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두부의 근육
1. 머리의 근육
2. 목삼가과 목근육
Ⅱ. 가슴과 등 부위의 근육
1. 가슴 부위 근육
1) 대흉근(pectoralis Major)
2) 소흉근(pectoralis Minor)
3) 쇄골하근(subclavius)
4) 전거근(serratus Anterior)
2. 등 부위 근육
1) 승모근(Trapezius)
2) 광배근(Latissimus Dorsi)
3) 대능형근(Rhomboids Major)
4) 소능형근(Rhomboids Minor)
Ⅲ. 어깨와 팔 부위의 근육
1. 어깨 부위 근육
1) 삼각근(Deltoids)
2) 극상근(Supraspinatus)
3) 극하근(Infraspinatus)
4) 대원근(Teres Major)
5) 소원근(Teres Minor)
6) 견갑거근(Levator Scapula)
2. 팔 부위 근육
1) 상완 이두근(Biceps Brschii)
2) 상완골(Brachialis)
3) 상완 삼두근(Triceps Brachii)
4) 상완 요골근(Brachioradialis)
5) 장요측 수근 신근(Extensor Carpi Radialis Longus)
6) 단요측 수근 신근(Extensor Carpi Radialis Brevis)
7) 척측 수근 신근(Extensor Carpi Ularis)
8) 지신근(Extensor Digitorum)
9) 소지신근(Extensor Digiti Minimi)
10) 시지신근(Extensor Indicis)
11) 회외근(Supinator)
12) 장무지 외전근(Abductor Pollicis Longus)
13) 단무지 신근(Extensor Pollcis Brevis)
14) 장무지 신근(Extensor Pollcis longus)
15) 원회내근(Pronator Teres)
16) 방형회내근(Pronator Quadratus)
17) 척측 수근 굴근(Flexor Carpi Ulnaris)
18) 장장근(Palmaris Longus)
19) 요측수근 굴근(Flexor Carpi Radialis)
20) 천지굴근(Flexor Digitorum superficialis)
21) 심지굴근(Flexor Digitorum Profundus)
22) 장무지 굴근(Flexor Pollicis Longus)
23) 오훼완근(Coracobrachialis)
Ⅳ. 수근부의 근육
1. Wrist flexion
2. Carpal bone
3. Wrist extension
4. Tennis elbow
5. Wrist abduction(Radial deviation)
6. Wrist adduction(Ulnar deviation)
7. MP Flexion(Thumb 제외)
8. IP Flexion(PIP, DIP)
9. MP Extension(IP 도)
10. Finger abduction
11. Finger Adduction
Ⅴ. 하체부의 근육
1. 볼기의 근육과 넙다리의 근육
2. 종아리의 근육
3. 발의 내재근육
Ⅵ. 근육의 경련
Ⅶ. 근육의 질환
1. Abnormal facial movements
2. Abnormal limb movements
참고문헌
1. 머리의 근육
2. 목삼가과 목근육
Ⅱ. 가슴과 등 부위의 근육
1. 가슴 부위 근육
1) 대흉근(pectoralis Major)
2) 소흉근(pectoralis Minor)
3) 쇄골하근(subclavius)
4) 전거근(serratus Anterior)
2. 등 부위 근육
1) 승모근(Trapezius)
2) 광배근(Latissimus Dorsi)
3) 대능형근(Rhomboids Major)
4) 소능형근(Rhomboids Minor)
Ⅲ. 어깨와 팔 부위의 근육
1. 어깨 부위 근육
1) 삼각근(Deltoids)
2) 극상근(Supraspinatus)
3) 극하근(Infraspinatus)
4) 대원근(Teres Major)
5) 소원근(Teres Minor)
6) 견갑거근(Levator Scapula)
2. 팔 부위 근육
1) 상완 이두근(Biceps Brschii)
2) 상완골(Brachialis)
3) 상완 삼두근(Triceps Brachii)
4) 상완 요골근(Brachioradialis)
5) 장요측 수근 신근(Extensor Carpi Radialis Longus)
