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중국요리의 소개
*중국요리의 특징
*중국인의 음식 습관
*중국의 8대요리
1. 북경요리
2. 사천요리
3. 광동요리
4. 산동요리
5. 후난요리
6. 절강요리
7. 푸젠요리
8. 안후이요리
9. 기타 지방 요리
*중국요리의 특징
*중국인의 음식 습관
*중국의 8대요리
1. 북경요리
2. 사천요리
3. 광동요리
4. 산동요리
5. 후난요리
6. 절강요리
7. 푸젠요리
8. 안후이요리
9. 기타 지방 요리
본문내용
못하게 하고, 뜨거운 불에 회향과 함께 볶아내면 특별한 맛과 향기가 배어나온다.
6. 절강요리
절강은 중국 동요리곁에 자리잡고 있어 물고기와 쌀의 과향으로 불리우고 있으며 물산이 품부하고 산해진미와 각종 물고기들이 많이난다.
절강요리는 절강일대의 요리로, 항주, 영파, 소흥, 온주 지방에서 유래한 요리이다. 절강의 주요한 명 요리로는 "처호초어", "동파육", "시계(鷄)갱", "고향남육", "건작향령", "하잎분증육", "서호도요리탕(湯)", "용정새우", "항주위계(鷄)", "호포소쏘세지", "건요리문육", "조개황어죽" 등 수 백 가지가 있다.
7. 푸젠요리
푸젠성은 산지와 구릉이 성 전체의 80%를 차지할 뿐만 아니라 바다에 접해 있어 다양한 요리를 만들어 낼 수 있는 입지조건을 갖고 있다. 한 대에 이미 특유의 풍미를 갖추고 있었으나 당ㆍ송대에 푸저우, 취안저우 등지가 해외 무역항이 되면서 요리도 외부의 영향을 받게 됐다. 푸젠 요리는 ‘탕이 없으면 안 된다’, ‘한가지 탕이 열 가지 맛을 낼 수 있다’는 말이 상징하듯 탕을 매우 중요시한다. 한국에서는 고급 ‘보신음식’으로 잘못 알려진 ‘불도장’은 푸젠의 맛을 대표한다고 봐도 된다. 푸젠 요리의 특징인 연피는 신선한 순살 돼지고기에 녹말가루를 더해 짓이긴 뒤 눌러 종잇장처럼 얇게 편 다음 햇볕에 말려 사용하는 것으로, 탕 등의 고급요리에 사용한다. 생선을 갈아서 둥글게 만든 어환도 빼놓을 수 없다. 불도장은 상해 아래 지역, 복건성을 대표하는 요리다. 고급스러운 재료, 풍부한 내용물, 장시간에 걸친 조리. 최고급 재료들만 사용하기 때문에 사치스러움을 감출 수 없는 음식이다. 푸젠(복건)요리는 중국 8대 요리의 하나로 일명 민채다. 복건성은 산지와 구릉지가 성 전체 면적의 80%를 차지하며 바다에 접해있어 다양한 요리를 만들어 낼 수 있는 입지조건을 갖고 있다. 한(漢)대에 이미 특유의 풍미를 갖추고 있었으나 당.송대에 푸저우, 취안저우 등지가 해외무역항이 되면서 요리도 외부의 영향을 받게 됐다. 푸젠요리는 `탕이 없으면 안된다`, `한가지 탕이 열가지 맛을 낼 수 있다`는 말이 상징하듯 탕을 매우 중요시한다. 한국에서 고급 `보신음식`으로 알려진 불도장도 그 중 하나다.
1) 푸젠요리의 특징
요리 원료는 바다 해산물을 주요원료로 하고 달고, 시큼한 것, 짧고, 향기로운 것, 색, 미, 신선함을 중요시 하며 순수하며 향기롭고 기름지지 않은 특색이 있다. 탕과 채에 연구가 깊고 변화가 많으며 요리 방법이 섬세하고 맛을 내는데 특별히 중시한다. 푸젠 요리사들은 주로 볶고 삶는 조리법에 능하며 달고, 시고, 짜고, 진한 맛을 중요하게 생각한다. 특히 음식을 푹 익혀 무를 정도의 조리법을 가장 특색 있는 조리법으로 내세운다. 주로 복주, 천주, 하문 등 세 곳의 지방 요리로 이루어져있다.
