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본론
ⅰ. 2010년 S/S 여성복 트렌드
◆ 사상
◆ 색
◆ 섬유
◆ 프린트와 패턴
◆ 스타일과 실루엣
◆ 디테일
◆ 키 아이템
Ⅲ. 결론
Ⅱ. 본론
ⅰ. 2010년 S/S 여성복 트렌드
◆ 사상
◆ 색
◆ 섬유
◆ 프린트와 패턴
◆ 스타일과 실루엣
◆ 디테일
◆ 키 아이템
Ⅲ. 결론
본문내용
Footloose Dye(자유로운 염색)
인공적으로 한 가지 색깔이 나오는 염색보다는 천연 염색의 느낌을 주는듯 한 자유로운 염색이 주목받았다. 거친 손 가공과 투박함이 아름다웠다. 실크에 번짐이나 워싱, 타이다잉 등의 기법이 사용되어 우아하고 젊은 감각을 보여주었다.
⑤Savanna Inspiration(숲에서의 영감)
동물 프린트나, 동물을 변형한 형태의 프린트가 야성적인 느낌이 아니라 재미있고 세련되게 해석되었다. 나뭇잎, 풀 등 자연물을 이용한 프린트들이 비비드한 컬러와 만나 귀엽고 발랄한 분위기를 연출한다.
⑥Ocean Ispiration(바다에서의 영감)
바다에서 온 영감은 모던한 디자이너들이 주로 표현하였는데, 이번 시즌 블루 컬러가 물 색, 바다색 계통인 것을 보면 알 수 있다. 푸른색으로 그라데이션 효과를 내고, 포인트를 주는 등으로 표현되었다.
5. 스타일과 실루엣
①Gentle Cloud(구름과 같은 부드러움)
주름을 부드럽게 잡고, 소재를 부드러운 소재를 사용했다. 퍼프는 작아지고, 스커트나 팬츠에도 부드러운 풍선과 같은 형태를 많이 접목시켰다.
②Shapeless(셰이프리스 룩)
형태를 갖추지 않고 푹신한 스타일이다. 테일러링이나 레이어링을 자유롭게 해서 기존의 스타일에 변화를 주었다.
③White(흰색)
흰색의 레이스와 쉬폰, 모슬린소재를 사용해 맑고 순수한 천사와 같은 분위기를 내었다. 레이스 룩이나 머슬린 룩이 주목받았다.
④Sportive look(스포티 룩)
스포츠 웨어와의 결합으로 새로운 스포티 룩이 선보여졌다. 타이츠 팬츠나 어깨가 빳빳한 자켓, 턱시도와 바이커 타이츠의 매치 등이 이것이다. 좀 더 실용적인 것을 추구하는 스타일이다.
6. 디테일
①Patchworks(패치워크)
여러 가지 패턴을 섞어 어지러운 분위기를 연출했는데, 펑크 룩의 재조명이 미친 영향이 아닐까 싶다. 서로 다른 컬러, 무늬, 섬유를 사용해 재미있는 볼거리를 제공했다.
②Unique Cutting(독특한 컷팅)
건축물의 곡선과 같이 옆구리, 어깨 부위를 곡선으로 드러내는 드레스가 많이 등장했다. 기교적인 언밸런스와 슬래시, 과도한 솔기의 노출 등이 이번 시즌 컷팅의 특징이다.
7. 키 아이템
①Leathers(가죽)
이번 시즌 몇 개의 브랜드만 봐도 눈에 띄게 많아진 아이템이 가죽이다. 투박하고 번쩍이는 소재라는 인식 때문에 터프한 느낌을 표현할 때 주로 사용되던 가죽은 기존의 이미지를 탈피했다. 얇고 부드러운 가죽을 이용해 블루종, 팬츠, 스커트, 러플드레스 등 다양한 제품을 탄생시켰고, 기존의 터프한 느낌을 그대로 살린 제품도 출시되어 같은 소재로 여러 가지 느낌을 낼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②Denim(데님)
데님 소재가 다양한 방면에서 사용되었다. 패치워크, 팬츠, 블레이져 등으로 변신한 데님소재는 그런지룩과 펑크룩, 스포티룩의 젊고 경쾌한 이미지를 내는데 일조했다.
③Super Mini(초미니)
이번 시즌은 유난히 미니스커트와 반바지가 많이 소개되었다. 드레스, 스커트, 쇼츠의 길이는 아찔할 정도로 초 미니로 가고있다. 타이트한 스커트나 쇼츠 뿐 만 아니라 배기쇼츠나 블루머 쇼츠, 블루머 스커트 등이 출시되었다.
