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반면 남자무용수는 남성적이고 열정적인 무용수였다. 특히 점프가 아주 높고 시원시원해서 여자주인공과는 대조되는 힘있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작품이 여성무용수들 위주이지만 남자주인공은 혼자서 수많은 여자무용수들과 균형을 이루고 돋보일 수 있는 탁월한 테크닉을 가지고 있었다. 2인무에서 남자무용수와 여자무용수는 서로의 다른 개성을 잘 부각시키며, 동시에 조화를 이루는 훌륭한 파트너쉽을 보여주었다.
작품의 주인공이 인간이 아닌 백조인 만큼 동작에서도 백조의 모습을 표현한 독특한 백조를 찾아 볼 수 있었다. 여주인공은 백조를 흰백의 아름다움으로 표현해내었다. 목선과 팔 끝까지 새의 이미지를 창조하고 있었다. 우아하면서도 비운을 암시하는 듯한 손바닥을 바깥으로 향한 백조의 모습은 여성의 가련함과 우수의 찬 모습을 느끼게 해주어 특히 인상적이었다.
또한 막마다 극의 배경이 궁 안과 호숫가를 넘나들게 하여 궁의 화려한 세트와 호숫가의 달빛의 어둡고 몽환적인 분위기가 시각적으로도 대조되어 그 양면성이 극의 재미를 더해주었다. 궁 안에서는 화려한 금빛 색깔의 의상과 조명, 화려한 동작위주였고, 백조들이 나오는 호숫가에서는 모두 희고 가벼운 백조의상으로 대조된 모습을 보였다.
작품의 주인공이 인간이 아닌 백조인 만큼 동작에서도 백조의 모습을 표현한 독특한 백조를 찾아 볼 수 있었다. 여주인공은 백조를 흰백의 아름다움으로 표현해내었다. 목선과 팔 끝까지 새의 이미지를 창조하고 있었다. 우아하면서도 비운을 암시하는 듯한 손바닥을 바깥으로 향한 백조의 모습은 여성의 가련함과 우수의 찬 모습을 느끼게 해주어 특히 인상적이었다.
또한 막마다 극의 배경이 궁 안과 호숫가를 넘나들게 하여 궁의 화려한 세트와 호숫가의 달빛의 어둡고 몽환적인 분위기가 시각적으로도 대조되어 그 양면성이 극의 재미를 더해주었다. 궁 안에서는 화려한 금빛 색깔의 의상과 조명, 화려한 동작위주였고, 백조들이 나오는 호숫가에서는 모두 희고 가벼운 백조의상으로 대조된 모습을 보였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