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치원 교육 & 입지 및 시설계획의 이해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유치원 교육 & 입지 및 시설계획의 이해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 론

Ⅱ. 유치원
1. 유치원의 개념과 제도
2. 유치원의 교육목표 및 내용

Ⅲ. 일본의 유아교육 제도
1. 유아교육의 이념 및 역사적 발달
2. 유아교육의 체제 및 현황
3. 유아교육 프로그램
4. 유아교사

Ⅵ. 유치원의 시설 및 공간계획기준
1. 유치원 시설 기준
2 유치원 시설의 개요 및 법적 기준
3. 유치원의 실내시설계획
4. 유치원의 실외시설계획
5 유치원시설의 특성
6 유치원의 입지조건

참고문헌

본문내용

가 제안한 근린주구 이론의 주거단지계획에서 출발한다. 어린이들이 위험한 도로를 건너지 않고 걸어서 통학할 수 있는 단지 규모에서 생활의 편리성과 쾌적성, 주민들 간의 사회적 교류 등을 도모할 수 있도록 조성된 물리적 환경에서 기인한다. 친밀한 사회적 교류가 어린이들 간의 친밀감을 통해 시작 된다는 전제에서 초등학교를 근린생활권의 중심으로 설정하고 주구내부의 최대거리에 대한 계획기준이 보행권으로 즉 인간중심의 계획의 시작이다.
근린주구의 단계별 규모
면적 : 2.01km2
인구 : 33,328명
유치원 원아수 : 256명
초등학교 저학년 아동수
: 768명
초등학교(모학교)
면적 : 0.50km2
인구 : 8,332명
유치원 원아수 : 64명
초등학교 저학년 아동수
: 192명
소규모유치원·초등학교
독립단독형
면적 : 0.13km2
인구 : 2,083명
유치원 원아수 : 16명
초등학교 저학년 아동수
: 48명
소규모유치원·초등학교
독립부속형
(대도시 일반지역)
면적 : 2.01km2
인구 : 46,912명
유치원 원아수 : 416명
초등학교 저학년 아동수
: 1,136명
초등학교(모학교)
면적 : 0.50km2
인구 : 11,728명
유치원 원아수 : 104명
초등학교 저학년 아동수
: 284명
소규모유치원·초등학교
독립단독형
면적 : 0.13km2
인구 : 2,932명
유치원 원아수 : 26명
초등학교 저학년 아동수
: 71명
소규모유치원·초등학교
독립부속형
(대도시 고밀도지역)
대도시 및 소규모 유치원·초등학교의 통학거리
유치원의 입지는 주위의 사회문화적 환경, 물리적 환경(지형이나 위생문제), 통원거리 등을 고려하여 선정되어야하며, 특히 일조 통풍 등 위생문제나 공해문제 등도 고려한다.
통원거리는 그 지역의 지리와 인구밀도, 호수에 의한 지역 내의 유아 총수를 산출하여 통학권을 고려한다. 될 수 있으면 다른 유아시설과 중복되지 않게 입지되도록 하며, 유아 통원상의 교통노선, 자동차, 전철 등의 통행빈도와 위험성에 대해 충분히 조사하여 입지 및 설계에 고려하도록 한다. 적정 통원거리는 적정 통원거리는 5세아의 경우 400m, 4세아의 경우는 300m, 교통사정이 좋을 경우에는 최대 600m로 볼 수 있다.
1. 쾌적하면서도 일조가 좋은 장소이어야 한다.
2. 대지의 넓이는 유치원면적의 3배 이상으로 한다.
3. 어느 정도 넓이의 직사각형이나 정사각형이 바람직하다.
4. 평탄한 지형보다는 고저차가 있는 것이 변화가 있고 매력적인 대지가 될 수 있다.
5. 좁은 대지에서도 공원, 광장 등에 접하는 경우 일조, 통풍 등 환경이 좋은 대지가 좋다 신건축계획, 권영민외 공저, P249-250
유치원의 설치기준
