
노동의 댓가
-원하는 바를 얻기 위해서는
그에 상응하는 일을 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
참자아의 발견
-거추장스런 옷가지들을
벗어버림과 동시에 위선
으로 포장된 자신을 버리는
장면 묘사
영화가 말하고자 하는 ‘실업’ 도 우울한 느낌의 실업이 아닌, 충분히 극복가능하고 희망적으로 이끌어갈 수 있는 대상이라는 점이었다.
사랑하는 부인의 스키장 여행을 위해 끊임없이 직장을 찾아다니는 제럴드의 모습에서는 여자의 소중한 꿈을 지켜주기 위한 ‘남자의 책임감’ 에 대해서 다시한번 생각해 봤다.
다음으로 생각해 볼 수 있는 점이 자본주의이다. 개인의 자유가 보장되는 곳이지만, 그에 대한 ‘대가’ 가 따른다는 점을 주목하게 되었다.
주인공들의 모습을 보면, 희망도 꿈도 없는 것 같지만 ‘스트립 댄스’ 라는 정복해야 할 목표가 생기면서 그들의 도전은 시작되었고, 이 도전이 희망으로 변해감과 동시에 느껴지는 사내들의 뜨거운 우정도 놓칠 수 없는 부분이다.
스트립 댄스라는 눈살 찌푸려지는 공연일수도 있는데, 그들의 준비해가는 과정 만큼은 꽤나 진지함 그 자체로 보여졌다. 왜냐하면 진정으로 돈이 필요한 것이라면, 강도나 사기 등의 범죄를 통해서 돈을 챙길 수가 있을텐데 글래도 노력을 해서 돈을 벌겠다는 모습에서 오히려 남자들의 ‘순수함’ 이 느껴진다. 마지막 장면, 그들이 가리고 있던 모자마저 벗어던지는 그들의 시도는 내면의 참 자아를 가로막고 있는 위선에 찬 껍데기들을 깨버리는 시도이면서, 관객들로 하여금 ‘너의 본 모습을 찾아라!’ 라는 메시지를 전달한다고 볼 수 있다.
물론, 영화에 대한 쓴 소리도 있다. 굳이 벗는 일이 아니어도 할 일이 많기 때문에 당대의 실업자를 대변하지 못했다는 점. 남자가 벗기 때문에 아이디어는 참신하지만, 선정적이라는 점 등이 그것이다.
무엇보다 실업의 책임을 개인에게 돌리려는 모습이 가장 돋보이는 점이다. 정부의 무능함, 또는 시스템적인 직업환경 구조에서 문제를 찾는 것이 아니라, 일에 대해 진지함이 부족한 개인에게서 찾는 것이다. 실업이 개인문제라는 점은 결국 노력 끝에 직장을 구한 제럴드의 모습 때문에 더욱 대비된다.
그런데 한편으로 실업에 대한 책임을 국가적인 것으로 다뤘다면, 오히려 ‘뻔한’ 영화, 대안없는 비판만을 하는 답답한 영화가 되지 않았을까 생각한다.
5. 영화 속 메시지
자본주의의 공허함
-일자리는 없고, 정부가
해결책을 제시해줄 수
없는 사면초가의 상황
여성시대의 등극
-여자가 서서 소변을
본다면 이는 곧 남자가
사라진다는 것을 의미
경제논리의 현실
-돈이 없으면 죽음마저도
선택할 수 없는 현실을
묘사
진정한 자유란?
-손에서 고리를 빼지 못하는 모습이 오히려 자유를 누릴
자격이 없을때는 그 어떤 구속보다 강한 구속이 된다는
것을 묘사
소비 지향주의
-남편의 큰 수입이 없음에도
부인의 소비에 대한 욕구를 자제할 수 없음을 묘사
자본주의 논리
-돈없이는 체면도 차릴 수
없는 곳이 자본주의 국가
이며, 모든 것이 돈으로
대변됨을 묘사
노동의 댓가
-원하는 바를 얻기 위해서는
그에 상응하는 일을 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
참자아의 발견
-거추장스런 옷가지들을
벗어버림과 동시에 위선
으로 포장된 자신을 버리는
장면 묘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