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적용범위
2. 시험기구
3. 시료
4. 측정기의 검정
5. 골재 수정 계수의 측정
6. 콘크리트 공기량의 측정
7. 계산
2. 시험기구
3. 시료
4. 측정기의 검정
5. 골재 수정 계수의 측정
6. 콘크리트 공기량의 측정
7. 계산
본문내용
.(3)와 똑같은 조작을 하여 압력계 공기량의 눈금을 읽고 이것을 골재 수정계수(G)로 한다.
6. 콘크리트 공기량의 측정
(1) 시료를 용기의 약 ⅓까지 넣고 고른 후, 용기의 바닦을 튀어 나오지 않도록 각 층을 다짐봉으로 25회 균등하게 다진다. 다짐 구멍이 없어지고, 콘크리트의 표면에 큰 거품이 보이지 않게 되도록 하기 위하여 용기 옆면을 10∼15회 나무망치로 두드린다. 다음에 용기의 약⅔까지 넣고 전회와 똑같은 조작을 반복한다. 마지막에 용기에서 조금 넘쳐 흐를 정도로 시료를 넣고 똑같은 조작을 반복한 후, 목재자로 여분의 시료를 쓸어내어 평탄하게 고른다. 다짐봉을 넣는 깊이는 거의 각 층의 두께로 한다.
(2) 진동기로 다질 경우는 KS F 2409의 4.2에 준하여 한다.
(3) 용기의 플랜지 윗면과 뚜껑의 플랜지 아랫면을 완전히 닦은 후, 뚜껑의 안팎을 공기가 통하도록 하여 가만히 뚜껑을 얹어 공기가 새지 않도록 잠근 후 뚜껑의 안쪽과 수면사이의 공기가 다 빠져나갈때까지 물을 넣는다. 다음에 공기실내의 기압을 초기 압력에 일치시킨다. 약 5초가 지난후 작동밸브를 충분히 연다. 콘크리트의 압력을 고루 미치게 하기 위하여 용기의 옆면을 나무망치로 두드린다. 다시 작동밸브를 충분히 열고 지침이 안정되고 나서 압력계의 공기량 눈금을 소수점 이하 1자리로 읽는다. 그 눈금을 콘크리트의 겉보기 공기량(A1)으로 한다.
7. 계산
A= A1 - G
여기에서 A : 콘크리트의 공기량(%)
A1 : 콘크리트의 겉보기 공기량(%)
G : 골재수정계수(골재 수정 계수가 0.1% 이하인 경우에는 생략해도 좋다)
6. 콘크리트 공기량의 측정
(1) 시료를 용기의 약 ⅓까지 넣고 고른 후, 용기의 바닦을 튀어 나오지 않도록 각 층을 다짐봉으로 25회 균등하게 다진다. 다짐 구멍이 없어지고, 콘크리트의 표면에 큰 거품이 보이지 않게 되도록 하기 위하여 용기 옆면을 10∼15회 나무망치로 두드린다. 다음에 용기의 약⅔까지 넣고 전회와 똑같은 조작을 반복한다. 마지막에 용기에서 조금 넘쳐 흐를 정도로 시료를 넣고 똑같은 조작을 반복한 후, 목재자로 여분의 시료를 쓸어내어 평탄하게 고른다. 다짐봉을 넣는 깊이는 거의 각 층의 두께로 한다.
(2) 진동기로 다질 경우는 KS F 2409의 4.2에 준하여 한다.
(3) 용기의 플랜지 윗면과 뚜껑의 플랜지 아랫면을 완전히 닦은 후, 뚜껑의 안팎을 공기가 통하도록 하여 가만히 뚜껑을 얹어 공기가 새지 않도록 잠근 후 뚜껑의 안쪽과 수면사이의 공기가 다 빠져나갈때까지 물을 넣는다. 다음에 공기실내의 기압을 초기 압력에 일치시킨다. 약 5초가 지난후 작동밸브를 충분히 연다. 콘크리트의 압력을 고루 미치게 하기 위하여 용기의 옆면을 나무망치로 두드린다. 다시 작동밸브를 충분히 열고 지침이 안정되고 나서 압력계의 공기량 눈금을 소수점 이하 1자리로 읽는다. 그 눈금을 콘크리트의 겉보기 공기량(A1)으로 한다.
7. 계산
A= A1 - G
여기에서 A : 콘크리트의 공기량(%)
A1 : 콘크리트의 겉보기 공기량(%)
G : 골재수정계수(골재 수정 계수가 0.1% 이하인 경우에는 생략해도 좋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