6) 단요측 수근 신근(Extensor Carpi Radialis Brevis)
7) 척측 수근 신근(Extensor Carpi Ularis)
8) 지신근(Extensor Digitorum)
9) 소지신근(Extensor Digiti Minimi)
10) 시지신근(Extensor Indicis)
11) 회외근(Supinator)
12) 장무지 외전근(Abductor Pollicis Longus)
13) 단무지 신근(Extensor Pollcis Brevis)
14) 장무지 신근(Extensor Pollcis longus)
15) 원회내근(Pronator Teres)
16) 방형회내근(Pronator Quadratus)
17) 척측 수근 굴근(Flexor Carpi Ulnaris)
18) 장장근(Palmaris Longus)
19) 요측수근 굴근(Flexor Carpi Radialis)
20) 천지굴근(Flexor Digitorum superficialis)
21) 심지굴근(Flexor Digitorum Profundus)
22) 장무지 굴근(Flexor Pollicis Longus)
23) 오훼완근(Coracobrachialis)
Ⅳ. 수근부의 근육
1. Wrist flexion
2. Carpal bone
3. Wrist extension
4. Tennis elbow
5. Wrist abduction(Radial deviation)
6. Wrist adduction(Ulnar deviation)
7. MP Flexion(Thumb 제외)
8. IP Flexion(PIP, DIP)
9. MP Extension(IP 도)
10. Finger abduction
11. Finger Adduction
Ⅴ. 하체부의 근육
1. 볼기의 근육과 넙다리의 근육
2. 종아리의 근육
3. 발의 내재근육
Ⅵ. 근육의 경련
Ⅶ. 근육의 질환
1. Abnormal facial movements
2. Abnormal limb movements
참고문헌
본문내용
있도록 만들어진 것이다.
Ⅵ. 근육의 경련
SPASMS 근육의 비정상적인 운동은 운동 신경원이 매개하는 중추신경계의 비정상적인 전기 활성에 의하기도 하고, 운동 신경원이나 근육섬유 자체 안에서 나타나기도 한다. 임상적 소견만으로 비정상적인 운동의 기원을 찾기는 어려움이 많다. 일반적으로 중추신경계에서 기원한 운동은 신체의 전부, 사지전체 혹은 근육군에 영향을 준다. 중추성 질환은 주기적일 수도 간헐적일 수도 있다. 말초기원의 것은 무작위적이다. 뇌파검사가 중추신경계에 원인이 있을 때 대뇌 피질의 변화된 활성을 보여주기도 한다. 근전도는 어떤 원인으로 인한 운동 활성을 반영하기 때문에 도움이 덜된다. 그러나 기저 신경이나 근육 질환의 근전도 소견은 진단에 도움이 된다.
전체 사지나 몸통 또는 얼굴의 한 부분의 간헐적이고 비주기적인 운동은 대뇌의 간질활동에 의하거나 간대성 근경련(myoclonus)에 의한다. 전체 하지의 굴곡근 및 신전근의 경련은 중추신경계 내의 운동 억제작용의 소실 때문이다. 분절성 간대성 근경련(segmental myoclonus)은 뇌간 및 척수의 국소 병변에 의해 생기며 운동 신경원의 비정상적인 방전(discharge)에 의한다. 국소 혈관질환, 종양과 같은 질환을 시사한다.
Ⅶ. 근육의 질환
1. Abnormal facial movements
반측 안면경련(hemifacial spasm)은 안면신경이 뇌간에서 나오는 부분에 인접한 구불구불한 혈관이 압력을 가해서 생기는 안면신경의 발작적 활성에 의한다. 반측 안면경련은 흔히 눈 주위근육에 생기며 안면 전체로 퍼지기도 한다. 증상은 간헐적이며 말할 때와 같이 안면 근육을 사용할 때 심해진다. 반측 안면경련은 통증은 없지만 대중을 상대하는 사람들에겐 아주 당혹스럽게 한다. 환자가 스트레스 받는 상황에서 심해지기 때문에 틱(habit spasm)으로 오진할 수도 있다. 소뇌교각(cerebellopontine angle) 질환이 유사한 질환을 만들 수도 있다. 반측 안면경련은 신경방사선학적 검사를 시행해야 한다. 보툴리즘 독소를 관련 근육에 주사함으로 3개월 안에 경련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안면신경을 주위 혈관으로부터 수술로 노출시키고 보호 벽을 세우는 것이 치료법이다.