2) 푸젠요리의 종류
설화계(닭고기요리), 길즙가길어(귤즙 참돔 요리), 태극명하(새우요리), 간소어(생선 요리)이 있다.
8. 안후이요리
안휘요리는 일찍 천여전의 송조때 안휘상인들간 교류의 한 가지 수단과 신분의 상징으로 만들어진 요리문화이다. 중국의 음식습관에 지대한 영향을 주면서 안휘요리는 중국 8대 요리에 들었다. 안휘요리는 연해지역의 풍미로 구성되었다. 산속의 진귀품과 강물의 물고기, 자라 등을 원료로 하고 음식모양에 신경을 쓴다. 대표요리는 완남 요리로서 불의 강약을 중시하며 원시 맛을 유지 하는데 익숙하고 고전적이고 우아하다. 안휘요리는 요리의 색깔과 향, 맛, 모양, 양과 국물을 중요시한다. 안휘요리는 또한 다른 요리의 조리법을 받아들여 부단한 발전을 꾀하면서 산간지대인 안휘 현지의 특산을 가지고 만들던 요리로부터 해물을 가지고 만드는 여러 가지 요리로 발전했다.
1) 안후이 요리의 특징
안휘요리는 기름지고 색상을 중히 여기고 불의 강약에 포인트를 둔 것이라고 사람들은 평가한다. 기름지다는 것은 여러 가지 기름을 사용하고 기름사용의 시간과 방법을 중시한다는 말이고 불의 강약에 포인트를 둔다는 것은 여러 음식재료에 따라 불의 강약을 조절하는 것을 말한다. 또한 색상을 중히 여긴다는 것은 요리의 색깔과 모양을 중히 여긴다는 것이다. 때문에 안휘요리는 모양이 꽃과 같고 소시지와 설탕, 파 등 조미료를 겸해 독특한 모양과 특이한 향을 자랑한다. 안휘요리는 음식의 원래 맛을 살린다. 요리의 핵은 당연히 맛이다. 안휘요리는 자연적이고 과학적인 조리법으로 음식의 원래 맛을 살려 백가지 요리가 백가지 맛을 내게 하고 있다. 안휘요리의 조리법으로는 볶고 튀기고 삶는 것 등을 중심으로 하고 조미료 사용에서도 파와 생강으로는 이상한 맛을 없애고 국물의 맛을 요리의 맛으로 하고 소시지의 맛으로 국물 맛을 돕고 토간장으로 색깔을 조절한다. 안휘요리는 식보를 중시해 음식에 의한 건강을 중히 여기지만 요리에 중약재를 넣는 약보와는 전혀 다르다. 닭이나 오리, 비둘기, 자라 등을 통채로 익혀 그 원래 맛을 살리면서 식보의 역할도 하게한다. 대표적인 안휘요리는 좋은 음식재료를 쓸 뿐만 아니라 엄격한 조리법을 사용하고 과학적으로 영양분을 배합하는 것을 제일가는 특징으로 한다.
2) 안후이 요리의 종류
무위훈압, 내즙비왕어, 문정산등이 있다.
9. 기타 지방 요리
상해요리
상해요리는 남경, 양주, 소주 등지요리의 총칭이다. 맛이 비교적 담백하고 기름기가 많으며 진하다. 유명 요리로는 진주완자, 게볶음, 생선찜, 사자두, 삼선볶음국수 등이 있다.
흑룡강요리
주로 흑룡강성의 진귀품, 수산물, 날짐승을 주요 원료로 하여 삶고, 데우고, 볶고, 생반 등의 기법을 사용, 특징은 기이하고, 신선하고, 시원하며 보양을 할 수 있다.
길림요리
장춘과 길림 두 곳의 요리로 이루어 졌다. 특징은 원료 선택이 넓고 진품이 풍부하고 조리과정에서 칼 사용과 국자 사용이 세심하며 유명한 요리로는 진흙 가마 요리이다.