④Lingerie(란제리)
센슈얼리티의 표현이 부각되면서 브라톱, 레이스, 코르셋의 노출, 반투명한 소재의 사용 등 이너웨어인 란제리가 아웃웨어화 되었다. 웨이스티드 실루엣, 보디컨셔스 실루엣 등 여성의 보디라인을 드러내는 실루엣이 강세를 보였다.
⑤Robe-like Outfits(로우브 같은 아웃핏)
가운과 같은 형태의 옷, 숄 칼라, 구름 같은 형태 등이 등장했다. 심지가 빠지고 형태가 뚜렷하지 않고 부드러운 느낌을 주는 제품이 주목받았다. 란제리 룩과 접목되어 많은 디자이너들이 얇고 형태가 없고 비치는 소재를 대담하게 사용해 시스루 룩을 표현하기도 했다.
⑥Volume Suits(풍성한 의복)
숄더만큼이나 풍성하게 부풀린 스커트들이 많아졌다. 한 가운데를 콕 찝어 자연스러운 주름으로 우아함을 뽐내는 핀턱이나 풍선과 같은 풍성한 주름이 눈에 띈다. 벌룬 스커트, 둥근 형태의 펌킨쇼츠 등이 이것이다. 80년대에 최고의 인기를 누렸던 벌룬 실루엣은 몇 년 전부터 유행하기 시작해 이번 시즌에 최고조를 이루었다.
⑦Twists on Trench(트렌치코트의 변화)
미니멀리즘의 영향으로 길고 치렁치렁했던 트렌치코트의 길이가 짧아지고 있다. 또 이번 시즌에 전반적으로 깔려있는 로맨티시즘 때문일까 베이지나 카키 등의 어두운 계열의 트렌치코트에서 벗어난 화사한 파스텔 톤의 트렌치코트들도 출시되었다. 또, 트렌치코트의 기본 형태에 주름이나 독특한 컷팅이 추가되어 좀 더 여성스러운 느낌을 냈다.
⑧Combat Inspiration(군복에서의 영감)
밀리터리 스타일의 프린트를 사용한 드레스와 군복 색의 자켓, 트렌치코트가 많이 출시되었다. 밀리터리와 러플 장식이 접목되어 여성스러운 분위기를 내는 트렌치코트도 눈에 띄었다.
⑨1980’s style(80년대 패션)
근 몇 년간 70~80년대 패션이 부활하면서 하이 웨이스트, 스윗하트 네크라인, 하이웨이스트 등이 페션계 일대를 장악했다. 이번 시즌 보디 라인이 자연스럽고 유연하게 표현되었다면 어깨, 허리, 가슴 라인은 강조되었다.
⑩Bow&ruffle(리본과 러플)
로맨티시즘의 영향으로 가장 크게 증가한 것이 러플과 리본이다. 많은 디자이너들이 여성스러우면서도 쉬크한 러플과 사랑스러운 리본을 선택했다. 단순할 수 있는 디자인을 고급스럽고 사랑스럽게 업그레이드 시킬 수 있는 아이템이다.
Ⅲ결론
2010년 S/S 여성복 컬렉션은 봄과 여름의 영향과 더불어 경제 회복의 영향도 받아 경쾌하고 밝은 컬러와 디자인이 눈에 띄었다. 로맨티시즘의 부활로 리본, 러플, 레이스소재 등이 많이 쓰였고, 가죽소재와 데님소재의 사용으로 펑크룩과 그런지룩의 반항적인 느낌과 스포티룩이 잘 표현되었다. 또 전 세계적으로 퍼지고 있는 오가닉 무드의 영향으로 파스텔컬러와 베이지컬러, 자연스러운 염색이 주목받았다. 근 몇 년간 유행하던 파워숄더, 벌룬 스커트, 하이웨이스트 등 1980년대 패션도 이번 시즌 최고조를 이루었다.
인공적으로 한 가지 색깔이 나오는 염색보다는 천연 염색의 느낌을 주는듯 한 자유로운 염색이 주목받았다. 거친 손 가공과 투박함이 아름다웠다. 실크에 번짐이나 워싱, 타이다잉 등의 기법이 사용되어 우아하고 젊은 감각을 보여주었다.