현행 아파트 단지 내 유치원의 설치기준에 의하면 2천세대 이상의 주택을 건설하는 주택단지에는 유치원을 설치할 수 있는 대지를 확보하여 그 시설의 설치희망자에게 분양하여 건축하게 하거나 유치원을 건축하여 이를 운영하고자 하는 자에게 공급하여야 한다. 다만, 당해 주택단지로부터 통행거리 300미터 이내에 유치원이 있는 경우 또는 당해 주택단지로부터 통행거리 200미터 이내에 「학교보건법」 제6조제1항 각호의 시설이 있는 경우, 「주택법 시행령」 제3조제1항의 규정에 의한 국민주택규모(전용면적 85제곱미터)를 초과하는 주택이 전체 주택의 100분의 60 이상인 경우, 당해 주택단지가 노인주택단지ㆍ외국인주택단지 등으로서 유치원의 설치가 불필요하다고 사업계획 승인권자가 인정하는 경우에 한하여 예외로 하고 있다.
또한 유치원을 유치원 외의 용도의 시설과 복합으로 건축하는 경우에는 의료시설주민운동시설보육시설종교집회장 및 근린생활시설(「학교보건법」에 의한 학교환경위생정화구역에 설치할 수 있는 시설에 한 한다)에 한하여 이를 함께 설치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유치원 용도의 바닥면적의 합계는 당해 건축물 연면적의 2분의 1 이상이어야 하고, 유아교육보육의 환경이 보호될 수 있도록 유치원의 출입구계단복도 및 화장실 등을 다른 용도의 시설(보육시설 및 사회복지관을 제외한다)과 분리된 구조로 하여야 한다고 되어 있다.
유치원의 배치기준
공동주택ㆍ어린이놀이터ㆍ의료시설(약국을 제외한다)ㆍ유치원ㆍ보육시설 및 경로당(이하 이 조에서 "공동주택은"이라 한다)은 다음 각 호의 시설로부터 수평거리 50미터 이상 떨어진 곳에 이를 배치하여야 한다. 다만, 위험물저장 및 처리시설중 주유소(석유판매취급소를 포함한다)의 경우에는 당해 주유소로부터 25미터 이상 떨어진 곳에 공동주택은(어린이놀이터ㆍ유치원 및 보육시설을 제외한다)을 배치할 수 있으며, 시내버스 차고지에 설치된 자동차용 천연가스 충전소(가스저장 압력용기 내용적의 총합이 20세제곱미터 이하인 경우에 한한다)의 경우에는 당해 자동차용 천연가스 충전소로부터 30미터(지식경제부장관이 정하여 고시한 기준에 적합한 방호벽을 설치하는 경우에는 25미터)이상 떨어진 곳에 공동주택 등(유치원 및 보육시설을 제외한다)을 배치할 수 있다고 제시하고 있다.
참고문헌
유치원시설의 실내공간구성에 관한 건축계획적 연구
강봉임 저 | 조선대 대학원 발행, 건축공학 전공
부산지역 유치원시설에 관한 건축계획적 연구
李昌學 저 | 釜山大 産業大學院 발행, 건축공학 전공
아파트 단지 내 유치원 건축계획에 관한 연구
안은숙 저 | 연세대 대학원 발행, 건축공학 전공
敎育施設의 建築設計·計劃上의 연구 : 탁아소 및 유치원을 중심으로
韓維卿 저 | 崇實大 大學院 발행, 건축공학 전공
대전시 유치원의 입지와 취원아동의 공간행태
양미자 저 | 공주대 교육대학원 발행, 지리교육 전공
공공시설물 입지에 관한 연구 : 서울시 국ㆍ공립 유치원을 사례로
김태호 저 | 서울大學校師範大學地理敎育科 발행
효율적인 선교활동을 위한 유치원 운영에 관한 연구
양은석 저 | 安養大 産業情報大學院 발행, 경영정보학 전공
소규모 유치원·초등학교 건축계획에 관한 연구
윤천근 저 | 建國大 大學院 발행, 건축공학 전공
서울시 유치원의 성장과 분포패턴 : 관악구를 사례로하여
延泳心 저 | 建國大 敎育大學院 발행, 지리교육 전공
한국 영유아보육정책의 고찰과 함의
이윤진 저 | 延世大學校敎育硏究所 발행
  • 가격600
  • 페이지수31페이지
  • 등록일2010.01.22
  • 저작시기2009.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7697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