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Abstract
Keyword:
한국사회의 노인문제 조망
노년기 삶의 만족에 있어서 가족이 미치는 영향
조작적 정의
우리나라의 실태와 문제점
성공적인 부양
성공적인 부양 모델
이론의 정리와 결론
이론의 한계점과 발전방향
이론의 의의
참고 문헌
Keyword:
한국사회의 노인문제 조망
노년기 삶의 만족에 있어서 가족이 미치는 영향
조작적 정의
우리나라의 실태와 문제점
성공적인 부양
성공적인 부양 모델
이론의 정리와 결론
이론의 한계점과 발전방향
이론의 의의
참고 문헌
본문내용
체/서비스, 정서적 부양적 특징으로 분류 한 것으로서 지역이나 거주형태, 가족규모는 고려되지 않았다. 따라서 이론을 적용하는데 있어 여러 가지 다양한 환경적 요소에 따라 모델의 적용이 적합하지 않을 수 있다.
마지막으로, 가족 구성원 간 개별 역할에 대한 세분화가 이루어 지지 않았다. 나이테 이론은 노년기의 연령대에 따른 가족구성원 전체의 우선순위 부양 방법을 제시한 것으로서, 부양을 하는데 있어서 가족 구성원 각각의 역할 요소는 고려되지 않았다. 개별적 역할을 어떻게 수행하고 행동해야 하는지에 대한 문제에서 한계가 있다.
이러한 한계점을 극복하기 위한 발전방향을 제시해보면, 첫째로 노인이 가족 구성원에게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아야 한다. 노인과 가족 구성원 사이에는 가족 구성원이 노인에게 주는 경제, 신체, 정서적 부양도 있지만, 반대로 노인이 가족 구성원에게 영향을 주는 정서적, 경제적 측면도 있을 것이다. 따라서 노인과 가족 구성원 사이에 일 방향적인 소통이 아닌 상호 수혜성을 고려하여 이론을 발전시켜 나갈 필요가 있다.
둘째, 사회적인 노인 부양 시스템과 연계되어야한다. 한국의 사회적 노인 부양 시스템 구축 상황은 나이테 이론이 제시한 노인 복지 방법에 다양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따라서 가족 구성원이 제공할 수 있는 복지 서비스와 사회적인 시스템이 해결하는 복지 서비스를 상호 연계하여 연구해 나가야 한다.
셋째, 국내의 다양한 사례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있어야 한다. 나이테이론은 일반적인 노인 부양의 특징에 한국의 유교, 문화적, 사회적 특징들을 적용시켜 개발한 이론이지만 여러 가지 유형의 다양한 사례에 대한 요구를 충족시켜 줄 수는 없다. 따라서 일반적인 사례뿐만 아니라 일어났거나 일어날 수 있는 사례들에 대한 연구를 통해 이론의 타당성을 높여나갈 필요가 있다.
이론의 의의
위와 같은 한계점과 발전의 여지에도 불구하고, 나이테 이론 모델 정립에 따른 의의를 찾아볼 수 있다.
먼저 한국 고유의 특징을 반영하여 성공적인 모시기에 대한 이론적 모델을 확립하였다는데 그 의미가 있다. 즉, 노인의 일반적 특성에 한국의 유교사상, 고령화속도, 양육시스템, 노인연령 개념의 변화, 여성의 과도한 부양부담 이라는 고유의 특징을 반영시켜 성공적인 노인모시기 이론 모델을 확립하였다고 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시기별 우선순위를 통한 효과적인 부양방법을 제안할 수 있었다. 나이테 이론의 준 노년전환기, 노년전환기 노년전반기, 노년 후반기의 모든 단계에서 경제, 신체/서비스, 정서적 부양이 모두 고려되어야 하겠지만 부양의 각 단계별로 특징을 잡아내어 우선순위를 제안했다는 점에서 부양의 방법에 대한 구체성과 효율성을 높였다고 볼 수 있는 것이다.
노인의 노화단계별 욕구를 분석하여 적용했다는 것에서도 의의가 있다. 노화가 진행되는데 있어서 연령대별 특징과 욕구가 다르다는 사실을 기초로 단계별 욕구를 분석하여 이론을 도출하였기 때문에 우선순위 부양책이라는 제안에 대한 타당성을 높여주었다.
마지막으로 노인부양에 대한 다차원적인 접근 시도를 할 수 있었다. 노인부양이라는 문제에 있어서 한국 고유의 특징 분석, 노화 연령대의 구분, 노화 연령대별 경제, 신체/서비스, 정서적 특징 이라는 다차원적인 접근을 시도함으로써 이론의 완성도를 높였다.