⑤Savanna Inspiration(숲에서의 영감)
동물 프린트나, 동물을 변형한 형태의 프린트가 야성적인 느낌이 아니라 재미있고 세련되게 해석되었다. 나뭇잎, 풀 등 자연물을 이용한 프린트들이 비비드한 컬러와 만나 귀엽고 발랄한 분위기를 연출한다.
⑥Ocean Ispiration(바다에서의 영감)
바다에서 온 영감은 모던한 디자이너들이 주로 표현하였는데, 이번 시즌 블루 컬러가 물 색, 바다색 계통인 것을 보면 알 수 있다. 푸른색으로 그라데이션 효과를 내고, 포인트를 주는 등으로 표현되었다.
5. 스타일과 실루엣
①Gentle Cloud(구름과 같은 부드러움)
주름을 부드럽게 잡고, 소재를 부드러운 소재를 사용했다. 퍼프는 작아지고, 스커트나 팬츠에도 부드러운 풍선과 같은 형태를 많이 접목시켰다.
②Shapeless(셰이프리스 룩)
형태를 갖추지 않고 푹신한 스타일이다. 테일러링이나 레이어링을 자유롭게 해서 기존의 스타일에 변화를 주었다.
③White(흰색)
흰색의 레이스와 쉬폰, 모슬린소재를 사용해 맑고 순수한 천사와 같은 분위기를 내었다. 레이스 룩이나 머슬린 룩이 주목받았다.
④Sportive look(스포티 룩)
스포츠 웨어와의 결합으로 새로운 스포티 룩이 선보여졌다. 타이츠 팬츠나 어깨가 빳빳한 자켓, 턱시도와 바이커 타이츠의 매치 등이 이것이다. 좀 더 실용적인 것을 추구하는 스타일이다.
6. 디테일
①Patchworks(패치워크)
여러 가지 패턴을 섞어 어지러운 분위기를 연출했는데, 펑크 룩의 재조명이 미친 영향이 아닐까 싶다. 서로 다른 컬러, 무늬, 섬유를 사용해 재미있는 볼거리를 제공했다.
②Unique Cutting(독특한 컷팅)
건축물의 곡선과 같이 옆구리, 어깨 부위를 곡선으로 드러내는 드레스가 많이 등장했다. 기교적인 언밸런스와 슬래시, 과도한 솔기의 노출 등이 이번 시즌 컷팅의 특징이다.
7. 키 아이템
①Leathers(가죽)
이번 시즌 몇 개의 브랜드만 봐도 눈에 띄게 많아진 아이템이 가죽이다. 투박하고 번쩍이는 소재라는 인식 때문에 터프한 느낌을 표현할 때 주로 사용되던 가죽은 기존의 이미지를 탈피했다. 얇고 부드러운 가죽을 이용해 블루종, 팬츠, 스커트, 러플드레스 등 다양한 제품을 탄생시켰고, 기존의 터프한 느낌을 그대로 살린 제품도 출시되어 같은 소재로 여러 가지 느낌을 낼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②Denim(데님)
데님 소재가 다양한 방면에서 사용되었다. 패치워크, 팬츠, 블레이져 등으로 변신한 데님소재는 그런지룩과 펑크룩, 스포티룩의 젊고 경쾌한 이미지를 내는데 일조했다.
③Super Mini(초미니)
이번 시즌은 유난히 미니스커트와 반바지가 많이 소개되었다. 드레스, 스커트, 쇼츠의 길이는 아찔할 정도로 초 미니로 가고있다. 타이트한 스커트나 쇼츠 뿐 만 아니라 배기쇼츠나 블루머 쇼츠, 블루머 스커트 등이 출시되었다.
④Lingerie(란제리)
센슈얼리티의 표현이 부각되면서 브라톱, 레이스, 코르셋의 노출, 반투명한 소재의 사용 등 이너웨어인 란제리가 아웃웨어화 되었다. 웨이스티드 실루엣, 보디컨셔스 실루엣 등 여성의 보디라인을 드러내는 실루엣이 강세를 보였다.
⑤Robe-like Outfits(로우브 같은 아웃핏)
가운과 같은 형태의 옷, 숄 칼라, 구름 같은 형태 등이 등장했다. 심지가 빠지고 형태가 뚜렷하지 않고 부드러운 느낌을 주는 제품이 주목받았다. 란제리 룩과 접목되어 많은 디자이너들이 얇고 형태가 없고 비치는 소재를 대담하게 사용해 시스루 룩을 표현하기도 했다.