안면틱은 얼굴의 상동적인 운동으로, 눈 깜박이기, 고개 돌리기, 얼굴 찡그리기 등이며 수의적이지만, 노력이나 불안으로 억제될 수 있다. 어떤 틱은 아주 흔해서 매너리즘으로 생각되는 것이 헛기침하는 것과 유사하다. 이맛살을 반복적으로 찌푸리는 것이 예이다. Gilles de la Tourette syndrome 처럼 유전적인 질환은 다발성 틱이 특징이다. 틱은 보통 신경이완제(항정신병약)로 조절할 수 있다
안면의 공동 운동(synkinesias)은 Bell\'s palsy나 다른 안면 신경질환에 의한 안면마비 후에 오는 안면신경의 변형된 재생에 의한다. Bell\'s palsy에서 회복되는 환자의 50% 정도에서 그런 운동이 나타난다. 예로 악순목(jaw winking), 즉 안면 하부를 움직일 때 orbicularis oculi가 불수의적으로 수축하여 눈을 감는 것을 말한다.
삼차신경통(trigeminal neuralgia, tic douloureux 동통성 틱)은 안면의 한쪽 면에 생기는 짧고 발작적인 찌르는 듯한 통증을 말한다. 관련된 신경이 감각 신경일지라도 통증이 심하면 안면근의 불수의적 수축이 일어난다. 그래서 틱이란 이름을 지었다. 비정상적인 운동은 통증이 없을 때는 일어나지 않는다.
안면 섬유성근 간대경련(facial myokymia)은 안면근의 지속적이고 파동성의 섬유속 연축이다. 대개 양성이지만 교뇌(pons)의 종양이나 다발성 경화증(multiple sclerosis)과 같은 질환에 의하기도 한다. 유사한 운동이 근위축성 측삭경화증(amyotrophic lateral sclerosis)이나 유전 질환 같은 운동 신경원질환에서도 보인다.
2. Abnormal limb movements
완전히 이완된 근육에 운동이란 없다. 운동 신경원이나 근위부 축삭의 질환은 섬유속성 연축(fasciculation), 즉 하나의 운동 단위에 자발적인 수축이 생긴다. 섬유속성 연축은 시진 시 나타나며, 환자에겐 근육의 박동이나 떨림으로 느껴진다. 섬유속성 연축은 정상인에서도 경험하게 되며, 위약이 없는 한 중요하지 않다. 불완전하게 이완된 근육에서 관찰되어도 정상이다. 섬유성근 간대경련은 많은 반복적인 섬유속성 연축으로 사지근육에서 발생하여 몸부림치는 모양을 할 수도 있다. 섬유성근 간대경련은 신경근 차단제로 사라지므로 전각세포나 말초신경에서 기인한 질환임을 알 수 있다. 오래 지속된 탈신경과 재 신경지배 상태에서 운동단위의 크기가 커지며, 섬유속 연축은 더 커서 사지의 운동이 생긴다. 특히 손가락에 생기면 미세다발성 간대성 근경련(minipolymyoclonus)라 한다.
강박적으로 사지를 움직이는 조건들이 있다. 정좌불능(akathisia) 또는 운동 불안상태(motor restlessness)는 파킨슨씨병에서 보이며, 기저 핵의 다른 질환, 약물 유발성 운동장애에서도 보인다. 하지 불안증후군(restless leg syndrome)은 중년 부인에서 생기는 양하지 와 양 대퇴에 흔한 근육의 불쾌감이다. 환자는 이상한 감각을 피하기 위해 다리를 계속 움직여야 한다고 느낀다. 하지불안 증후군은 요독증에서 흔하며, 신경병이 있을 때 생긴다. 가족력이 있으며, 어떤 환자의 경우는 신경병의 증거를 밝히지 못하는 경우도 있다. 불안감은 근육의 간대성 근경련(myoclonic jerk)을 동반하기도 한다. 이 간대성 근경련은 REM 수면에 들어가는 정상인에서 보이는 근경련과 유사하다.