약선요리
약선요리는 중국에서 기원전으로부터 내려오는 요리로 의식동원의 사상에서 유래한다. 약선요리는 다른 요리보다 좀 더 다양한 재료를 사용하여 사람의 몸에 어떤 효과를 단기간에 기대할 수 없고 단지 지속적으로 체질에 맞게 먹는 것이다.
6. 절강요리
절강은 중국 동요리곁에 자리잡고 있어 물고기와 쌀의 과향으로 불리우고 있으며 물산이 품부하고 산해진미와 각종 물고기들이 많이난다.
절강요리는 절강일대의 요리로, 항주, 영파, 소흥, 온주 지방에서 유래한 요리이다. 절강의 주요한 명 요리로는 "처호초어", "동파육", "시계(鷄)갱", "고향남육", "건작향령", "하잎분증육", "서호도요리탕(湯)", "용정새우", "항주위계(鷄)", "호포소쏘세지", "건요리문육", "조개황어죽" 등 수 백 가지가 있다.
7. 푸젠요리
푸젠성은 산지와 구릉이 성 전체의 80%를 차지할 뿐만 아니라 바다에 접해 있어 다양한 요리를 만들어 낼 수 있는 입지조건을 갖고 있다. 한 대에 이미 특유의 풍미를 갖추고 있었으나 당ㆍ송대에 푸저우, 취안저우 등지가 해외 무역항이 되면서 요리도 외부의 영향을 받게 됐다. 푸젠 요리는 ‘탕이 없으면 안 된다’, ‘한가지 탕이 열 가지 맛을 낼 수 있다’는 말이 상징하듯 탕을 매우 중요시한다. 한국에서는 고급 ‘보신음식’으로 잘못 알려진 ‘불도장’은 푸젠의 맛을 대표한다고 봐도 된다. 푸젠 요리의 특징인 연피는 신선한 순살 돼지고기에 녹말가루를 더해 짓이긴 뒤 눌러 종잇장처럼 얇게 편 다음 햇볕에 말려 사용하는 것으로, 탕 등의 고급요리에 사용한다. 생선을 갈아서 둥글게 만든 어환도 빼놓을 수 없다. 불도장은 상해 아래 지역, 복건성을 대표하는 요리다. 고급스러운 재료, 풍부한 내용물, 장시간에 걸친 조리. 최고급 재료들만 사용하기 때문에 사치스러움을 감출 수 없는 음식이다. 푸젠(복건)요리는 중국 8대 요리의 하나로 일명 민채다. 복건성은 산지와 구릉지가 성 전체 면적의 80%를 차지하며 바다에 접해있어 다양한 요리를 만들어 낼 수 있는 입지조건을 갖고 있다. 한(漢)대에 이미 특유의 풍미를 갖추고 있었으나 당.송대에 푸저우, 취안저우 등지가 해외무역항이 되면서 요리도 외부의 영향을 받게 됐다. 푸젠요리는 `탕이 없으면 안된다`, `한가지 탕이 열가지 맛을 낼 수 있다`는 말이 상징하듯 탕을 매우 중요시한다. 한국에서 고급 `보신음식`으로 알려진 불도장도 그 중 하나다.
1) 푸젠요리의 특징
요리 원료는 바다 해산물을 주요원료로 하고 달고, 시큼한 것, 짧고, 향기로운 것, 색, 미, 신선함을 중요시 하며 순수하며 향기롭고 기름지지 않은 특색이 있다. 탕과 채에 연구가 깊고 변화가 많으며 요리 방법이 섬세하고 맛을 내는데 특별히 중시한다. 푸젠 요리사들은 주로 볶고 삶는 조리법에 능하며 달고, 시고, 짜고, 진한 맛을 중요하게 생각한다. 특히 음식을 푹 익혀 무를 정도의 조리법을 가장 특색 있는 조리법으로 내세운다. 주로 복주, 천주, 하문 등 세 곳의 지방 요리로 이루어져있다.
2) 푸젠요리의 종류
설화계(닭고기요리), 길즙가길어(귤즙 참돔 요리), 태극명하(새우요리), 간소어(생선 요리)이 있다.
