멀티바이브레이터와 슈미트트리거회로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기본이론(멀티바이브레이터,슈미트트리거회로)

2>사용기기와부품

3>실험내용과 방법

4>결과값및 고찰

5>이번실험을 통하여 느낀점

본문내용

코프 1대 디지털멀티미터
파형 발생기 1대 다이오드 1N4148
저항 : 22kΩ, 43kΩ, 4.7kΩ, 68kΩ, 220kΩ, 1.2kΩ, 12kΩ, 100kΩ, 100Ω, 300Ω
BNC probe 4개
capacitor 0.1uF
T/R 2N2222
● 실험 내용과 방법 (Monostable Multivibrator)
1) 그림-8과 같이 회로를 구현한다.
2) Power supply를 이용하여 Vcc = 8V
= -3V를 인가한다. (양전압)
3) Function Generator를 이용하여 아래와 같은
Trigger Pulse를 만들어서 인가한다.
그림 -9> Trigger 입력조건
그림 -8> Monostable Multivibrator 회로
4) Q2의 Collector 전압이 High를 유지하는 시간을 측정하고 이를 이론치와 비교하시오.
이론치 :
측정치
Delta 값
2.000ms
0.5ms의 오차 발생
5)Parameter를 변경하여 4)에서 측정된 시간의 2배가 되도록 하시오.
라는 식에서 확인할수 있듯이 T는 RT또는 CT의값과 비례하는 것을 확인할수 있다. 따라서 R,C중 한 가지만 두배로 올려주면 4)에서 측정된 두배의 시간을 얻을 수 있다. 따라서 우리 2조는 의 값을 47kΩ으로 교체하였다.
그에따른 결과는 아래의 사진을 통하여 확인할 수 있다.
요번 저희2조의 실험에서 이번 5)번 실험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았습니다. 이유는 펑션의 트리거가 짧게 인가되어야 하는데 주파수를 올려도 낮춰도 저희가 원하는 입력이 인가되질 않았습니다.
● 실험 내용과 방법 (Schmitt trigger)
1)오른쪽 그림과 같이 회로를 구현한다.
2)Power Supply를 이용하여 =8V를 인가한
다.
3)Function Gennerator를 이용하여 아래와 같
은 톱니파를 만들어서 인가한다.
그림 -11> Vin 입력조건
그림 -10> 슈미트트리거 회로
4)입력과 출력을 동시에 관찰하여 Hysteresis 전압을 측정하시오.
Hysteresis 전압
960mV 대략 1V
● 이번 실험을 통하여 느낀점
일단 이번실험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았습니다. 파라미터값이 제대로 출력되지 않은것이 일단 펑션제네레이터에서 입력을 제대로 못넣어주기 때문이라고 하시는데 그럼 다른조들은 어떻게 실험을 한건지.. 아무래도 회로 구성에 있어서 저희가 몬가 실수를 한것 같습니다.
완벽히 실험을 마치고서 마지막 레포트를 썼어야 하는데... 많이 아쉽습니다.
이번 계기를 통하여 앞으로는 회로를 구성하고 조립할 때 거기에 따른 기초지식들도 많이 겸비해야할 것 같고, 하나하나 차분하게 부품들을 꽂아 내려가야 겠다는 생각이 절실했습니다. 그 이후 실험은 순조롭게 진행됐으며, 특히 슈미트트리거 회로에서 Hysteresis특성이 무엇보다도 흥미로웠고, noise따른 오차만큼 출력전압도 감소한다는 것도 흥미로웠습니다.
다음주에 실험할 FET실험도 사전에 FET에 대한 철저한 예비 공부와 그에따른 회로도 많이 공부해봐야 겠습니다.
  • 가격1,0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0.01.28
  • 저작시기2008.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7888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