참고문헌
브리태니커 백과사전 - 한국브리태니커회사, 1996
선우섭 외 7명 - 운동 근 생리·생화학, 도서출판 한미의학, 2003
전용혁 외 2명 - 인체해부학, 청구문화사
정영태 외 4명 - 인체해부학, 청구문화사
최신 운동생리학
한국해부생리학 교수협의회 편 - 인체해부학, 현문사, 2003
BERNARD KINGSTON - 근육해부학, 군자출판사, 2005
Ⅵ. 근육의 경련
SPASMS 근육의 비정상적인 운동은 운동 신경원이 매개하는 중추신경계의 비정상적인 전기 활성에 의하기도 하고, 운동 신경원이나 근육섬유 자체 안에서 나타나기도 한다. 임상적 소견만으로 비정상적인 운동의 기원을 찾기는 어려움이 많다. 일반적으로 중추신경계에서 기원한 운동은 신체의 전부, 사지전체 혹은 근육군에 영향을 준다. 중추성 질환은 주기적일 수도 간헐적일 수도 있다. 말초기원의 것은 무작위적이다. 뇌파검사가 중추신경계에 원인이 있을 때 대뇌 피질의 변화된 활성을 보여주기도 한다. 근전도는 어떤 원인으로 인한 운동 활성을 반영하기 때문에 도움이 덜된다. 그러나 기저 신경이나 근육 질환의 근전도 소견은 진단에 도움이 된다.
전체 사지나 몸통 또는 얼굴의 한 부분의 간헐적이고 비주기적인 운동은 대뇌의 간질활동에 의하거나 간대성 근경련(myoclonus)에 의한다. 전체 하지의 굴곡근 및 신전근의 경련은 중추신경계 내의 운동 억제작용의 소실 때문이다. 분절성 간대성 근경련(segmental myoclonus)은 뇌간 및 척수의 국소 병변에 의해 생기며 운동 신경원의 비정상적인 방전(discharge)에 의한다. 국소 혈관질환, 종양과 같은 질환을 시사한다.
Ⅶ. 근육의 질환
1. Abnormal facial movements
반측 안면경련(hemifacial spasm)은 안면신경이 뇌간에서 나오는 부분에 인접한 구불구불한 혈관이 압력을 가해서 생기는 안면신경의 발작적 활성에 의한다. 반측 안면경련은 흔히 눈 주위근육에 생기며 안면 전체로 퍼지기도 한다. 증상은 간헐적이며 말할 때와 같이 안면 근육을 사용할 때 심해진다. 반측 안면경련은 통증은 없지만 대중을 상대하는 사람들에겐 아주 당혹스럽게 한다. 환자가 스트레스 받는 상황에서 심해지기 때문에 틱(habit spasm)으로 오진할 수도 있다. 소뇌교각(cerebellopontine angle) 질환이 유사한 질환을 만들 수도 있다. 반측 안면경련은 신경방사선학적 검사를 시행해야 한다. 보툴리즘 독소를 관련 근육에 주사함으로 3개월 안에 경련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안면신경을 주위 혈관으로부터 수술로 노출시키고 보호 벽을 세우는 것이 치료법이다.