참고 문헌
김미혜(2007). 가족은 왜 노인을 학대하는가: 가족관계적 입장에서 바라 본 노인학대 이해, 제 2회 세계 노인 학대인식의 날 기념 세미나, pp. 10.
김성운(2005). 노인의 정서적 부양에 관한 연구. 한영신학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김윤정(2006). 노인부양부담에 있어 노인부양모델의 효과성 검증. 한국가족관계학회지, 11(1), pp. 79-101.
김형수(2003). 노인부양의 한계와 생산적 고령화 방안. 한국노인복지학회.
김혜경(2007). 재가 요보호노인 가족케어자의 부양부담에 대한 연구. 한국노인복지학회.
손태흥(2001). 노인부양의 현실과 그 새로운 방향: 1990년대 연구를 중심으로. 대한가정학회지, 39(11).
이윤로(2004). 노인부양을 위한 가족의 보호노동 지원방안에 대한 연구. 한국노인복지학회.
이위환, 권용신(2005). 가족친밀감과 노인인식이 노인부양의식에 미치는 영향. The Journal of Child Education, Vol. 14, No. 2, pp. 165-178.
최혜경, 문숙재, 정순희, 김은경(2001). 노인부양지표개발: 노인부양의 질 향상을 위한 노인부양모형의 제시. 여성건강, 2(1), pp. 99-119.
황해석, 남철현, 권철, 장병원, 정한태, 김기열(2006). 부양에 대한 노인의 부담감과 영향요인. Korean Public Health Research, 32(1), pp. 53-65.
Chapman, N. J. and Beaulet, M.(1983). Environmental Predictor of Well-being for at Risk Older Adults in Mid-sized City. Journal of Gerontology, Vol. 30, No. 2, 237~244.
John Law, et. (2002). 성공적인 노화. 신정.
Kbler Ross, E.(1969). On death and dying. New York: Macmillan.
Kbler Ross, E. (Ed.)(1975). Death: The final stage of growth. Englewood Cliffs, NJ: Prentice-Hall.
Kbler Ross, E.(1981). Living with death and dying. New York: Macmillan.
Steinmetz, S.(1993). The abused Elderly are dependent : Abuse is caused by the perception of stress associated with providing care. In R. Gelles & D.Loseke (eds.). Current controversies on family violence. Sage publication. 237-249.
마지막으로, 가족 구성원 간 개별 역할에 대한 세분화가 이루어 지지 않았다. 나이테 이론은 노년기의 연령대에 따른 가족구성원 전체의 우선순위 부양 방법을 제시한 것으로서, 부양을 하는데 있어서 가족 구성원 각각의 역할 요소는 고려되지 않았다. 개별적 역할을 어떻게 수행하고 행동해야 하는지에 대한 문제에서 한계가 있다.
이러한 한계점을 극복하기 위한 발전방향을 제시해보면, 첫째로 노인이 가족 구성원에게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아야 한다. 노인과 가족 구성원 사이에는 가족 구성원이 노인에게 주는 경제, 신체, 정서적 부양도 있지만, 반대로 노인이 가족 구성원에게 영향을 주는 정서적, 경제적 측면도 있을 것이다. 따라서 노인과 가족 구성원 사이에 일 방향적인 소통이 아닌 상호 수혜성을 고려하여 이론을 발전시켜 나갈 필요가 있다.
둘째, 사회적인 노인 부양 시스템과 연계되어야한다. 한국의 사회적 노인 부양 시스템 구축 상황은 나이테 이론이 제시한 노인 복지 방법에 다양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따라서 가족 구성원이 제공할 수 있는 복지 서비스와 사회적인 시스템이 해결하는 복지 서비스를 상호 연계하여 연구해 나가야 한다.
셋째, 국내의 다양한 사례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있어야 한다. 나이테이론은 일반적인 노인 부양의 특징에 한국의 유교, 문화적, 사회적 특징들을 적용시켜 개발한 이론이지만 여러 가지 유형의 다양한 사례에 대한 요구를 충족시켜 줄 수는 없다. 따라서 일반적인 사례뿐만 아니라 일어났거나 일어날 수 있는 사례들에 대한 연구를 통해 이론의 타당성을 높여나갈 필요가 있다.
이론의 의의
위와 같은 한계점과 발전의 여지에도 불구하고, 나이테 이론 모델 정립에 따른 의의를 찾아볼 수 있다.
