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신빈곤의 정의
2. 현대사회와 신빈곤
3. 신빈곤의 발생조건 및 특성
4. 신빈곤의 유형화
2. 현대사회와 신빈곤
3. 신빈곤의 발생조건 및 특성
4. 신빈곤의 유형화
본문내용
다른 한 축으로 하여 상호교차시킨 영역으로 구분할 수 있다. 즉 생산부문과 소비부문을 종축으로 두고, 횡축으로는 복지망을 경계로 하는 상대빈곤과 절대빈곤을 교차시킬 때 다음 <표 1>과 같은 네 가지 유형의 빈곤유형이 추출된다.
<표 1> 현대적 빈곤의 유형화
구분
생산부문
소비부문(재생산)
산업구조의 고도화 속의 양극화
↓
직업/고용지위의 변화
소득소비방식의 고도화와 양극화
↓
소비방식/가족구성의 변화
상대적 빈곤
① 불안정 고용형 빈곤
(the precariously-empolyed's poverty)
임시직, 여성직, 하청노동직 등과 같은
고용불안정에 의한 빈곤
③ 불안정 가정형 빈곤
(the defect-family's poverty)
무절제 소비, 가정파탄에 의한 빈곤
(이혼 가정)
복지망 (welfare network)
절대적 빈곤
② 노동불능형 빈곤
(the diaapitated-worker's poverty)
노령, 산재, 무기술, 신체결함 등과 같은
고용불가능에 의한 빈곤
(산재피해자, 불구자 등)
④ 무가정형 빈곤
(the broken- family's poverty)
가정이 완전히 해체되어 겪는 빈곤
(홈리스, 소년소녀가장 등)
<표 1> 현대적 빈곤의 유형화
구분
생산부문
소비부문(재생산)
산업구조의 고도화 속의 양극화
↓
직업/고용지위의 변화
소득소비방식의 고도화와 양극화
↓
소비방식/가족구성의 변화
상대적 빈곤
① 불안정 고용형 빈곤
(the precariously-empolyed's poverty)
임시직, 여성직, 하청노동직 등과 같은
고용불안정에 의한 빈곤
③ 불안정 가정형 빈곤
(the defect-family's poverty)
무절제 소비, 가정파탄에 의한 빈곤
(이혼 가정)
복지망 (welfare network)
절대적 빈곤
② 노동불능형 빈곤
(the diaapitated-worker's poverty)
노령, 산재, 무기술, 신체결함 등과 같은
고용불가능에 의한 빈곤
(산재피해자, 불구자 등)
④ 무가정형 빈곤
(the broken- family's poverty)
가정이 완전히 해체되어 겪는 빈곤
(홈리스, 소년소녀가장 등)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