안면틱은 얼굴의 상동적인 운동으로, 눈 깜박이기, 고개 돌리기, 얼굴 찡그리기 등이며 수의적이지만, 노력이나 불안으로 억제될 수 있다. 어떤 틱은 아주 흔해서 매너리즘으로 생각되는 것이 헛기침하는 것과 유사하다. 이맛살을 반복적으로 찌푸리는 것이 예이다. Gilles de la Tourette syndrome 처럼 유전적인 질환은 다발성 틱이 특징이다. 틱은 보통 신경이완제(항정신병약)로 조절할 수 있다
안면의 공동 운동(synkinesias)은 Bell\'s palsy나 다른 안면 신경질환에 의한 안면마비 후에 오는 안면신경의 변형된 재생에 의한다. Bell\'s palsy에서 회복되는 환자의 50% 정도에서 그런 운동이 나타난다. 예로 악순목(jaw winking), 즉 안면 하부를 움직일 때 orbicularis oculi가 불수의적으로 수축하여 눈을 감는 것을 말한다.
삼차신경통(trigeminal neuralgia, tic douloureux 동통성 틱)은 안면의 한쪽 면에 생기는 짧고 발작적인 찌르는 듯한 통증을 말한다. 관련된 신경이 감각 신경일지라도 통증이 심하면 안면근의 불수의적 수축이 일어난다. 그래서 틱이란 이름을 지었다. 비정상적인 운동은 통증이 없을 때는 일어나지 않는다.
안면 섬유성근 간대경련(facial myokymia)은 안면근의 지속적이고 파동성의 섬유속 연축이다. 대개 양성이지만 교뇌(pons)의 종양이나 다발성 경화증(multiple sclerosis)과 같은 질환에 의하기도 한다. 유사한 운동이 근위축성 측삭경화증(amyotrophic lateral sclerosis)이나 유전 질환 같은 운동 신경원질환에서도 보인다.
2. Abnormal limb movements
완전히 이완된 근육에 운동이란 없다. 운동 신경원이나 근위부 축삭의 질환은 섬유속성 연축(fasciculation), 즉 하나의 운동 단위에 자발적인 수축이 생긴다. 섬유속성 연축은 시진 시 나타나며, 환자에겐 근육의 박동이나 떨림으로 느껴진다. 섬유속성 연축은 정상인에서도 경험하게 되며, 위약이 없는 한 중요하지 않다. 불완전하게 이완된 근육에서 관찰되어도 정상이다. 섬유성근 간대경련은 많은 반복적인 섬유속성 연축으로 사지근육에서 발생하여 몸부림치는 모양을 할 수도 있다. 섬유성근 간대경련은 신경근 차단제로 사라지므로 전각세포나 말초신경에서 기인한 질환임을 알 수 있다. 오래 지속된 탈신경과 재 신경지배 상태에서 운동단위의 크기가 커지며, 섬유속 연축은 더 커서 사지의 운동이 생긴다. 특히 손가락에 생기면 미세다발성 간대성 근경련(minipolymyoclonus)라 한다.
강박적으로 사지를 움직이는 조건들이 있다. 정좌불능(akathisia) 또는 운동 불안상태(motor restlessness)는 파킨슨씨병에서 보이며, 기저 핵의 다른 질환, 약물 유발성 운동장애에서도 보인다. 하지 불안증후군(restless leg syndrome)은 중년 부인에서 생기는 양하지 와 양 대퇴에 흔한 근육의 불쾌감이다. 환자는 이상한 감각을 피하기 위해 다리를 계속 움직여야 한다고 느낀다. 하지불안 증후군은 요독증에서 흔하며, 신경병이 있을 때 생긴다. 가족력이 있으며, 어떤 환자의 경우는 신경병의 증거를 밝히지 못하는 경우도 있다. 불안감은 근육의 간대성 근경련(myoclonic jerk)을 동반하기도 한다. 이 간대성 근경련은 REM 수면에 들어가는 정상인에서 보이는 근경련과 유사하다.
참고문헌
브리태니커 백과사전 - 한국브리태니커회사, 1996
선우섭 외 7명 - 운동 근 생리·생화학, 도서출판 한미의학, 2003
전용혁 외 2명 - 인체해부학, 청구문화사
정영태 외 4명 - 인체해부학, 청구문화사
최신 운동생리학
한국해부생리학 교수협의회 편 - 인체해부학, 현문사, 2003
BERNARD KINGSTON - 근육해부학, 군자출판사, 2005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