⑥Volume Suits(풍성한 의복)
숄더만큼이나 풍성하게 부풀린 스커트들이 많아졌다. 한 가운데를 콕 찝어 자연스러운 주름으로 우아함을 뽐내는 핀턱이나 풍선과 같은 풍성한 주름이 눈에 띈다. 벌룬 스커트, 둥근 형태의 펌킨쇼츠 등이 이것이다. 80년대에 최고의 인기를 누렸던 벌룬 실루엣은 몇 년 전부터 유행하기 시작해 이번 시즌에 최고조를 이루었다.
⑦Twists on Trench(트렌치코트의 변화)
미니멀리즘의 영향으로 길고 치렁치렁했던 트렌치코트의 길이가 짧아지고 있다. 또 이번 시즌에 전반적으로 깔려있는 로맨티시즘 때문일까 베이지나 카키 등의 어두운 계열의 트렌치코트에서 벗어난 화사한 파스텔 톤의 트렌치코트들도 출시되었다. 또, 트렌치코트의 기본 형태에 주름이나 독특한 컷팅이 추가되어 좀 더 여성스러운 느낌을 냈다.
⑧Combat Inspiration(군복에서의 영감)
밀리터리 스타일의 프린트를 사용한 드레스와 군복 색의 자켓, 트렌치코트가 많이 출시되었다. 밀리터리와 러플 장식이 접목되어 여성스러운 분위기를 내는 트렌치코트도 눈에 띄었다.
⑨1980’s style(80년대 패션)
근 몇 년간 70~80년대 패션이 부활하면서 하이 웨이스트, 스윗하트 네크라인, 하이웨이스트 등이 페션계 일대를 장악했다. 이번 시즌 보디 라인이 자연스럽고 유연하게 표현되었다면 어깨, 허리, 가슴 라인은 강조되었다.
⑩Bow&ruffle(리본과 러플)
로맨티시즘의 영향으로 가장 크게 증가한 것이 러플과 리본이다. 많은 디자이너들이 여성스러우면서도 쉬크한 러플과 사랑스러운 리본을 선택했다. 단순할 수 있는 디자인을 고급스럽고 사랑스럽게 업그레이드 시킬 수 있는 아이템이다.
Ⅲ결론
2010년 S/S 여성복 컬렉션은 봄과 여름의 영향과 더불어 경제 회복의 영향도 받아 경쾌하고 밝은 컬러와 디자인이 눈에 띄었다. 로맨티시즘의 부활로 리본, 러플, 레이스소재 등이 많이 쓰였고, 가죽소재와 데님소재의 사용으로 펑크룩과 그런지룩의 반항적인 느낌과 스포티룩이 잘 표현되었다. 또 전 세계적으로 퍼지고 있는 오가닉 무드의 영향으로 파스텔컬러와 베이지컬러, 자연스러운 염색이 주목받았다. 근 몇 년간 유행하던 파워숄더, 벌룬 스커트, 하이웨이스트 등 1980년대 패션도 이번 시즌 최고조를 이루었다.
추천자료
H&M의 성공요인 분석
노스페이스(The North Face) 마케팅 전략
(국제경영,글로벌경영) A+자라(zara)의 한국진출 성공사례 -기업분석 산업구조분석.stp, swo...
빈폴 beanpole 마케팅 전략(SWOT,STP,4P) 분석 및 나의 의견
[A+] [사업계획서] 온라인 여성의류 쇼핑몰 브랜드런칭 Transcend_y 창업계획서, 소비자정보...
빈폴의 1위 유지 전략 - 빈폴마케팅전략,빈폴분석
탐스슈즈(TOMS SHOES) 마케팅 SWOT,STP,4P전략분석과 탐스슈즈 브랜드분석 및 새로운 마케팅 ...
가방브랜드 핸드백 브랜드의 장식에 관한 연구
유니클로 마케팅 전략 Marketing Plan for UNIQLO
「유니클로 (Uniqlo)」 유니클로의 한국 진출, 유니클로 산업구조분석, SWOT 분석, 유니클로 ...
H&M 기업성공요인과 SWOT분석및 H&M 마케팅전략분석과 H&M 향후 마케팅전략제안...
SPA브랜드 : SPA브랜드의 단점과 성공요인 ; SPA브랜드의 마케팅 전략 분석
H&M 성공비결과 SWOT분석및 H&M 다양한 마케팅 사례연구와 H&M 4P전략분석
[지속가능경영] 지속가능경영의 역사, 3가지 책임 및 지속가능경영의 사례 분석
소개글