8. 안후이요리
안휘요리는 일찍 천여전의 송조때 안휘상인들간 교류의 한 가지 수단과 신분의 상징으로 만들어진 요리문화이다. 중국의 음식습관에 지대한 영향을 주면서 안휘요리는 중국 8대 요리에 들었다. 안휘요리는 연해지역의 풍미로 구성되었다. 산속의 진귀품과 강물의 물고기, 자라 등을 원료로 하고 음식모양에 신경을 쓴다. 대표요리는 완남 요리로서 불의 강약을 중시하며 원시 맛을 유지 하는데 익숙하고 고전적이고 우아하다. 안휘요리는 요리의 색깔과 향, 맛, 모양, 양과 국물을 중요시한다. 안휘요리는 또한 다른 요리의 조리법을 받아들여 부단한 발전을 꾀하면서 산간지대인 안휘 현지의 특산을 가지고 만들던 요리로부터 해물을 가지고 만드는 여러 가지 요리로 발전했다.
1) 안후이 요리의 특징
안휘요리는 기름지고 색상을 중히 여기고 불의 강약에 포인트를 둔 것이라고 사람들은 평가한다. 기름지다는 것은 여러 가지 기름을 사용하고 기름사용의 시간과 방법을 중시한다는 말이고 불의 강약에 포인트를 둔다는 것은 여러 음식재료에 따라 불의 강약을 조절하는 것을 말한다. 또한 색상을 중히 여긴다는 것은 요리의 색깔과 모양을 중히 여긴다는 것이다. 때문에 안휘요리는 모양이 꽃과 같고 소시지와 설탕, 파 등 조미료를 겸해 독특한 모양과 특이한 향을 자랑한다. 안휘요리는 음식의 원래 맛을 살린다. 요리의 핵은 당연히 맛이다. 안휘요리는 자연적이고 과학적인 조리법으로 음식의 원래 맛을 살려 백가지 요리가 백가지 맛을 내게 하고 있다. 안휘요리의 조리법으로는 볶고 튀기고 삶는 것 등을 중심으로 하고 조미료 사용에서도 파와 생강으로는 이상한 맛을 없애고 국물의 맛을 요리의 맛으로 하고 소시지의 맛으로 국물 맛을 돕고 토간장으로 색깔을 조절한다. 안휘요리는 식보를 중시해 음식에 의한 건강을 중히 여기지만 요리에 중약재를 넣는 약보와는 전혀 다르다. 닭이나 오리, 비둘기, 자라 등을 통채로 익혀 그 원래 맛을 살리면서 식보의 역할도 하게한다. 대표적인 안휘요리는 좋은 음식재료를 쓸 뿐만 아니라 엄격한 조리법을 사용하고 과학적으로 영양분을 배합하는 것을 제일가는 특징으로 한다.
2) 안후이 요리의 종류
무위훈압, 내즙비왕어, 문정산등이 있다.
9. 기타 지방 요리
상해요리
상해요리는 남경, 양주, 소주 등지요리의 총칭이다. 맛이 비교적 담백하고 기름기가 많으며 진하다. 유명 요리로는 진주완자, 게볶음, 생선찜, 사자두, 삼선볶음국수 등이 있다.
흑룡강요리
주로 흑룡강성의 진귀품, 수산물, 날짐승을 주요 원료로 하여 삶고, 데우고, 볶고, 생반 등의 기법을 사용, 특징은 기이하고, 신선하고, 시원하며 보양을 할 수 있다.
길림요리
장춘과 길림 두 곳의 요리로 이루어 졌다. 특징은 원료 선택이 넓고 진품이 풍부하고 조리과정에서 칼 사용과 국자 사용이 세심하며 유명한 요리로는 진흙 가마 요리이다.
약선요리
약선요리는 중국에서 기원전으로부터 내려오는 요리로 의식동원의 사상에서 유래한다. 약선요리는 다른 요리보다 좀 더 다양한 재료를 사용하여 사람의 몸에 어떤 효과를 단기간에 기대할 수 없고 단지 지속적으로 체질에 맞게 먹는 것이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