먼저 한국 고유의 특징을 반영하여 성공적인 모시기에 대한 이론적 모델을 확립하였다는데 그 의미가 있다. 즉, 노인의 일반적 특성에 한국의 유교사상, 고령화속도, 양육시스템, 노인연령 개념의 변화, 여성의 과도한 부양부담 이라는 고유의 특징을 반영시켜 성공적인 노인모시기 이론 모델을 확립하였다고 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시기별 우선순위를 통한 효과적인 부양방법을 제안할 수 있었다. 나이테 이론의 준 노년전환기, 노년전환기 노년전반기, 노년 후반기의 모든 단계에서 경제, 신체/서비스, 정서적 부양이 모두 고려되어야 하겠지만 부양의 각 단계별로 특징을 잡아내어 우선순위를 제안했다는 점에서 부양의 방법에 대한 구체성과 효율성을 높였다고 볼 수 있는 것이다.
노인의 노화단계별 욕구를 분석하여 적용했다는 것에서도 의의가 있다. 노화가 진행되는데 있어서 연령대별 특징과 욕구가 다르다는 사실을 기초로 단계별 욕구를 분석하여 이론을 도출하였기 때문에 우선순위 부양책이라는 제안에 대한 타당성을 높여주었다.
마지막으로 노인부양에 대한 다차원적인 접근 시도를 할 수 있었다. 노인부양이라는 문제에 있어서 한국 고유의 특징 분석, 노화 연령대의 구분, 노화 연령대별 경제, 신체/서비스, 정서적 특징 이라는 다차원적인 접근을 시도함으로써 이론의 완성도를 높였다.
참고 문헌
김미혜(2007). 가족은 왜 노인을 학대하는가: 가족관계적 입장에서 바라 본 노인학대 이해, 제 2회 세계 노인 학대인식의 날 기념 세미나, pp. 10.
김성운(2005). 노인의 정서적 부양에 관한 연구. 한영신학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김윤정(2006). 노인부양부담에 있어 노인부양모델의 효과성 검증. 한국가족관계학회지, 11(1), pp. 79-101.
김형수(2003). 노인부양의 한계와 생산적 고령화 방안. 한국노인복지학회.
김혜경(2007). 재가 요보호노인 가족케어자의 부양부담에 대한 연구. 한국노인복지학회.
손태흥(2001). 노인부양의 현실과 그 새로운 방향: 1990년대 연구를 중심으로. 대한가정학회지, 39(11).
이윤로(2004). 노인부양을 위한 가족의 보호노동 지원방안에 대한 연구. 한국노인복지학회.
이위환, 권용신(2005). 가족친밀감과 노인인식이 노인부양의식에 미치는 영향. The Journal of Child Education, Vol. 14, No. 2, pp. 165-178.
최혜경, 문숙재, 정순희, 김은경(2001). 노인부양지표개발: 노인부양의 질 향상을 위한 노인부양모형의 제시. 여성건강, 2(1), pp. 99-119.
황해석, 남철현, 권철, 장병원, 정한태, 김기열(2006). 부양에 대한 노인의 부담감과 영향요인. Korean Public Health Research, 32(1), pp. 53-65.
Chapman, N. J. and Beaulet, M.(1983). Environmental Predictor of Well-being for at Risk Older Adults in Mid-sized City. Journal of Gerontology, Vol. 30, No. 2, 237~244.
John Law, et. (2002). 성공적인 노화. 신정.
Kbler Ross, E.(1969). On death and dying. New York: Macmillan.
Kbler Ross, E. (Ed.)(1975). Death: The final stage of growth. Englewood Cliffs, NJ: Prentice-Hall.
Kbler Ross, E.(1981). Living with death and dying. New York: Macmillan.
Steinmetz, S.(1993). The abused Elderly are dependent : Abuse is caused by the perception of stress associated with providing care. In R. Gelles & D.Loseke (eds.). Current controversies on family violence. Sage publication. 237-249.
추천자료
보육과정의 심리학적 기초 중 에릭슨의 심리학적 발달단계를 설명한 후 1단계~3단계에서의 교...
[상담심리학] 분석심리학에서 언급하는 무의식에 대해 서술하면서 자신과 연결시켜 보세요 - ...
(사례로읽는임상심리학) 사례로 읽는 임상심리학, 독서보고서
[대인관계심리학] 대인관계 중 이성 간의 사랑 즉, 연인관계에서 나타나는 사랑과 헤어짐을 ...
[개인심리학의 역사] 개인심리학의 발전과정, 아들러(Adler)의 생애
[개인심리학] 아들러의 생애와 인간관, 개인심리학이론의 이론적 배경
[분석심리학] 분석심리학의 기본가정과 주요개념, 성격이론(성격의 유형과 발달)
2017 심리학에게묻다-자신의 가계도 작성 2)가계도를 통해 알 수 있는 가족관계의 특징 3)가...
2017년 교육심리학 1.가드너의 다중지능이론 설명+교육적시사점, 교육심리학, 가드너다중지능...
[건강심리학] 건강과 심리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